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투수성 포장의 설치 면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stallation Areas of Permeable Pavement for Stormwater Contro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104 - 109  

장영수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신현석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피해의 증가, 수질의 악화 등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도시유역의 수문학적 체계를 가능한 자연 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기술인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친수구역 특별법 등에서는 LID 기법과 같은 기술의 중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현재 저영향개발 요소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요소기술의 효율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보 단계에 있는 저영향개발(LID)기법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K-LIDM 모형을 사용하여 주차장의 투수 불투수 포장 최적 공간 분포를 분석하였다. 8가지의 포장 시나리오와 3가지 강우강도 시나리오를 활용하였으며, 하부 40%의 투수포장이 전체 투수포장과 유사한 약 90%의 유출 저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과 실제 투수포장에 대한 실험의 연계를 통하여 향후 도시 계획, 단지 조성 등에 LID 시설을 배치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oding and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caused by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are becoming more serious. In order to respond to this, studies on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which is designed to restore the hydrological system of the urban basin to its natural state, have b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수성 포장의 설계 비율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같은 면적의 주차 면적에 대해 5개의 주차장을 투수성 포장과 불투수성 포장의 배치에 따른 시나리오에 대해서 K-LIDM을 이용하여 첨두유출 저감 효과 및 유출체적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발생한 문제를 대응하기 위해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피해의 증가, 수질의 악화 등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도시유역의 수문학적 체계를 가능한 자연 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기술인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친수구역 특별법 등에서는 LID 기법과 같은 기술의 중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발생한 문제는?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피해의 증가, 수질의 악화 등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도시유역의 수문학적 체계를 가능한 자연 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기술인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유역단위의 치수 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연구되는 저영향개발 기법이란 무엇인가? 최근 기존 유역단위의 치수 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미국의 PGDER(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에서 시작된 저영향개발 기법이란 기존 강우 유출수 관리에 적용되었던 복잡하고 과대한 비용을 요구하는 공학적 접근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녹색 공간의 확보, 자연형 공간 조성, 자연 상태의 수문순환 기능의 유지 기법 등을 활용하여 개발 대상지에서의 강우유출 및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존의 단위 유역별 우수 관리 시스템에서 지구 단위의 우수 관리 시스템으로 도시계획 및 실용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ong, C, "Understanding the affect of preliminary disaster inspection and consult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 54, no. 5, pp. 21-27, May, 2006. 

  2. Koo, Y. M., Jo, J. A., Kim, Y. D., Park, J. H., "A study on runoff analysis of urban watershed by hydrologic infiltration experiment of permeable pav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 33, no. 2, pp. 559-571, Feb. 2013. DOI: http://dx.doi.org/10.12652/Ksce.2013.33.2.559 

  3. Yi, J. E., Yeo, W. G., Shim, J.H., and Kang, T.H., "Analysis of stormwater runoff reduction effects by using porous pa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1 no. 6A, pp. 645-654, June, 2001. 

  4. Bae, C. Y., Park, C. K., Choi, S.H., and Lee, D.K., "Analysis of urban runoff with LID application - Focused on green roofs and permeable pavement.",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vol. 47 no. 6, pp. 39-47, June, 2012. 

  5. Yeon, J. S., Jang, Y. S., Lee, J. H., Shin, H. S., Kim, E. S., "Analysis of stormwater runoff characteristics for spatial distribution of LID element techniques using SWM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5, no. 6, pp. 1-7, June,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6.3983 

  6. Kim, G., Field permeable performance analysis and evaluation of permeable pavement in pusan national university-korea GI & LID center. Master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p. 1-88, 2007. 

  7. Erin A. Dreelin, Laurie Fowler, C. Ronald Carroll, "A test of porous pavement effectiveness on clay soils during natural storm events", Water Research, vol. 40, pp. 799-805, 2006. DOI: https://doi.org/10.1016/j.watres.2005.12.002 

  8. Wolfram Schluter, Chris Jefferies, "Modelling the outflow from a porous pavement", Urban Water, vol. 4, pp. 245-253, 2002. DOI: https://doi.org/10.1016/S1462-0758(01)00065-6 

  9. Elizabeth A. F., Samuel B., "Urban runoff mitigation by a permeable pavement system over impermeable soil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p. 475-485, 2010. DOI: https://doi.org/10.1061/(ASCE)HE.1943-5584.0000238 

  10. Pezzaniti, D., Beecham, S., Kandasamy, J., " Influence of clogging on the effective life of permeable pavements", Water Management, 162(WM3), pp. 211-220, 2009. DOI: https://doi.org/10.1680/wama.2009.00034 

  11. C. F. Yong, D. T. McCarthy, A. Deletic., "Predicting physical clogging of porous and permeable pavements", Journal of Hydrology, 481, pp, 48-55, 2013. DOI: https://doi.org/10.1016/j.jhydrol.2012.12.009 

  12. Jill B., Doug B., Arleen F., "The Bay Area Hydrology Model - A Tool for Analyzing Hydromodification Effects of Development Projects and Sizing Solutions", California Stormwater Quality Association, 2006.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mprovement and Supplement of Probability Rainfall, pp. 1-53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