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 및 관행농법 농경지의 무척추동물 생물다양성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nvertebrate Biodiversity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e Field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4, 2017년, pp.875 - 901  

김훈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서재휘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김교진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최가인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조영주 (단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환경자원경제학과) ,  김태연 (단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환경자원경제학과) ,  문명진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기농업이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일부 회의적인 시각이 있긴 하지만, 유기농업은 토양의 물리적 및 생태학적 특성과 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괴산지역에서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을 시행하는 논과 밭을 대상으로 경작 기간 중 채집된 무척추동물의 종을 분류 동정하여 농법의 차이에 따른 생물 다양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인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채집된 총 249종의 무척추동물 중에서, 유기농업을 시행하는 지역의 논과 밭에서는 각각 104종과 108종이 관찰된 반면, 관행농업을 시행하는 논과 밭에서는 각각 84종과 77종이 관찰되어, 산술적으로 관행농업 지역에 비해 유기농업 지역의 종 다양성이 약 20% 높은 것으로 비교되었다. 특히 유기농업의 시행에 따라 곤충류와 거미류의 분류군에서 긍정적인 종 다양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한편, 유기농업 논에서는 노린재목, 파리목, 벌목, 거미목 등의 분류군이, 그리고 유기농업 밭에서는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거미목 등이 관행농업 지역의 논과 밭에 비해 생물 다양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기농업 시행에 따른 생물 지표종의 선정을 위해서는 향후 이들 분류군에 대한 정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some skeptical views arguing that the impact of organic farming is quite limited to sustainable biodiversity, the organic agriculture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various properties of soils not only on biophysical and ecological properties but also on biodiver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기농업의 서식동물군 생물다양성 증대효과 및 검증지표 개발 및 관리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을 시행하는 논과 밭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군의 생물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여, 농법의 차이가 종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지표종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를 시행하였다.
  • 유기농업이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일부 회의적인 시각이 있긴 하지만, 유기농업은 토양의 물리적 및 생태학적 특성과 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괴산지역에서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을 시행하는 논과 밭을 대상으로 경작 기간 중 채집된 무척추동물의 종을 분류 동정하여 농법의 차이에 따른 생물 다양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인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채집된 총 249종의 무척추동물 중에서, 유기농업을 시행하는 지역의 논과 밭에서는 각각 104종과 108종이 관찰된 반면, 관행농업을 시행하는 논과 밭에서는 각각 84종과 77종이 관찰되어, 산술적으로 관행농업 지역에 비해 유기농업 지역의 종 다양성이 약 20% 높은 것으로 비교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의 농업 환경은 어떤 논란을 야기하고 있는가? 현대의 농업 환경은 다양한 화학 비료 및 농약의 사용을 수반하여 생물 다양성의 감소를 일으킬 뿐 아니라, 수질 및 토양오염과 식품의 안정성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럽연합은 농업환경의 전반적인 회복을 위한 대안으로 유기농업을 제시하고 있다(Michelsen, 2001).
유기농업과 관행농업 지역의 생물의 종 수와 개체수는 어떤 결과를 보이는가?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무척추동물은 유기농업 지역에서 훨씬 많은 개체수와 종수가 기록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종 수와 개체 수의 범위도 관행농업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유기농업으로 벼를 재배한 논의 경우 관행농업으로 재배한 논에 비해 서식하는 생물의 종 수와 개체 수 모두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Han et al. 2013).
관행농업에서는 수확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어떤 방법을 적용하여 왔는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럽연합은 농업환경의 전반적인 회복을 위한 대안으로 유기농업을 제시하고 있다(Michelsen, 2001). 관행농업에서는 수확량을 증대시키기 위해농지 주변에 서식하는 동식물의 종 다양성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왔으나, 생물상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며 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대안으로 유기농업이 많은 국가와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다(Ma and Joachim, 2006; Han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llison, G. 2004. The Influence of Species Diversity and Stress Intensity on Community Resistance and Resilience. Ecol. Monogr. 74: 117-134. 

  2. Bengtsson, J., J. Ahnstrom, and A. Weibull. 2005. The Effects of Organic Agriculture on Biodiversity and Abundance: a Meta-analysis. J. Appl. Ecol. 42: 261-269. 

  3. Billeter, R., J. Liira, D. Bailey, et al. 2008. Indicators for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Landscapes: a Pan-European Study. J. Appl. Ecol. 45: 141-150. 

  4. Boutin, C., P. A. Martin, and A. Baril. 2008. Arthropod Diversity as Affected by Agricultural Management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Plant Species, and Landscape Context. Ecoscience. 16: 492-501. 

  5. Chung, C. S. and J. S. Hyun. 1980. The Effects of Temperatures on the Development of Oriental Tabacco Budmoth, Heliothis assulta Guenee, and Control Effects of Thrucide HP $^{(R)}$ . Korean J. Pl. Prot. 19: 57-65. 

