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공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론과 실제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문가와 엔지니어들의 의견을 구하여 네 가지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을 하였다. 첫 번째로, 기존의 시스템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어서 오피스와 건설장비에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오피스와 건설장비에 별도로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버모듈과 모바일 모듈로 분리하여 개발을 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의 시스템에 사용된 수송모델 알고리즘은 토량배분시 최소의 이동거리를 제시하지만 성토구역이 모여 있지 않게 계획이 됨으로써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자동화된 좌표변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토공현장의 3D 지형도상에 실시간으로 건설장비의 위치가 나타나도록 개선하였다. 네 번째로, 토공작업 초반에 장비그룹이 형성되고 작업상태나 현장상황에 따라서 장비의 수가 변화해야 하는데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았다. 개선된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수정되었다. 이러한 개선사항들은 제시된 시스템을 더욱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들게 되며 궁극적으로 토공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할 것이다.
토공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론과 실제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문가와 엔지니어들의 의견을 구하여 네 가지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을 하였다. 첫 번째로, 기존의 시스템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어서 오피스와 건설장비에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오피스와 건설장비에 별도로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버모듈과 모바일 모듈로 분리하여 개발을 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의 시스템에 사용된 수송모델 알고리즘은 토량배분시 최소의 이동거리를 제시하지만 성토구역이 모여 있지 않게 계획이 됨으로써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자동화된 좌표변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토공현장의 3D 지형도상에 실시간으로 건설장비의 위치가 나타나도록 개선하였다. 네 번째로, 토공작업 초반에 장비그룹이 형성되고 작업상태나 현장상황에 따라서 장비의 수가 변화해야 하는데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았다. 개선된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수정되었다. 이러한 개선사항들은 제시된 시스템을 더욱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들게 되며 궁극적으로 토공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할 것이다.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earthwork, a fleet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w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But there were som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o overcome this problem, some opinions are gathered form experts and field engineers and four improvements hav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earthwork, a fleet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w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But there were som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o overcome this problem, some opinions are gathered form experts and field engineers and four improvements have been proposed and reflected in the system. First, the previous system consists of one hardware module, so it is hard to install it at a control office and construction equipment at the same time. The server module for the office and the mobile module for construction equipment are separately developed. Second, the transportation algorithm that is used in the previous system can generate shortest paths for the earthwork distribution, but embankment areas are not gathered. This situation leads to a decrease in compaction productivity. A modified algorithm for earthwork distribution is suggested. Third, the automated coordinate transformation is performed to show the posi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on the 3D terrain in real-time. Fourth, construction equipment groups should be formed in the initial stage of earthwork and the number of equipment of each groups should be changed by operation status and site environment. But this functions did not work properly in the previous system. This problem is corrected in the proposed system. The improvements can make the proposed system much more realistic one and can leads to an increase in the productivity of earthwork operation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earthwork, a fleet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w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But there were som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o overcome this problem, some opinions are gathered form experts and field engineers and four improvements have been proposed and reflected in the system. First, the previous system consists of one hardware module, so it is hard to install it at a control office and construction equipment at the same time. The server module for the office and the mobile module for construction equipment are separately developed. Second, the transportation algorithm that is used in the previous system can generate shortest paths for the earthwork distribution, but embankment areas are not gathered. This situation leads to a decrease in compaction productivity. A modified algorithm for earthwork distribution is suggested. Third, the automated coordinate transformation is performed to show the posi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on the 3D terrain in real-time. Fourth, construction equipment groups should be formed in the initial stage of earthwork and the number of equipment of each groups should be changed by operation status and site environment. But this functions did not work properly in the previous system. This problem is corrected in the proposed system. The improvements can make the proposed system much more realistic one and can leads to an increase in the productivity of earthwork operations.
, 2016)을 제안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최적 토량배분 계획을 수립하고 건설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하며 건설장비의 이동경로를 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시된 플릿관리 시스템을 실제 현장에 적용시키는 경우에 몇 가지 제약을 갖고 있다.
토공용 건설장비에 적용된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은 대표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토공용 건설장비에 적용된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은 대표적으로EARTHWAVE Technologies사의 “Fleetwatcher”, Catapillar사의 “VisionLink”, Topcon사의 “Sitelink” 등이 있다. 건설장비의 위치추적을 핵심기능으로 하여 장비의 유지관리를 목적으로 주로 운영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이 갖는 제약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하지만 기존에 제시된 플릿관리 시스템을 실제 현장에 적용시키는 경우에 몇 가지 제약을 갖고 있다. 시스템이 단일 모듈로 구성되어 오피스와 각 건설장비에 동시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복수의 모듈로 운영하도록 변경한다고 해도 모듈간 통신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토량배분 계획의 경우에는 건설장비 이동경로 측면에서는 최적화 되어 있으나 절성토구역매칭시 성토구역들이 분산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다짐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표계가 통일되지 않아서 계획수립에 사용되는 토공현장 3D맵상에 건설장비의 실시간 위치표시가 표시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10)
Ahn, S. H., Kim, S. K. and Lee, K. W. (2016). "Development of a fleet management system for cooperation among construction equi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6, No. 3, pp. 573-586 (in Korean).
Baek, H. G., Kang, S. H. and Seo, J. W. (2015). "An earthwork districting model for large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35, No. 3, pp. 715-723 (in Korean).
Burdett, R. L. and Kozan, E. (2014). "An integrated approach for earthwork allocation, sequencing and routing."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238, No. 3, pp. 741-759.
Easa, S. M. (1992). "Estimating earchwork volumes of curved roadways: mathematical model."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ASCE, Vol. 118, No. 6, pp. 834-849.
Easa, S. M. (1993). "Smooth boundary approximation for directly computing irregular area."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ASCE, Vol. 119, No. 3, pp. 86-101.
Easa, S. M. (1998). "Smooth surface approximation for computing pit excavation volume."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ASCE, Vol. 124, No. 3, pp. 125-133.
Kim, S. K. (2014). "A multi-agent based cooperation system for an intelligent earth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5, pp. 1609-1623 (in Korean).
Kim, S. K., Seo, J. W. and Russell, J. S. (2012). "Intellgent navigntion strategis for automated earthwork system."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21, No. 1, pp. 132-147.
Li, D. and Lu, M. (2017). "Automated generation of work breakdown structure and project network model for earthworks project planning: a flow network-based optimization approach."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43, No. 1, 04016086.
US Department of Energy (2015). Berkeley lab promotes lowcorbon cities in china, Energy Analysis & Environmental Impacts Division News, Available at: http://eaei.lbl.gov/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