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의 FTA전자상거래규정 비교·분석
A Comparison & Analysis of Electronic Commerce of Korea's FTA 원문보기

통상정보연구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v.19 no.2, 2017년, pp.25 - 44  

김윤근 (전남대학교 무역학과) ,  박복재 (전남대학교 물류통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무역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개념정의와 적용규범에 대한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WTO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에 잠재적 무관세를 시행하는 한편 작업계획(Work program)을 통해 전자상거래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각국은 FTA 등의 협정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이 체결 시행하고 있는 FTA 중에서 전자상거래에 관한 규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의 FTA전자상거래 규정은 무관세, 다른 장(chapter)의 규정과 충돌 시 다른 장의 규정 우선, 전자인증, 개인정보보호, 소비자보호 등에 대해서는 공통적이지만, 전자상거래의 대상을 각기 다르게 정의하고 있고, 전자상거래의 분류 및 적용규범에 대해서는 유보하고 있으며, 비차별대우에 대해 다르게 규정하는 등 일관성이 부족하고 체계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한국은 WTO 등의 연구에 참여하고, 미국, EU, 중국 등이 체결 시행하고 있는 FTA전자상거래 규정을 분석하여 적극적 탄력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ough electronic commerce has grown rapidly in international trade, there is no basic consensus for its concept and rule applied. So WTO has done practice of not imposing customs duties on digital contents and been researching overall on electronic commerce through Work Program while many countr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법·제도적 측면’으로서 전자상거래의 대상 중 ‘무체물인 콘텐츠’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그리고 ‘재화’로 분류하여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의 규정을 적용할 것인지, ‘서비스’로 분류하여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rade in services; GATS)을 적용할 것인지에 관한 논의이다.
  • 본 연구는 한국이 체결·시행하고 있는 FTA에서 전자상거래에 대한 규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한국이 주도적인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논의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현재 한국이 체결·시행하고 있는 각 국가별 FTA의 전자상거래 규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이 취해야 할 현실적인 정책방향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논의의 토대가 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이 체결·시행하고 있는 FTA의 전자상거래 규정을 비교·분석하여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논의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TO의 작업계획에서 전자상거래를 무엇이라고 정의 하였는가? WTO의 작업계획에서는 “전자상거래”를 ‘전자적 수단에 의한 제품과 서비스의 생산, 유통, 마케팅, 판매 및 운송’이라고 정의함으로써 전자상거래의 대상에 유형적인 제품(goods)과 무형적인 서비스(services)를 모두 포함시키고 있다. 하지만 ‘작업계획의 목적만을 위해서 (Exclusively for the purposes of the work programme)’라는 표현처럼 일반적인 규정이 아니라 ‘작업계획에서만’ 적용되며, 각 기관에서는 관련문제에 관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제무역의 최근 추세는? 국제무역은 유형적인 재화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지만, 최근 IT·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무형적인 재화를 디지털 방식을 통해 교역하는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즉 과거에는 물리적 형태를 가진 재화를 운송·통관하는 과정에서 각종 종이서류를 교역당사자간에 교환하고 세관 등 국가기관에 제출하는 형태였지만, 현재는 서비스, 인터넷을 통한 전자적 전송 등 형태가 없는 상품을 교역하면서 ‘전자문서교환(Electric Data Interchange; EDI)’를 통해 각종 서류를 교환하고 제출하는 ‘종이 없는 무역(paperless trade)’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전자상거래에 관한 주요 논의 주제의 2가지 측면은 무엇인가? 전자상거래에 관한 주요 논의 주제는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법·제도적 측면’으로서 전자상거래의 대상 중 ‘무체물인 콘텐츠’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그리고 ‘재화’로 분류하여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의 규정을 적용할 것인지, ‘서비스’로 분류하여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rade in services; GATS)을 적용할 것인지에 관한 논의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는 ‘경제적·재정적 측면’으로서 무체물의 전자상거래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 부과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부과할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관세부과에 의해 발생하는 경제적·재정적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가 논의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권현호, "WTO에서의 디지털 상품교역에 대한 적용규범", 국제법학회논총 제49권 제1호, 2004, pp.87-108. 

  2. 김정곤.나승권.장종문.이성희.이민영, "국제디지털 상거래의 주요 쟁점과 한국의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5. 

  3. 김철호, "국제무역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자무역관습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1호, 2014, pp.123-142. 

  4. 문영수.박복재 "주요 FTA 상대국과의 디지털 제품 국제경쟁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3권 제2호, 2011, pp.205-234. 

  5. 박복재.문영수, "디지털 콘텐츠 교역의 확산이 조세 수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0권 제4호, 2012, pp.21-37. 

  6. 박영기.김종섭,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의 국제거래 확산에 따른 관세누수 추정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6권 4호, 2015, pp.71-89. 

  7. 박형래, "전자적 형태의 무체물에 대한 관세부과 원리의 쟁점과 과세방법 고찰", 한국국제 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pp.53-68. 

  8. 서민교, "전자상거래에 관한 한.미 FTA의 평가와 향후 과제", e-비즈니스연구 제9권 제2호 2008, pp.87-110. 

  9. 안병수, "전자상거래무역 확산을 위한 법률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9권 제1호, 2017, pp.3-21 

  10. 윤창인, "FTA협상 관련 한국의 전자상거래 주요 쟁점 및 대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07-12, 2007. 

  11. 한민정, "한국의 TPP참여전략에 관한 연구: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15권 제1호, 2013, pp.309-330. 

  12. Lior Herman, "Multilateralising Regionalism: The Case of E-Commerce", OECD Trade Policy Papers, No. 99, OECD Publishing, 2010. 

  13. Susanne Teltscher, "From Physical to Digital Delivery: Definition, Scope and Tariff Revenue Implications of Electronic Goods Trading", Proceedings of the 34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 2001. 

  14. WTO, WORK PROGRAMME ON ELECTRONIC COMMERCE, Adopted by the General Council on 25 September 1998. 

  15. WT/MIN(98)/DEC/2. MINISTERIAL CONFERENCE Second Session Geneva, 18 and 20 May 1998. 

  16. WT/MIN(15)/42/WT/L/977. MINISTERIAL CONFERENCE Tenth Session Nairobi, 15-18 December 2015. 

  17. FTA강국코리아(http://www.fta.go.kr) 

  18. WTO www.wto.org/ Trade topics other topics / Electronic Commerc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