  6. Consoli1, F. L., J. R. P. Parra, and S. A. Hassan. 2009. Side-effects of Insecticides Used in Tomato Fields on The Egg Parasitoid Trichogramma pretiosum Riley (Hym., Trichogrammatidae), A Natural Enemy of Tuta absoluta (Meyrick) (Lep., Gelechiidae). J. Appl. Entomol. 122: 43-47. 

  7. De Roeck, E. 2005. Trends of some Agri-environmental Indicators in the European Union. Report EUR 21 669 EN,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 General Joint Research Centre, Ispra, Italy. 

  8. Desneux, N., A. Decourtye, and J. M. Delpuech. 2007. The Sublethal Effects of Pesticides on Beneficial Arthropods. Annu. Rev. Entomol. 52: 81-106. 

  9. Erwin, T. L. 1982. Tropical Forests: Their Richness in Coleoptera and Other Arthropod Species. The Coleopt. Bull. 36: 74-75. 

  10. Gabriel, D., S. M. Sait, W. E. Kunin, and T. G. Benton. 2013. Food Production vs. Biodiversity: Comparing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e. J. Appl. Ecol. 50: 355-364. 

  11. Grant, I. F., A. C. Tirol, T. Aziz, and I. Watanabe. 1983. Regulation of Invertebrate Grazers as a Means to Enhance Biomass and Nitrogen Fixation of Cyanophyceae in Wetland Rice Fields, Soil Sci. Soc. Am. J. 47: 669-675. 

  12. Hadjicharalampous, E., K. L. Kalburtji, and A. P. Mamolos. 2002. Soil Arthropods (Coleoptera, Isopoda) in Organic and Conventional Agroecosystems. Environ. Manage. 29: 683-690. 

  13. Han, M. S., H. K. Nam, K. K. Kang, M. R. Kim, Y. E., Na, H. R., Kim and M. H., Ki. 2013. Characteristic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Korean J. Environ. Agric. 32: 17-23. 

  14. Hole, D. G., A. J. Perkins, J. D. Wilson, I. H. Alexander, P. V. Grice, and A. D. Evans. 2005. Does Organic Farming Benefit Biodiversity? Biol. Conserv. 122: 113-130. 

  15. Kang, B. H., J. K. Son, S. H. Lee, and N. C. Kim. 2009.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J. Korea Soc. Environ. Restor. Technol. 12: 33-48. 

  16. Kim, D. I., S. G. Kim, S. J. Ko, B. R. Kang, D. S. Choi, K. H. Lim, and S. S. Kim. 2011. Biodiversity of Invertebrate on Organic and Conventional Pear Orchards. Korean J. Organic Agric. 19: 93-107. 

  17. Kim, G. S., H. J. Heo, J. A. Park, Y. S. Yu, E. H. Hahn, S. Y. Kang, K. Y. Kwon, K. H. Lee, and Y. G. Kim. 2008. Efficacy of an Integrated Biological Control of an Egg Parasitoid, 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 and Microbial Insecticide against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ee) Infesting Hot Pepper. Korean J. Appl. Entomol. 47: 435-445. 

  18. Kim, M. H., L. J. Choe, M. S. Han, S. K. Choi, Y. E. Na, K. K. Kang, and J. Eo. 2016. Effects of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on Ground-dwelling Invertebrates in Paddy Levees. Korean J. Org. Agric. 24: 539-556. 

  19. Klaus, V. H., T. Kleinebecker, D. Prati, M. M. Gossner, F. Alt, S. Boch, S. Gockel, A. Hemp, M. Lange, J. Muller, Y. Oelmann, E. Pasalic, S. C. Renner, S. A. Socher, M. Turke, W. W. Weisser, M. Fischer, and N. Holzel. 2013. Does Organic Grassland Farming Benefit Plant and Arthropod Diversity at the Expense of Yield and Soil Fertility? Agric. Ecosyst. Environ. 177: 1-9.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Insects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21. Lee, M., E. J. Han, J. H. Park, S. J. Hong, S. M. Kang, and J. H. Kim. 2014. Utilization of Organic Farming for in situ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Rahmanh, G. U. Aksoy (eds.) Proceedings of the 4th ISOFAR Scientific Conference: 'Building Organic Bridges'. 4: 953-956. Istanbul, Turkey. 

  22. Lee, S. Y., S. T. Kim, J. S. Im, J. K. Jung, and J. H. Lee. 2013.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Arthropos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Red Pepper Fields. Korean J. Organic Agric. 21: 601-615. 

  23. Letourneau, D. K. and B. Goldstein, 2001. Pest Damage and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 in Organic vs. Conventional Tomato Production in California. J. Appl. Ecol. 38: 557-570. 

