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원자력시설 EMP 침해방지를 위한 방호체계 연구현황과 규제체계 구축현황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誌 = KIISC review, v.28 no.6, 2018년, pp.88 - 95  

류진호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송동훈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황호종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신익현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사능방재법의 개정을 통해 전자적 침해행위의 유형으로 고출력 전자기파(Electromagnetic Pulse, 이하 EMP) 위협에 대한 대책이 원자력시설별로 마련되도록 요구되었다. 그동안 국내의 EMP 위협에 대한 방호 대책은 군사시설 중심으로 오랫동안 연구되고 적용된 바 있으나, 공공 및 민간시설에 대해서는 이제 막 첫발을 내딛은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사이버보안실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내 원자력시설에 대한 EMP 방호 규제체계 구축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이에 배경이 되는 법적 근거 및 국내 외 유관 연구사례 및 기술표준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DA식별에 관한 기준과 EMP 방호대상 기기에 관한 기준 및 절차는 각각 KINAC 기술기준 원자력시설의 컴퓨터 및 정보시스템 보안(KINAC/RS- 015)[3]와 원자력시설의 고출력 전자기파 방호(KINAC/ RS-020)[4]에 상세히 나와 있으며, 본고에서는 상기 기술기준의 상세 내용에 관한 논의는 생략한다.
  • 그리고 현 시점에서 참조할 수 있는 과거 및 현재의 국내·외 EMP 방호 관련 자료들을 통해 EMP 방호체계 구축의 배경으로 삼고자 하였다.
  • 따라서 전자적 침해행위의 한종류인 EMP 방호의 법률적 책임 및 귀속은 먼저 물리 적방호 관련 법령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어떤 법적 근거를 통해 현재 EMP 위협에 대한 방호규제가 사이버보안 측면에서 다뤄지게 되는지도 본 절의 논의를 통해 명확히 살펴보고자 한다.
  • 계속해서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NRC(Nuclear Regulatory Commission)는 이와 유사한 결론을 두 차례의 추가연구(2007년~2009년 및 2010년)에 내린바 있으나, 당시 결과에 대한 기술적 배경이 되는 자료는 공개가 되지 않았으며, 이에 현 시점에서는 CR-3069가 가장 최신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절에서는 CR-3069의 HEMP 영향 분석 방법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그 체계는 아래 그림과 같다.
  • 본 절에서는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대상 EMP 방호 추진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EMP 위협 관련 각종 평가 및 보안대책 적용의 기준이 되는 국제 표준들, 특히 IEC 표준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와 미국 원전에 대한 EMP 영향 분석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국내 EMP 관련 표준 및 기준은 국방부 및과기정통부의 EMP 방호시설 성능기준이 있으나 [5][6], 미국의 오래된 국방규격을 참조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개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7].
  • 본 절에서는 현재 원자력시설에 대한 EMP 방호가 원자력시설 사이버보안 규제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법률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방사능 방재법상 사이버보안 요건은 “전자적 침해행위”라는 용어로 기술되며, 물리적방호 요건에 전반적으로 종속 되어있는 측면이 있다.
  • EMP 위협은 원자력시설에 있어 저비용으로 매우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효과적인 공격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고를 통해 필자는 국내 원자력시설에 대한 EMP 방호가 정부 규제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수행 및 추진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사이버보안과 EMP 위협간의 관계를 국내 관련 법령을 통해 살펴보았다.
  • 더불어, 동 부서에서는 원자력 안전재단 수탁과제 “원자력시설의 고출력 전자기파 방호 규제 방법론 개발”을 통해 원자력시설 EMP 취약성 평가 검증을 통한 방호규제 체계 구축을 연구하고 있다. 이는 원자력사업자 주관으로 수행되는 시설에 대한 EMP 취약성 평가 결과를 독립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규제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EMP 방호규제를 위한 관련법령 정비 및 고시 개정안을 개발하여 업무수행 근거를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 이는 원자력사업자 주관으로 수행되는 시설에 대한 EMP 취약성 평가 결과를 독립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규제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EMP 방호규제를 위한 관련법령 정비 및 고시 개정안을 개발하여 업무수행 근거를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 특히, 비핵 EMP 위협 중 IEMI(Intentional Electromag -netic Pulse) 위협에 대해서는 원자력시설에 대한 피해 정도가 가늠조차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사이버보안실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내 원자력시설에 대한 EMP 방호 규제체계 구축현황을 소개하고, 이에 배경이 되는 법적 근거 및 국내․외 유관 연구사례 및 기술표준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EMP 공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장비의 영구적인 손상만을 HEMP 영향으로 가정하였다. 즉, 영구적인 손상 이전에 발생가능한 장비의 이상기동(Upset)은 고려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EMP 위협에 대한 방호 대책은 어떤 상황인가? 방사능방재법의 개정을 통해 전자적 침해행위의 유형으로 고출력 전자기파(Electromagnetic Pulse, 이하 EMP) 위협에 대한 대책이 원자력시설별로 마련되도록 요구되었다. 그동안 국내의 EMP 위협에 대한 방호 대책은 군사시설 중심으로 오랫동안 연구되고 적용된 바 있으나, 공공 및 민간시설에 대해서는 이제 막 첫발을 내딛은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사이버보안실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내 원자력시설에 대한 EMP 방호 규제체계 구축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이에 배경이 되는 법적 근거 및 국내 외 유관 연구사례 및 기술표준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원전 안전정지에 필수적인 기능의 3가지는 무엇인가? ○ 핵분열반응을 정지시키는 기능 ○ 냉각수 수량을 유지시키는 기능 ○ 핵분열 생성물의 붕괴열(Decay Heat)제거 기능
방사능방재법의 개정을 통해 무엇이 요구되었는가? 방사능방재법의 개정을 통해 전자적 침해행위의 유형으로 고출력 전자기파(Electromagnetic Pulse, 이하 EMP) 위협에 대한 대책이 원자력시설별로 마련되도록 요구되었다. 그동안 국내의 EMP 위협에 대한 방호 대책은 군사시설 중심으로 오랫동안 연구되고 적용된 바 있으나, 공공 및 민간시설에 대해서는 이제 막 첫발을 내딛은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 법령집", pp. 1-2, 2017. 

