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연특성을 가지는 EVA/Intumescent/나노클레이 복합재료 제조 및 교호집성재(Cross Laminated Timber) 적용 기술
Preparation of EVA/Intumescent/Nano-Clay Composite with Flame Retardant Properties and Cross Laminated Timber (CLT) Application Technology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1, 2018년, pp.73 - 84  

최요석 ((주)케이비어드히시브스.) ,  박지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접착과학 및 바이오복합재료 연구실) ,  이정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접착과학 및 바이오복합재료 연구실) ,  신재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접착과학 및 바이오복합재료 연구실) ,  장성욱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접착과학 및 바이오복합재료 연구실) ,  김현중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접착과학 및 바이오복합재료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늘어나고 있는 도시형 화재 사고와 건축 외장재에 따른 화재 피해 사례의 증가에 따라 난연처리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목재를 기반으로 한 건축재료의 활용에 있어서 난연처리기술은 더욱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Intumescent 시스템은 비할로겐계 난연처리기술의 하나로, 발포와 탄화층 형성을 통하여 난연성을 구현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Intumescent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Ethylene vinyl acetate (EVA)를 매트릭스로 채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Intumescent 시스템의 난연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나노클레이를 함께 적용하였다. Intumescent 시스템과 나노클레이 기술을 함께 적용한 복합재료를 시트상의 시험편으로 가공한 후, 이를 활용하여 표면의 난연특성이 강화된 새로운 구조의 교호집성재를 제작하였다. Intumescent 시스템을 적용한 복합재료의 연소특성 평가에서 최대 열방출량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면에 부착된 구조에 따라 CLT는 두 단계에 걸친 연소 현상이 발생했다. 또한, 심부 연소 과정에서 최대 열방출률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목재의 연소과정에 있어 연소 확산지연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단판에 대한 난연처리기술 및 복합재료 적용 최적화 기술을 통해 보다 화재특성이 개선된 CLT 구조체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mportance of flame retardation treatment technology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e in urban fire accidents and fire damage incidents caused by building exterior materials. Particularly, in the utilization of wood-based building materials, the flame retarding treatment techn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선 열 중량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을 통해 Intumescent 시스템이 적용된 EVA 수지의 주요 열분해 특성을 확인했다. Intumescent 시스템만 적용된 복합재료를 평가함으로써, E/I 복합재료의 독자적인 열분해 특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E/I 복합재료는 온도 200℃에서부터 초기 열분해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Fig.
  • 선분산체와 neat EVA 간의 결합력을 높여주기 위해 maleic anhydride-grafted EVA(MA-g-EVA)를 활용하였다. 나노클레이가 적용된 복합재료에서는 Intumescent agent의 함량을 40 phr로 고정하여 나노클레이의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전체적인 소재의 혼합 비율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 따라서, 집성재/CLT가 건축재료로 활용되기 위해 화재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표면에서의 탄화를 지연시키고 방지할 수 있는 난연 처리 기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ntumescent 시스템 및 나노클레이를 활용한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CLT를 제조하여 표면에서의 난연특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ntumescent 시스템이란? 특히, 목재를 기반으로 한 건축재료의 활용에 있어서 난연처리기술은 더욱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Intumescent 시스템은 비할로겐계 난연처리기술의 하나로, 발포와 탄화층 형성을 통하여 난연성을 구현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Intumescent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Ethylene vinyl acetate (EVA)를 매트릭스로 채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도시형 화재 해결책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밀집된 건물 구조에 따라 화재의 성장이 빠르고 쉽게 전이될 뿐 아니라 부족한 도로상황에 의해 요구조자들의 생명을 보장할 수 있는 시간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Kim, 2003). 이러한 도시형 화재는 큰 사회적 비용을 수반할 뿐 아니라 생명에 큰 위협이 되기 때문에, 그 해결책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화재의 성장과 구조 시간의 확보를 결정짓는 요소는 화원의 flashover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할로겐 치환체를 활용하는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소개된 기술은? 연소가 진행되면, 할로겐 물질에 의한 연소물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화재에 의한 2차 피해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비할로겐 계열의 재료를 적용하는 난연처리 기술이 소개되기 시작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인(Phosphate)계 물질을 활용한 난연 소재가 다양하게 제안되었다(Lu, 2002). 기존의 할로겐 계열의 소재는 난연 성능 구현을 위해 10% 내외의 활용으로도 성능을 구현하는데 충분한 반면, 방향족 포스페이트와 같은 인계 난연소재는 30% 이상이 활용되어야 난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Fire Safety of Green Buildings Bartlett 17 2015 Fire-Induced Delamination of Cross-Laminated Timber 