  24. Lindenmayer, D. B., C. R. Margules, and D. B. Botkin. 2000. Indicators of Biodiversity for Ecologically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Conserv. Biol. 14: 941-950. 

  25. Ma, S. M. and S. Joachim. 2006. Review of History and Recent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Worldwide. Agr. Sci. China. 5: 169-178. 

  26. Mader, P., A. Fliessbach, D. Dubois, L. Gunst, P. Fried, and U. Niggli. 2002. Soil Fertility and Biodiversity in Organic Farming. Science. 296: 1694-1697. 

  27. Mesleard, F., S. Garnero, N. Beck, and E. Rosecchi. 2005. Uselessness and Indirect Negative Effects of an Insecticide on Rice Field Invertebrates. C. R. Biol. 328: 955-962. 

  28. Michelsen, J. 2001. Recent Development and Political Acceptance of Organic Farming in Europe. J. Eur. Soc. Rural Sociol. 41: 3-20. 

  29. Montanez, M. N. and A. A. Suarez. 2014. Impact of Organic Crops on the Diversity of Insects: A Review of Recent Research. Rev. Colomb. Entomol. 40: 131-142. 

  30. Moon, H. C., I. K. Cho, J. R. Im, B. R. Goh, D. H. Kim, and H. C. Yeon. 2006. Seasonal Occurrence and Damage by Thrips on Open Red Peeper in Jeonbuk Priovince. Korean J. Appl. Entomol. 45: 9-13. 

  3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n). 

  32. Oehl, F., E. Sieverding, K. Ineichen, P. Mader, T. Boller, and A. Wiemken. 2003. Impact of Land Use Intensity on the Species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Agroecosytems of Central Europe. Appl. Environ. Microbiol. 5: 2816-2824. 

  33. Park, K. L., M. J. Kong, N. C. Kim, and J. K. Son. 2012a. The Analysi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Rice Paddy for Value Assessment of the Rice Paddy Wetland. J. Wetlands Res. 14: 59-73. 

  34. Pimm, S. L. 1984. The Complexity and Stability of Ecosystems. Nature. 307: 321-326. 

  35. Power E. F. and J. C. Stout. 2011. Organic Dairy Farming: Impact on Insect-flower Interaction Networks and Pollination. J. Appl. Ecol. 48: 561-569. 

  36. Power, E. F., D. L. Kelly, and J. C. Stout. 2012. Organic Farming and Landscape Structure: Effects on Insect-Pollinated Plant Diversity in Intensively Managed Grasslands. PLoS ONE. 7: e38073. 

  37. Rundolf, M. and H. G. Smith. 2006. The Effect of Organic Farming on Butterfly Diversity Depends on Landscape Context. J. Appl. Ecol. 43: 1121-1127. 

  3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Aquatic Invertebrate in Paddy Ecosystem of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Korean). 

  39. Song, J. H., Y. S. Cho, K. H. Lim, and H. C. Lee. 2013. Current Status of Pest Management and Biodiversity in Organic Pear Orchards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21: 617-627. 

  40. Takada M. B., S. Takagi, S. Iwabuchi, T. Mineta, and I. Washitani. 2014. Comparison of Generalist Predators in Winter-flooded and Conventionally Managed Rice Paddies and Identification of Their Limiting Factors. SpringerPlus. 3: 418. 

  41. Theiling, K. M. and B. A. Croft. 1988. Pesticide Side-effects on Arthropod Natural Enemies: A Database Summary. Agri. Ecosys. Environ. 21: 191-218. 

  42. Wascher, D. W. 2000. Agri-environmental Indicator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Europe. Wascher, D. W. (ed). European Centre for Nature Conservation (ECNC Technical Report Series). Tilburg. 

  43. Weibull, A. C., O. Ostman, and A. Granqvist. 2003. Species Richness in the Effect of Landscape, Habitat and Farm Management. Biodivers. Conserv. 12: 1335-1355. 

  44. Wilson, A. L., D. S. Ryder, R. J. Watts, and M. M. Stevens. 2005. Stable Isotope Analysis of Aquatic Invertebrate Communities in Irrigated Rice Fields Cultivated Under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Aquat. Ecol. 39: 189-200. 

  45. Wright, S. F., J. L. Starr, and I. C. Paltineanu. 1999. Changes in Aggregate Stability and Concentration of Glomalin during Tillage Management Transition. Soil Sci. Soc. Am. J. 63: 1825-1829. 

  46. Yang, J. O., E. H. Kim, C. M. Yoon, K. S. Ahn, and G. H. Kim. 2009. Comparison of Feeding Behavior of B and Q Biotype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against Red Pepper and Tomato Varietiees. Korean J. Appl. Entomol. 48: 179-1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