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관측자료 분석을 통한 위해관리계획 주민대피 장소 선정 개선방안 연구 -인천·시흥·안산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Selection of Evacuation Site through Analysis of Meteorological Data -Focus on Incheon·Siheung·Ansa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16 - 22  

전병한 (고형폐기연구소) ,  김현섭 (시흥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  오승보 (환경부) ,  김희태 (전남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천과 시흥, 안산 소재의 위해관리계획 대상 사업장을 중심으로 인근 지역사회에 고지한 주민대피 장소 현황을 조사하고 기상자료 분석을 통하여 화학사고 시 안전한 주민대피를 위한 장소 선정 과정의 개선 방향을 연구하였다. 총 111개의 주민대피 장소 중에 학교가 30 곳으로 대다수 위해관리계획 대상 사업장이 선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상 2-3곳의 주민대피 장소를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2016년도 지상기상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16방위 중 NNE 풍향 18.8525 %, NNW 풍향 18.0328 %, WSW 풍향 12.2951 %, SSE 풍향 9.0164 %, SW 풍향 8.4700 %, W 풍향 6.5574 %, S 풍향 5.7376 %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았다. NNE 풍향이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지만 NNW 풍향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고 상반되는 풍향인 WSW 풍향과 SSE 풍향도 비교적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어 연간 풍향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고려하여 화학사고 시 안전한 방향의 대피 장소 선정에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resident evacuation sites notified to nearby communities, centered on business sites subject to the risk management plan of Incheon, Siheung, and Ansan. Through an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data,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site selection process fo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행 제도상에서 사고 대비물질을 취급하는 자는 매년 1회 이상 인근 지역주민에게 화학사고 위험 및 응급대응정보 요약서를 고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는 실제 고지된 주민대피 장소 현황을 조사하고, 위해관리계획서 작성에 사용되는 기상통계자료를 분석하여 화학사고 시 안전한 주민대피를 위한 장소 선정 과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화학사고 시 유해화학물질의 대기확산으로부터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의 영향반경 외곽에 위치한 장소로 대피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해관리계획서상 고지된 주민대피 장소 현황을 조사하고 기상자료 분석을 통하여 화학사고 시 안전한 주민대피를 위한 장소 선정 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2012년 ~ 2016년 간 발생한 화학사고 건수는 몇 건인가? 전 세계적으로 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더불어 화학 사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12년 구미 불산 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되었으며 최근 5년간 발생한 화학사고 건수는 2012년 9건, 2013년 86건, 2014년 105건, 2015년 113건, 2016년 78건으로 보고되었다[1,2]. 또한 화학물질은 제조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인체와 환경에 치명적 재난을 가져올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업장 내부뿐만 아니라 Off-site의 영향까지 사전 예측하여 관리하는 종합적인 화학사고 예방 제도의 도입과 관련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화관법상의 위해 관리 계획의 목적은 무엇인가? 화관법상의 위해 관리 계획은 사고 대비물질을 지정수량 이상으로 취급하는 자의 경우 위해 관리 계획서를 5년마다 작성하도록 규정하여 사고 대비물질 취급 사업장의 화학사고를 예방하고 위험을 대응,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위해 관리 계획 제도는 미국의 위해 관리 계획(RMP)을 벤치마킹한 제도로 이와 유사한 제도가 국내외에서 운영되고 있다.
미국의 위해 관리 계획을 벤치마킹한 국내 제도에는 어떤 규정들이 있는가? 국내 위해 관리 계획 제도는 미국의 위해 관리 계획(RMP)을 벤치마킹한 제도로 이와 유사한 제도가 국내외에서 운영되고 있다. 국내 제도로는 산업안전보건법의 공정안전보고서,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안전성 향상 계획, 위험물 안전 관리법의 예방 규정이 있으며, 국외 제도로는 미국의 위해 관리 계획과 영국의 안전 보고서가 있다[5,6].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RMP 정보를 지역 소방서 및 비상대응요원, 지역비상대응위원회를 통한 지역주민들과 공유함으로써 산업계와 주민이 공동으로 화학사고의 예방과 효율적인 비상대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 H. Shin, J. H. Park, "An Evaluation of the Off-site Risk of Spill from a Storage Tank of Nitric Acid", Crisisonomy, vol. 12, no. 3, pp. 187-200, 2016. 

  2. T. H. Lee, D. J. Lee, C. H. Shin, "Characteristic Analysis of Casualty Accidents in Chemical Accident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1, pp. 81-88, 2017. 

  3. K. S. Park, "Offsite Risk Assessment on Toxic Relea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21, no. 3, pp. 9-16, 2017. 

  4. H. K. Jung, J. K. Ma, "A Study on Legal Systems and Politics to Control Chemicals - Focus on Regul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dministrative Law Journal, vol. 44, pp. 191-222, 2016. 

  5. Ministry of Environment, "Chemicals Control Act",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6. J. G. Park, Y. W. Suh, S. Y. Gan, S. W. Lee, "Improvement Measures for Chemical Accident Policies in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Measures to Support the Industry(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 

  7. K. S. Chun, S. B. Kim, C. H. Park, S.R. Ahn, "A Study on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s",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2, no. 1, pp. 38-42,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