  2.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원자력시설등의 물리적 방호 관련 사무편람", pp. 1-2, 2016. 

  3.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원자력시설의 컴퓨터 및 정보시스템 보안 심.검사 기준(KINAC/RS-015)", 2016. 

  4.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원자력시설의 고출력 전자기파 방호(KINAC/RS-020)", 2017. 

  5. 미래창조과학부고시 제2013-13호,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 기준", 2013. 

  6. 국방부, DMFC 4-4-70, "국방.군사시설기준 - 전자파 방호시설 설계기준", 2009. 

  7. 정연춘, "고출력 전자기파 정책의 현안문제와 대처방안", 전자파기술 28(3) pp.3-10, 2017. 

  8.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EMP 취약점 분석 평가 기준", 2018. 

  9. 국가사이버안전센터, 국립전파연구원, 국가보안 기술연구소, "EMP 침해방지 대책 기술기준", 2018. 

  10. 진정희, "고출력 전자기파(HPEM) 개요 및 방호 설계 방법", 2018. 

  11. MIL-STD-188-125-1, "High-altitude elec -tromagnetic Pulse (HEMP) Protection for ground-based C4I facilities perform -ing critical", Time-urgent Missions, Part 1 Fixed Facilities, Jul. 1998 

  12. 장태헌, "EMP 표준화 동향", 전자파기술 27(1) pp.37-44, 2016. 

  13. 예송해 외 4명, "가동원전 고출력전자기펄스(EMP) 영향분석 대상기기 선정",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101-1102,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