$\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출판된 간호학 서적 "간호교과셔" 연구
Kanho Kyokwaseo (Textbook of Nursing), the First Published Korean Nursing Book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4, 2017년, pp.452 - 462  

이꽃메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knowledge about two volumes of Kanho Kyokwaseo (Textbook of Nursing) published in 1908 and 1910. Methods: The books were investigated from the first to the last pages and compared with other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다음으로는 당시 간호교육에서 사용되던 간호 교재는 어떤 것이 있었고, “간호교과셔”는 어떤 과정을 통하여 출판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 상권 본문의 첫 장에 해당하는 “병인 간호하는 총론”에서는 예수가 병인을 고치고 사람을 사랑하라고 한 것은 병인을 보호하고 도와주라는 뜻이다, 옛날에 영국에서는 천하고 나이 많은 여성이 간호를 했지만 이제는 간호를 배우는 것을 당연히 여기게 되었다, 병인을 간호하는 자는 인내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등을 기독교적 비유를 들면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병인 간호하는 직분을 가진 사람의 본분은 의원의 명령을 순종할 것, 병상을 주야로 살펴서 의원에게 알릴 것, 병인이 원하는 것을 미리 알아서 해줄 것,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 그리고 이 책을 등록문화재로 한 이유에 대하여 “의학사 연구 뿐 아니라 초기의 의학용어 한글번역 연구와 20세기 초기의 국어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 논의에서는 “간호교과셔”의 서지학적, 내용적 특징과 의의를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 “간호교과셔” 하권의 마지막 부분인 “어린아이의 병 간호법”에서는 먼저 어린이가 표현을 잘 하지 못하니 잘 살펴야 한다는 것과 약을 잘 먹여야 한다는 것, 약 먹이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또한 옷 입히기, 어린이 이상 증상의 특징 등 어린 이를 간호할 때 특별히 주의할 점과 차이점 들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1908년과 1910년 출판된 “간호교과셔”를 주요 일차사료로 하여 그 모습과 내용을 분석하고, 당시 간호 교육과 관련 인물에 대한 추적을 통하여 출판 배경과 과정을 확인하며, 당시 여타 교과서와 비교한 역사학 연구이다.
  • 이 글은 우리나라의 첫 간호교과서라고 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는 “간호교과서”에 대하여 탐구하여, 이 책에 관한 지식과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과셔의 하권은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하권은 상권과 달리 서문도 목차도 없이 바로 본문이 시작 되는데, “외과간호법 속론”으로부터 시작하여, “병인간호법”, “내과간호법”, “산모간호법”, “어린아이의 병 간호법” 등 크게 다섯 개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면당 테두리가 사주쌍변으로 되어 있다는 점은 상권과 같지만, 한 면의 테두리 안이 16행 39자 전후로 되어 있어서 11행 25자인 상권보다는 글자가 작고 전체가 빽빽한 느낌이 든다(CHA, 2017).
1908년과 1910년 서울 감기교인쇄소에서 출판한 간 호교과셔의 제본 방식은? 각각 1908년과 1910년 서울 감리교인쇄소에서 출판한 “간 호교과셔” 상하권은 한지(韓紙)가 아닌 고급의 양지(洋紙)로 이루어졌으며, 1880년 주조되어 대한제국기에 많이 사용된 주석 활자인 신연활자(新鉛活字)로 인쇄되었다. 제본은 내지 뿐 아니라 두꺼운 재질의 종이로 된 표지까지도 반으로 접고 여러 장을 겹쳐서 책 표지와 함께 실로 꼬매는 방식으로 하였다(CHA, 2017).
간호교과셔 하권에서 외과간호법 속론의 중심 내용은 무엇인가? “간호교과셔” 하권은 상권에 이어 “외과간호법 속론”으로 시작하는데, 수술 및 처치를 마친 환자에 대하여 알고 중재해야 할 것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먼저 출혈에 대한 이해와 지혈방법에 대한 내용이 “상처에서 피 흘리는 자를 간호하는 법”, “피 그치게 하는 법”, “피가 그쳤다가 다시 흐름”으로 나누어 소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cademy of Korean Studies. (1991).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July 17, 2017 from Daum Web site: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6347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7). Report on registration and study of cultural properties. Seoul: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3. Cutler, M. (1899). Po Ku Nyo Kwan (Ed.), First annual meeting of the woman'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Korea (pp.23-32). Seoul: Methodist Printing Press. 

