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마을 재생을 위한 정자쉼터 공간구조분석과 이용 후 평가 - 경산권, 김천권 정자쉼터를 대상으로 -
Spatial Structure Analysis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 On the Jungja Shelter in Gimcheom city and Kyeongsan city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4, 2017년, pp.99 - 110  

구민아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엄붕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POE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14 Jungja shelter space at rural villages in Gyungbuk province, were investigat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otal 139 residents as POE. The use behavior and satis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마을 특색에 맞추어진 마을 리모델링 사업이 확대되어야 함을 전제로, 대표적인 마을 공동공간인 정자쉼터에 대한 이용 후 평가와 공간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촌마을 재생에서 가장 중요한 주민참여를 위해 이용 후 평가를 통한 만족도 분석을 하여 현재 조성되어진 정자쉼터의 문제점과 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공간구조분석을 통해 마을의 지형, 도로, 그리고 마을 형태와 도로에 따른 정자쉼터의 위치를 모식도로 분석해 내어 유형화 하며 나아가 각 유형들과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로는 경상북도 소재의 14개 정자쉼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대표적 공동공간인 정자쉼터를 중심으로 이용 후 평가를 통해 주민만족도를 분석하고, 각 농촌마을의 공간구조분석을 통해 정자쉼터의 위치, 공간배치와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농촌마을에서의 공동 공간 배치계획방법론으로서 활용하며, 또한 농촌마을재생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이러한 분류방식을 본 연구에 활용하여 사례지 마을 공간구조분석을 지형과 길을 체계화하여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덧붙여 정자쉼터의 위치를 마을의 지형과 길 체계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로 확장된 분석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각 마을 공간구조와 더불어 공간구조 내에서정자쉼터의 위치에 따라 이용 후 만족도를 분석해, 앞으로 농촌마을재생에서 정자쉼터의 위치와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낼 수 있도록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내용은 대상지 14곳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통한 이용 후 평가와 공간구조분석을 통한 유형화를 하고, 이를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농촌마을재생을 위한 농촌마을 대표적 공동공간으로서의 정자쉼터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음 진행에 따른다.
  • 농촌마을은 대부분 자연발생적으로 일차산업, 기후 등과 관계되어 발생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을의 산업, 지역성 등을 살린 지형의 형태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농촌재생에 있어서 도로의 형태, 공공공간의 위치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공공공간으로서의 정자쉼터 위치는 반개방적 마을지형과 순환형 도로체계에서 마을 입구로 들어오는 큰 도로변에서 약간 마을 쪽으로 들어가면서 해당 마을의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은 중심부분에 위치시키도록 계획에 고려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개방적인 지형이나 도로가 마을을 관통하고 있는 경우 정자쉼터를 나란히 위치시키거나, 마을의 한쪽으로 치우지게 배치하는 등의 계획을 지양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활용한 농촌마을 공간구조 분류는? 농촌마을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로는 이행욱 외(2004)Space Syntax를 이용한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권역의 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 GIS를 사용하여 농촌마을의 권역을 방광권역, 오봉권역, 수문권역 등으로 유형화하여 정비방안을 마련하였으며, 김혜민 외(2006) 지형과길 체계에 의한 농촌마을 공간구조 분류에서 마을공간구조를 폐쇄적 종결형, 폐쇄적 일체형, 반개방적 종결형, 반개방적 순환형, 개방적 순환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방식을 본 연구에 활용하여 사례지 마을 공간구조분석을 지형과 길을 체계화하여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덧붙여 정자쉼터의 위치를 마을의 지형과 길 체계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로 확장된 분석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정자쉼터들의 종합만족도 조사 결과, 만족도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은 무엇이며 개선방안은? 따라서 정자쉼터는 인근도로에 접해있어 매우 접근성이 좋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반면에 녹지조성이나 경관적 가치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편안한 느낌을 가지지 못하고 있었으며, 교통사고 안전에 대한 불만족이 드러나고 있었다. 정자쉼터의 위치가 대부분 마을회관주변에 배치되어 있고 큰 도로변에 면해 있어 접근성은 좋은 반면, 보행자 안전에 대한 배려와 정자쉼터 자체의 녹지나 경관, 야간조명까지 고려한 보완과 계획이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촌마을에서의 공동공간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특징은? 농촌마을에서의 공동공간은 농촌마을 공동이용시설활용실태조사(방세라 외, 2014)에서 대부분 마을회관이나 노인정 다음으로 쉼터와 정자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활용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러한 쉼터 또한 대부분 정자를 위주로 한 공간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ng, S. R., Park, J. M., Park, G. B. & Kim, O. K., 2014, Strategic Plan for Revitalization by Analyzing on Current Status of Public Using Facilities in Rural Village, Proc.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4(1), 22-23. 

  2. Do, H. H., 2015,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he Rural Village Remodeling -Focused in Korean and German Rural villa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7(1), 35-44. 

  3. Hur, J. Y., 2009, A study on the Rsidents' Paticipation and Satisfaction Levels for the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With Reference to the Gyeongbuk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 M. A. Thesis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Yeungnam University. 

  4.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5, Urban Regeneration, Bosunggak, Seoul, 12-15, 385-387. 

  5. Kim, B. W., Kim, Y. I. and Kim, C. B., 2001, A Study on the User's Behaviors and Satisfactions of the Rural Mini Parks in Rural Villages of Kyonggi-do, Jour. of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9(2), 59-69. 

  6. Kim, E. J., Yoo, Y. K., Lim, C. S., Choi, J. A. Kim, S. B. and Park M. J., 2014, A Study on Planning Trails of Natural and Historic-Cultural Landscapes in Rural Vill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2), 59-171. 

  7. Kim, H. M., Kim, J. H. and Kim, M. J., 2006,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Rural Village in Korea, Proc.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autumn), 105 

  8. Kwon, S. H. and Jung, J. H,. 2007, A Study on Various Functions of Jungja in Lineage Village in Chosun Dynasty Period, Resarch on Construction Environment, 6(1), 13-22. 

  9. Lee, C. S. and Im, S.B., 1997, A Study on the Minimum Size of Rural Pocket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1), 36-46. 

  10. Lee, H. J.,2009, Changes in Rural Policy Paradigm and Rural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 A Study based on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1), 7-47. 

  11. Lee H. W., Kim, Y. J. and Choi, S. M., 2004,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Analysis for Comprehensive Rural Clustered Villages Development Area Using the Space Syntax Method Technique, Journal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0(4), 19-28. 

  12. Ministry of Agriculture, 1995, A study of Development of Standard Design and Guidelines for Common Rest Areas in Rural Villages(1st year report) 

  13. Park, J. M. and Kim O. K., 2015, Revitalizing Plan for Public Using Building through Current Status Survey in Rural Residential Area, Journal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5(1), 53-64. 

  14. Suh, J. H., Choi, H. S., Yang, H. S. and Kim, J. P., 2015, Creating Shelter for Rural Village Community Activation, Proc.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 180. 

  15. Urban regeneration Center, 2012, The New Idea for the Urban Regeneration System, Hanwool, Gyunggido, 25-30, 210-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