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웰니스 의류에 적용 가능한 바이오센서 동향 연구
A Review Study of Biosensors applicable to Wellness Wea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231 - 243  

김효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섬유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전기적 감지 방식 바이오센서의 개념을 리뷰하고, 의류 및 텍스트 기반의 바이오센서의 연구 사례를 조사하였다. 생체 신호를 측정 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감지 물질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바이오센서를 사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웰니스 의류는 U-Health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센서와 다르게 바이오센서의 차별화된 특징은 선택적 반응과 생물학적 물질의 결합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바이오센서 중 전기적 감지 바이오센서는 전기 신호의 처리로 인해 크기가 매우 작아 유비쿼터스 환경을 조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웰니스 의류를 개발하기 위해 소형화가 쉬운 전기적 감지 바이오센서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적 감지 바이오센서(전기화학적 방식, 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 기반 FET 방식)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고찰을 통해 향후 웰니스 의류에 적용 가능할 바이오센서의 기술개발 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vides a review of the electrical sensing biosensors and examine research cases of biosensors based on clothing and textiels. A biosensor which can measure bio-signals is a device that senses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materials by using biological sensing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과 같이 속옷의 허리 부분에 직접 탄소 전극을 인쇄하여 섬유기반 전류 센서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기계적 스트레스가 전기화학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직물 기질에 전극을 직접 스크린-프린팅(screen-printing)하는 것은 의복 기반 전기 화학적 센서 제조에 매우 편리한 기술이다.
  • 전기적 감지 방식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를 전기화학적 방식 바이오센서와 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 기반 FET 바이오센서로 나누어 이들의 개념, 원리, 제작 방법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들을 기술하였다. 또한 의류 및 텍스타일 기반 바이오센서의 연구 사례들을 제시하여 웰니스 의류에 적용된 바이오센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향후 웰니스 의류에 적용 가능할 바이오센서의 기술개발 방향을 제언하였다.
  • 또한 생체물질은 환경 조건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열악한 환경에서 잘 견디고 신뢰성 높은 바이오센서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바이오센서 기술개발 추세는 여러가지 성분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마이크로 어레이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다. 바이오센서가 한 가지 바이오물질을 검출하던 기존의 제품을 뛰어넘어 바이오센서가 서브타입 바이러스, 병원균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동시에 여러 가지 바이오물질의 측정이 가능해야하기 때문이다.
  •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센서의 정의와 신호변환기의 형태에 따른 유형을 소개하고, 이 중 U-Health 환경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전기적 감지 방식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대해 기술하였다. 전기적 감지 방식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를 전기화학적 방식 바이오센서와 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 기반 FET 바이오센서로 나누어 이들의 개념, 원리, 제작 방법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들을 기술하였다.
  • 본 논문은 향후 웰니스 의류의 개발을 위해 웰니스 의류에 적용 가능한 전기적 감지 방식 바이오센서인 전기화학적 방식의 바이오센서와 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 기반 FET 바이오센서의 개념, 원리 그리고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웰니스 의류로서 의복의 기능과 U-Health 서비스 제공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려면 기본적으로 소형화, 비표지, 대량생산 등이 가능한 바이오센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 신호를 측정 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본 논문은 전기적 감지 방식 바이오센서의 개념을 리뷰하고, 의류 및 텍스트 기반의 바이오센서의 연구 사례를 조사하였다. 생체 신호를 측정 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감지 물질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바이오센서를 사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웰니스 의류는 U-Health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웰니스 의류의 특징은? 생체 신호를 측정 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감지 물질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바이오센서를 사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웰니스 의류는 U-Health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센서와 다르게 바이오센서의 차별화된 특징은 선택적 반응과 생물학적 물질의 결합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표지식 바이오 포토닉 센서 기술의 단점은? 일반적으로 형광물질, 인광물질, 발색물질, 방사선물질 등의 발광 물질을 인식물질에 표지하여 인식물질과 분석물질과의 반응 유무를 표지된 발광물질의 광신호를 감지하여 검출해 내는 기술을 표지식 바이오 포토닉 센서 기술이라고 한다. 이러한 분석 방법은 상당히 민감하지만 매우 느리고 고가의 분석 장비가 있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생화학 반응 유무를 비표지(label-free) 방식으로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 S. Lee, S. H. Lee & J. S. Jeong,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7, pp.445-456, 2017.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7.445 

  2. J. S. Jang, S. J. Lee, K. I. Lee & T. R. Le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ardiac Arrest Support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1, pp.227-238, 2017.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27 

  3. J. Yoo,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System Improvement for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283-288, 2016. DOI: http://dx.doi.org/10.14400/DC.2016.14.11.283 

  4. D. H. Yun, M. J. Song, J. H. Kim, M. S. Kang, N. K. Min & S. I. Hong,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3-mercaptopropionic acid self-assembled monolayer for urea sensor",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Summer Conference, pp.14-16, 2004. 

  5. S. K. Kim & B. H. Chung, "Electrochemical Biosensors for U-Healthcare", J. Biomed. Eng. Res., Vol. 29, No. 5, pp.337-342, 2008. 

  6. K. S. Hwang, S. K. Kim & T. S. Kim, "Biosensors: a review", J. Kor. Sensors Soc, Vol. 18, No. 4, 2009. pp.251-262. DOI: http://doi.org/10.5369/jsst.2009.18..251 

  7. Y. H. Yun, S. Hur & S. C. Lee, "Nano-Bio Sensor Technology and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25, No. 11, pp.7-14, 2008. 