  4. Cutler, M. (1911). Po Ku Nyo Kwan (Ed.), Thirteenth annual report of the Korea woman'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pp.26-33). Seoul: Franco-Korean Printing House. 

  5. Cutler, M., & Edmunds, M. (1904). Po Ku Nyo Koan; hospital, dispensary and nurses' training school, Seoul (Ed. ), Reports read at the sixth annual session of the Korea woman'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pp.7-17). Seoul: Methodist Publishing House. 

  6. Edmunds, M. (1907). Training school for nurses (Ed.). Reports read at the ninth annual session of the Korea woman'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pp.19-23). Seoul: Methodist Publishing House. 

  7. Edmunds, M. (1908). Text book of nursing part I. Seoul: Methodist Publishing House. 

  8. Edmunds, M. (1910). Text book of nursing part II. Seoul: Methodist Publishing House. 

  9. Ehwa 100 years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986). Ehwa 100 years history. Seoul: Ehwa Womans University Press. 

  10. Flaumenhaft, E., & Falumenhaft, C. (1987). Four books that changed nursing. Journal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Allied Sciences, 42(1), 54-72. 

  11. Harrison, M. (1928). The Mustard weed: lown in the pioneer days in Korea. Nashvill, TN: Educational department of the presbyterian church. 

  12. Han, K. (2002). The belief and activity of Hyun Soon (1879-1919). Christianity and History in Korea, 66, 47-58. 

  13. Jung, B. (2005). Charles Ho Kim's role and activities in Korean liberation movement and his political activities. Journal of Studies on Korean National Movement, 43, 163-204. 

  14. Kang, J., & Kwon, M. (2017). Collaborative translation of medical knowledge and the visibility of translators.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21(2), 1-25. 

  15. Kim, B. (1908). Kanhochalyo. Christianity Newspaper 25, 26(1908.11.15., 196; 1908.11.30., 203) 

  16. Kim, S. (2012). New woman Nansa K. Hahr's study abroad and social participation in Korea. The Historical Journal, 77, 109-138. 

  17. Lee, J. (2008). History of Korean textbooks-a century of modern textbooks, beyond the new century. Seoul: Korea Textbook Co., Ltd. 

  18. Lu, P. (2002). Western books on nursing published in modern China. China Journal of Medical History, 32(1), 19-23. 

  19. Morrison, A. (1909). Nurses' training school, Seoul (Ed.). Eleventh annual report of the Korea woman'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Pyung Yang (pp.24-27). Seoul: Methodist Publishing House. 

  20. Morrison. (1910). Morrison's report: Conference year ending May 11. Unpublished manuscript. 

  21. Nursing in mission stations. (1907).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2), 127-130. 

  22. Oak, S. (2011). Sources of nursing history in Korea volume I: 1886-1911. Seoul: Korea Nurses' Association. 

  23. Oak, S. (2012). Identities of early modern nursing and nursing education in Korea. Christianity and History in Korea, 36, 185-225. 

  24. Oh, S. (1915). Three keys: Three keys for the holy spirit. Seoul: Korea Christianity Press. 

  25. Park, H. (1998). The early medical textbook in Korea: Medical textbook published at Je Joong Won-Severance Hospital Medical School.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7(2), 224-240. 

  26. Park, H., & Park, J. (2006). The first textbook of anatom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natomy, 39(6), 461-469. 

  27. Park, J., & Park, H. (2011). The translation and its meanings of Materia Medica Part. I in the Jejungwon.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2), 327-353. 

  28. Shields, E. (1908). Paper presented at the Korea branch of the China medical society at Seoul, Korea. Unpublished manuscript. 

  29. Shields, E. (1909). Notes from 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 American Journal of Nursing, 9(11), 839-841. 

  30. Training School for Nurses. (1905). The Korea Methodist, 1(8), 97-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