  2. Fire Safety Journal Babrauskas 18 3 255 1992 10.1016/0379-7112(92)90019-9 Heat release rate: the single most important variable in fire hazard 

  3. Fire and Materials Bourbigot 24 4 201 2000 10.1002/1099-1018(200007/08)24:4<201::AID-FAM739>3.0.CO;2-D PA-6 clay Nanocomposite hybrid as char forming agent in intumescent formulations 

  4. Fire resistance of timber structures Buchanan 2014 

  5.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i 43 1 86 2015 10.5658/WOOD.2015.43.1.86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ross laminated timber using plywood as core layer 

  6. Journal of Thermal Analysis Costa 34 2 423 1988 10.1007/BF01913181 Thermal behaviour of melamine 

  7. Journal of Fire Sciences Dabrowski 19 3 219 2001 10.1106/WB1V-X0C6-G5EB-TC3J The use of clay in an EVA-based intumescent formulation. Comparison with the intumescent formulation using polyamide-6 clay Nanocomposite as carbonisation agent 

  8. Polymers for Advanced Technologies Doan 22 12 1628 2011 10.1002/pat.1650 Synergistic effect of boron containing substances on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stability of clay containing intumescent polypropylene nanoclay composites 

  9.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Gu 201 18 7835 2007 10.1016/j.surfcoat.2007.03.020 Study on preparation and fire-retardant mechanism analysis of intumescent flame-retardant coatings 

  10. Fire Retardant Materials Horrocks 2001 

  11. Proceeding of Annual Meeting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Hwang 50 2017 A Study on the Fire Risk of Urban type housing constructed by pilotis structures, -In the case of Uijeongbu fire- 

  12. Prospect Ind Chem Hwang 8 6 36 2005 The R&D Trends of Polymer Flame Retardants 

  13.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Jang 20 1 8 2009 Research Trend of Flame Retardant and Flame Retardant Resin 

  14.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Kim 30 2 172 2002 Performance on flame-retardant polyurethane coatings for wood and wood-based materials 

  15.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Kim 16 3 23 2003 A Study on Emergency Management Learning of the Urban Model of Man Made Disaster - Focus on the Case of the gas explosion and fire accident on Dae gu subway 

  16. Fire performance of laminated veneer lumber (LVL) Lane 2004 

  17.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Lecouvet 98 11 2268 2013 10.1016/j.polymdegradstab.2013.08.024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synergistic flame retardant mechanisms of halloysite in intumescent polypropylene 

  18. 2016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Meeting Lee 24 2016 Development and basic design of 5-story wooden building using CLT 

  19.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Li 91 6 1380 2006 10.1016/j.polymdegradstab.2005.07.020 Effect of a novel charring foaming agent on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degradation of intumescent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20.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Li 114 6 3626 2009 10.1002/app.31027 A novel intumescent flame retardant system for flame retarded LLDPE/EVA composites 

  21. Progress in Polymer Science Lu 27 8 1661 2002 10.1016/S0079-6700(02)00018-7 Recent developments in the chemistry of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mers 

  22. Fire Safety Journal Luo 23 4 413 1994 10.1016/0379-7112(94)90006-X The fire environment in a multi-room building-comparison of predicted and experimental results 

  23.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Ma 92 4 720 2007 10.1016/j.polymdegradstab.2006.12.009 A novel intumescent flame retardant: Synthesis and application in ABS copolymer 

  24. Contribution of cross laminated timber panels to room fires McGregor 2013 10.22215/etd/2013-06885 

  25.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Nyambo 94 4 513 2009 10.1016/j.polymdegradstab.2009.01.028 Thermal stability and flammability characteristics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composites blended with a phenyl phosphonate-intercalated layered double hydroxide (LDH), melamine polyphosphate and/or boric acid 

  26. Fire Safety Science Poon 3 283 1988 Predicting time of flashover 

  27. Fire and Materials Schartel 31 5 327 2007 10.1002/fam.949 Development of fire-retarded materials ?"Interpretation of cone calorimeter data 

  28.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Son 41 6 559 2013 10.5658/WOOD.2013.41.6.559 Decay resistance and anti-mold efficacy of wood treated with fire retardants 

  29.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Son 42 4 477 2014 10.5658/WOOD.2014.42.4.477 Performance of Structural Glulam Manufactured with Fire Retardants Treated Lumbers 

  30.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Sultan 43 9 1737 1991 10.1002/app.1991.070430917 Thermal degradation of eva and eba-a comparison. I. Volatile decomposition products 

  31.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Zhan 94 3 291 2009 10.1016/j.polymdegradstab.2008.12.015 Combustion properties and thermal degradation behavior of polylactide with an effective intumescent flame retardan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