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8 no.1, 2018년, pp.32 - 37
유환수 (충남대학교 차세대기판학과) , 김효진 (충남대학교 차세대기판학과) , 김도진 (충남대학교 차세대기판학과)
We report on the efficient detection of NO gas by an all-oxide semiconductor p-n heterojunction diode structure comprised of n-type zinc oxide (ZnO) nanorods embedded in p-type copper oxide (CuO) thin film. The CuO thin film/ZnO nanorod heterostructure was fabricated by directly sputtering CuO thin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질소 산화물(NOx) 가스의 특징은? | 최근에 인류가 유발한 대기 오염 및 유독 가스의 돌발적 누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공기 중 다양한 유해 가스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고성능 가스 센서에 대한 긴급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유독 가스들 가운데 질소 산화물(NOx) 가스는 가정용 및 산업용 연소 기기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심각한 대기 오염원 중의 하나로서 인간의 호흡기와 신경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뿐 아니라, 광화학적 스모그와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가스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일산화질소(NO) 가스는 유독한 이산화질소(NO2) 가스의 원천일 뿐 아니라 광화학적 스모그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는 매우 유해한 가스다. | |
고성능 가스 센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이유는? | 최근에 인류가 유발한 대기 오염 및 유독 가스의 돌발적 누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공기 중 다양한 유해 가스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고성능 가스 센서에 대한 긴급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유독 가스들 가운데 질소 산화물(NOx) 가스는 가정용 및 산업용 연소 기기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심각한 대기 오염원 중의 하나로서 인간의 호흡기와 신경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뿐 아니라, 광화학적 스모그와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가스로 알려져 있다. | |
NO 가스 센서가 예방적 안전 모니터로서 필요한 소자인 이유는? | 1) 주로 내연 기관 내 화석 연료의 연소에서 비롯되는 NO 가스는 물에 약간 용해되며 호흡할 때 질산을 형성함으로써 호흡기의 점막을 자극하게 된다. 공기 중 NO 가스의 농도를 추적 관찰하는 것은 유익한데, 왜냐하면 환경 기관은 이 자료를 이용하여 스모그 발생 확률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NO 가스 센서는 예방적 안전 모니터로서 필요한 소자이다. |
G. F. Fine, L. M. Cavanagh, A. Afonja and R. Bibions, Sensors, 10, 5469 (2010).
N. Yamazoe and N. Miura, Sens. Actuators, B, 20, 95(1994).
S. Basu and A. Dutta, Sens. Actuators, B, 22, 83 (1994).
Y. Xia, P. Yang, Y. Sun, Y. Wu, B. Mayers, B. Gates, Y. Yin, F. Kim and H. Yan, Adv. Mater., 15, 353 (2003).
D. H. Zhang, C. Li, X. L. Liu, T. Tang and C. W. Zhou, Appl. Phys. Lett., 83, 1845 (2003).
T. Gao and T. H. Wang, Appl. Phys. A, 80, 1451 (2005).
N. L. Hung, E. Ahn, H. Jung, H. Kim and D. Kim, J. Korean Phys. Soc., 57, 1784 (2010).
S. Park, H. Kim and D. Kim, J. Korean Phys. Soc., 66, 31 (2015).
J. X. Wang, X. W. Sun, Y. Yang, H. Huang, Y. C. Lee, O. K. Tan and L. Vayssieres, Nanotechnology, 17, 4995(2006).
J. Y. Park, S.-W. Choi and S. S. Kim, Nanoscale Res. Lett., 5, 353 (2010).
R. Kumar, O. Al-Dossary, G. Kumar and A. Umar, Nano-Micro Lett., 7, 97 (2015).
S.-D. Baek, P. Biswas, J.-W. Kim, Y. C. Kim, T. I. Lee and J.-M. Myoung, ACS Appl. Mater. Interfaces, 8, 13018 (2016).
P. Biswas, S.-D. Baek, S. H. Lee, J.-H. Park, S. J. Lee, T. I. Lee and J.-M. Myoung, Sci. Rep., 5, 17961 (2015).
C. M. Chen, S. J. Chang, S. P. Chang, M. J. Li, I. C. Chen, T. J. Hsueh and C. I. Hsu, Chem. Phys. Lett., 476, 69 (2009).
S. Maridha and D. Basak, Semicond. Sci. Technol., 21, 928 (2006).
J. M. Luther, J. Gao, M. T. Lloyd, O. E. Semonin, M. C. Barad and A. J. Nozik, Adv. Mater., 22, 3704 (2010).
A. El-Trass, H. El-Shamy, I. El-Mehasseb and M. El-Kemary, Appl. Surf. Sci., 258, 2997 (2012).
H. Kidowaki, T. Oku and T. Akiyama, J. Phys.: Conf. Ser., 352, 012022 (2012).
L. T. Hoa and S. H. Hur, Phys. Stat. Sol. A, 210, 1213, (2013).
L. Liu, K. Hong, T. Hu and M. Xu, J. Alloys Compd., 511, 195 (2012).
A. Chowdhury, B. Biswas, R. N. Bera and B. Malik, RSC Advances, 2, 10968 (2012).
S. Choopun, N. Hongsith and E. Wongrat, Nanowires - Recent Advances, p. 8, ed. by X. Peng, InTech (2012).
S. C. Naisbitt, K. F. E. Pratt, D. E. Williams and I. P. Parkin, Sens. Actuators B, 114, 969 (2006).
H. Yoo, MS Thesis (in Korean), p. 76,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01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