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주변국 해양감시를 위한 전자신호 수집위성 연구개발
China's Satellite Research and Development to Collect Electronic Signals for Marine Reconnaissance to Surrounding Nations 원문보기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v.12 no.3, 2017년, pp.54 - 62  

이용식 (국방부) ,  엄상호 (국방부) ,  임재성 (아주대학교 NCW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국은 서태평양, 남중국해, 인도양에서 미국 및 역내 국가들의 해양세력 움직임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하여 1960년대부터 기존의 지상 및 항공 감시체계를 벗어나 우주기반 감시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군사위성분야에 많은 투자를 해왔다. 수차례의 실험위성 발사 및 운용시험을 통하여 핵심기술을 확보한 후에 2006년 이후 EO, SAR, ELINT분야의 군사 첩보위성인 Yaogan위성을 현재까지 약 40여 차례 이상 발사하여 운용하고 있다. 특히 전구적으로 운용 가능한 수십여 기의 ELINT 신호수집 위성을 중심으로 우주기반 위성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수집된 자료를 지상으로 실시간 전송함과 동시에 지상기반 C4ISR 네트워크와 연동된 대함탄도미사일인 ASBM에 해양 공격목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중국의 주변 해양세력에 대한 감시 및 미사일 공격능력을 한층 더 강화시켰다. 향후 전자신호 위성수집분야에 더욱더 기술적인 연구를 통해서 정확한 위치 탐색과 분석능력을 확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na has invested for military satellite technology development to construct the space-based surveillance system from existing land-based and aerostat surveillance system since 1960s to react rapidly for deployment of marine force of United States and surrounding nations in west Pacific, south Ch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국과 舊소련의 우주기반 전자신호 수집위성 개발이 지속됨에 따라 중국 역시 1960년대 후반부터 701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701프로그램은 상하이항공국(Shanghai Bureau of Astronautics)이 추진하게 되었으며 중국의 기존 지상기반 전자신호 수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기에 인력 및 재정의 적극 지원으로 중국의 첫 전자신호 수집 실험위성인 Shijian-1이 그림 1에서처럼 1971년 3월에 주취안(Jiuquan) 위성 발사장에서 발사되었으며 중국은 정지위성의 경우 시창(Xichang)에서 극궤도의 경우 타이위안(Taiyuan)에서 주로 발사하고 있다[2][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OSS위성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하는가? 미 NOSS위성의 첫 실험발사는 1971년에 3기의 위성을 발사하는 것으로 시작 되었으며 1983년에서 1990년 사이에 다양한 성능이 향상된 5기의 위성이 발사되었다. 이러한 NOSS위성들은 TDOA 삼각측량법을 활용하여 적국의 함정 탐지, 식별, 위치파악 기능 등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지휘소로 중계되어 유사시 OTH레이더로 순항미사일 발사를 위한 목표설정 및 평시 타국 함정의 전술작전에 대한 정보수집에 활용되었다[4].
NOSS위성들로 수집한 자료는 어디에 활용되었는가? 이러한 NOSS위성들은 TDOA 삼각측량법을 활용하여 적국의 함정 탐지, 식별, 위치파악 기능 등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지휘소로 중계되어 유사시 OTH레이더로 순항미사일 발사를 위한 목표설정 및 평시 타국 함정의 전술작전에 대한 정보수집에 활용되었다[4]. 최근에는 전자신호 수집체계 외에도 이러한 위성에 다양한 해공군의 임무수행을 위한 적외선센서와 레이더센서를 탐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 NOSS위성의 첫 실헐발사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미 해군 감시위성체계(NOSS)는 미공군의 Ferret에서 발전되었으며 Ferret 프로그램은 1960년대에 적군의 방공레이더의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된 프로그램이다[2]. 미 NOSS위성의 첫 실험발사는 1971년에 3기의 위성을 발사하는 것으로 시작 되었으며 1983년에서 1990년 사이에 다양한 성능이 향상된 5기의 위성이 발사되었다. 이러한 NOSS위성들은 TDOA 삼각측량법을 활용하여 적국의 함정 탐지, 식별, 위치파악 기능 등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Ian Easton. Mark A. Stokes : "China's Electronic Intelligence Satellite Developments", The project 2049 Institute, 2011 

  2. 이호형,"신호정보위성의 역사 및 현황",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제 11권 2호, pp. 111-118, 2013. 

  3. http://blog.naver.com/chsshim/220302559674 

  4. S Chandrasheker and Soma Perumal : China's Constellation of Yaogan Satellite & the Anti-Ship Ballistic Missile,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 Bangalore, 2015 

  5. http://space.skyrocket.de/doc_sdat/yaogan-9.htm 

  6. 홍성범, "중국의 인공위성, 로켓개발의 현황과 전망", 과학기술정책, pp. 57-60, 2009. 가을 

  7. KARI,"우주강국 중국의 성장과정", 2016. 3 

  8. http://www.globalsecurity.org/space/systems/noss.htm 

  9. http://gall.dcinside.com/board/view/ 

  10. 중국 우주백서,"2006년 중국의 우주항공사업" 

  11. http://space.skyrocket.de/doc_sdat/sj-6.htm 

  12. https://en.wikipedia.org/wiki/Yaogan 

  13. https://chinaspacereport.com/spacecraft/yaogan/ 

  14. George Friedman,"Chinese Maritime Strategy and ROK-US Naval Cooperation", 제 1회 손원일 포럼, 2012. 3. 

  15. 최종건, 고경윤,"중국과 일본의 항공우주정보력 변화 연구", 국방연구, 제58권 제1호, pp. 19-21, 2015. 3 

  16.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중국의 위성기술 R&D 정책 추진 동향", 2014. 

  17. http://www.atimes.com/article/light-war-space-based-lasers-among-beijings--high-tech-arms 

  18.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720423.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