  8. D. N. Stratis-Cullum, & A. S. Finch, "Current trends in ubiquitous biosensing". J. Anal. Bioanal. Tech., Vol. S7, 2013. DOI: http://doi.org/10.4172/155-9872.S7-009 

  9. S. Park & J. Yang, "Recent research trends on Bio-MEMS" J. of the Korean Sensor Society, Vol. 19, No. 4, pp.259-270, 2010. DOI: http://doi.org/10.369/jsst.2010.19.4.259 

  10. G. Y. Sung, C. W. Park, K. H. Kim & J. H. Yang, "Recent Technology Trend of the Biosensors for the Ubiquitous Health-Car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 24, No. 5, pp.38-51, 2009. 

  11. J. Y. Kang & T. S. Kim, "Research trend of nanobio sensor/chip",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17, No. 4, pp.5-15, 2004. 

  12. Y. Son, "Biosensor Trends",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4, No. 1, pp.9-16, 2011. 

  13. T. J. Kim, "Biosensor", Korean J. Biotechnol. Bioeng., Vol. 22, No. 6, pp.421-425, 2007. 

  14. O. S. Kwon, "Nanobiosensors Based on Field-Effect Transistor",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6, No. 4, pp.323-328, 2015. 

  15. S. J. Sim & J. P. Kim, "Biosensor Technology Based on Carbon Nanotubes Using Electrical Detectio",. Korean Industrial Chemistry News, Vol. 14, No. 1, pp.31-40, 2011. 

  16. Y. S. Son, "Field Effect Transistors for Biomedical Application",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 24, No. 1, pp.1-9, 2013. 

  17. E. C. Lee, "Development of field-effect transistor-based biosensor",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2, No. 5, pp.38-45, 2009. 

  18. C. J. Choi, "Research Trends of Nanobiosensors", Ceramist, Vol. 14, No. 4, pp.44-49, 2011. 

  19. M. S. Gudiksen, L. J. Lauhon, J. Wang, D. C. Smith, & C. M. Lieber "Growth of nanowire superlattice structures for nanoscale photonics and electronics", Nature, Vol. 415, No. 6872, pp.617-620, 2002. DOI: http://doi.org/10.1038/415617a 

  20. S. C. Hernandez, D. Chaudhuri, W. Chen, N. V. Myung, & A. Mulchandani, "Single polypyrrole nanowire ammonia gas sensor", Electroanalysis, Vol. 19, No. 19-20, pp.2125-2130, 2007. DOI: http://doi.org/10.1002/elan.200703933 

  21. S. Kang, B. Choi, K. Kim, J. Choi & S. Oh, "Potable Nanobiosensors", pp.16-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6. 

  22. J. W. Choi, B. G. Oh & S. M. Oh. "Technical analysis and research trend of nano-biosensor",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0, No. 10, pp.3-13, 2007. 

  23. B. Cho, B. Lim, J. K. Shin, S. W. Choi & H. S. Chun, "Fabrication of the CNT-FET biosensors with a double-gate structure", J. of the Korean Sensors Society, Vol. 18, No. 2, pp.168-172, 2009. DOI: http://doi.org/10.5369/jsst.2009.18.2.168 

  24. V. Derycke, R. Martel, J. Appenzeller & P. Avouris, "Controlling doping and carrier injection in carbon nanotube transistor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80, No. 15, pp.2773-2775, 2002. DOI: http://doi.org/10.1063/1.1467702 

  25. R. S. Malon, K. Y. Chua, D. H. Wicaksono & E. P. Corcoles, "Cotton fabric-based electrochemical device for lactate measurement in saliva", Analyst, Vol. 139, No. 12, pp.3009-301, 2014. DOI: https://doi.org/10.1039/c4an00201f 

  26. T. Seesaard, P. Lorwongtragool, & T. Kerdcharoen, "Development of fabric-based chemical gas sensors for use as wearable electronic noses", Sensors, Vol. 15, No. 1, pp.1885-1902, 2015. DOI: https://doi.org/10.3390/s150101885 

  27. Y. L. Yang, M. C. Chuang, S. L. Lou, & J. Wang, "Thick-film textile-based amperometric sensors and biosensors", Analyst, Vol. 135, No. 6, pp.1230-1234, 2010. DOI: https://doi.org/10.1039/926339j 

  28. T. Guinovart, M. Parrilla, G. A. Crespo, F. X. Rius & F. J. Andrade, "Potentiometric sensors using cotton yarns, carbon nanotubes and polymeric membranes", Analyst, Vol. 138, No. 18, pp.5208-5215, 2013. DOI: https://doi.org/10.1039/3an00710c 

  29. T. Choudhary, G. P. Rajamanickam & D. Dendukuri,."Woven electrochemical fabric-based test sensors (WEFTS): a new class of multiplexed electrochemical sensors", Lab on a Chip, Vol. 15, No. 9, pp.2064-2072, 2015. DOI: https://doi.org/0.1039/c5lc00041f 

  30. E. K. Wujcik, N. J. Blasdel, D. Trowbridge & C. N. Monty, "Ion sensor for the quantification of sodium in sweat samples", IEEE Sensors Journal, Vol. 13, No. 9, pp.3430-3436, 2013. DOI: https://doi.org/10.1109/jsen.2013.22571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