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Related to Young Child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91 - 100  

손현미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제민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  손영실 (부산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related to infants and preschoolers accessible through mobile applications and websites. Methods: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infant', 'preschooler', and 'health' as the main keyword or categories, the researchers s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유아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질 평가도구로 기존의 제공된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을 평가하여 영유아 온라인 건강정보의 문제점을 분석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영유아 자녀의 부모가 이용하는 블로그나 카페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생산되거나 공유되는 건강정보와 영유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증상관리나 통상적 질병관리가 아닌 전문적 치료가 요구되는 질환과 질병관리에 대한 건강정보까지는 평가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인터넷 웹사이트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영유아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의 건강관리를 위해 온라인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 인터넷 웹사이트와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 평가할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의 선정은 연구진 회의를 통해 선정 및 제외 기준을 도출하여 이에 따라 최종 평가대상을 선정하였다(Figure 1). 본 연구의 목적인 영유아 자녀의 건강관리를 위해 국내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 평가를 위해 검색과정에서 연구진은 수차례 회의를 통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기준을 도출하는 합의 과정을 거쳤다. 선정기준은 영유아의 정상 성장발달을 돕고, 질병을 예방하며,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자녀 건강관리 정보를 한국어로 제공하는 국내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이다.
  • 그러나 잘못된 건강정보의 활용은 부적절한 건강신념을 야기하고 이로 인해 자녀의 건강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13,14] 온라인 건강정보에 대한 질 평가는 활용 전에 선행되어야 하며 건강정보 활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인터넷 웹사이트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영유아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그러나 온라인을 통한 정보는 너무 방대하고 제약 없이 무분별하게 제공되어 부모들은 양질의 정보를 선별하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영유아 온라인 건강정보의 질을 평가하여 신뢰할 수 있고 질 높은 건강정보가 제공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최종 분석에 선정된 애플리케이션은 12개, 웹사이트는 14개이며 의료 정보 평가도구인 DISCERN으로 평가한 결과,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질 평가 점수와 하위항목인 신뢰도와 건강정보 질 평가 점수가 모두 3점 미만으로 낮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의 현황을 파악하고,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건강정보를 표준화된 도구로 평가하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영유아 건강증진을 위한 질 높은 온라인 건강정보의 제공을 위한 방안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6년 기준 국내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몇명인가? 인터넷 사용의 대중화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물리적, 시간적 제약을 넘어 누구든 손쉽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이와 동시에 누구든 정보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2016년 기준 국내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4,300만 명에 달하고 전체 인구의 85%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1], 인터넷 이용자 중 89.1%인 대다수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의 주요 사용목적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2].
2016년 기준 국내 전체 인구의 몇%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가? 인터넷 사용의 대중화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물리적, 시간적 제약을 넘어 누구든 손쉽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이와 동시에 누구든 정보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2016년 기준 국내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4,300만 명에 달하고 전체 인구의 85%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1], 인터넷 이용자 중 89.1%인 대다수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의 주요 사용목적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2].
온라인 건강정보는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의료인이나 서적을 통해 건강정보를 수동적으로 획득했던 과거와 달리 온라인 건강정보는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건강정보를 탐색할 수 있으며 누구나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온라인에서 탐색하여 획득한 건강정보는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한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5]. 그러나 온라인상에서는 전문적 지식을 가지지 않은 누구라도 건강정보를 생산할 수 있어 근거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생산된 건강정보를 검증하고 통제할 수 있는 절차가 없어 검증되지 않은 건강정보가 무분별하게 유통될 위험이 매우 높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6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summary [Internet].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7 [cited 2017 July 1]. Available from: https://isis.kisa.or.kr/board/?pageId060100&bbsId7&itemId818&searchKey&searchTxt&pageIndex1. 

  2.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summary [Internet].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6 [cited 2017 July 1]. Available from: http://isis.kisa.or.kr/board/?pageId060100&bbsId7&itemId809&pageIndex1. 

  3. Sethuram R, Weerakkody ANA.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10;30(2):119-121. https://doi.org/10.3109/01443610903440927 

  4. BinDhim NF, Hawkey A, Trevena L.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y assessment methods for smartphone health apps. Telemedicine and E-Health. 2015;21(2):97-104. https://doi.org/10.1089/tmj.2014.0088 

  5. Bert F, Giacometti M, Gualano MR, Siliquini R. Smartphones and health promotion: A re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Medical Systems. 2014;38(1):9995. https://doi.org/10.1007/s10916-013-9995-7 

  6. Scullard P, Peacock C, Davies P. Googling children's health: Reliability of medical advice on the internet. Archives of Disease in Child. 2010;95(8):580-582. https://doi.org/10.1136/adc.2009.168856 

  7. Quintana Y, Feightner JW, Wathen CN, Sangster LM, Marshall JN. Preventive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qualitative study of consumers' perspectives. Canadian Family Physician Medecin de Famille Canadien. 2001;47(9):1759-1765. 

  8. Walsh A, Edwards H, Fraser J. Influences on parents' fever management: Belief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sourc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12):2331-2340.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890.x 

  9. Yoo KH. The educational needs of a mother when nurturing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4):905-916. https://doi.org/10.4040/jkan.2000.30.4.905 

  10. Kim SJ, Lee JM, Min HY. A survey of smartphone-based health education needs for par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 22(4):346-354. https://doi.org/10.4094/chnr.2016.22.4.346 

  11. Khoo K, Bolt P, Babl FE, Jury S, Goldman RD. Health information seeking by parents in the internet age.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2008;44(7-8):419-423. https://doi.org/10.1111/j.1440-1754.2008.01322.x 

  12. Pehora C, Gajaria N, Stoute M, Fracassa S, Serebale-O'Sullivan R, Matava CT. Are parents getting it right? a survey of parents' internet use for children's health care information. Interactive Journal of Medical Research. 2015;4(2):1-15. https://doi.org/10.2196/ijmr.3790 

  13. Betsch C, Renkewitz F, Betsch T, Ulshofer C. The influence of vaccine-critical websites on perceiving vaccination risk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0;15(3):446-455. 

  14. Kata A. Anti-vaccine activists, web 2.0, and the postmodern paradigm-an overview of tactics and tropes used online by the antivaccination movement. Vaccine. 2012;30(25):3778-3789. https://doi.org/10.1016/j.vaccine.2011.11.112 

  15. Kang BC. The challenge left for us by Anaki. Healthcare Policy Forum. 2017;15(3):8-14. 

  16. Jeong YS, Kim JS. Evaluation of internet information on childhood fever manag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12):702-713.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702 

  17. Kim BK, Park SH, Sung HU, Park SY, Kwon YS, Jun YH, et al. Evaluation of information of websites on precocious puberty.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2012;17(1):27-32. https://doi.org/10.6065/apem.2012.17.1.27 

  18. Han KJ, Kim JS, Kim SY. The evaluation of the child-care web sites on the interne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6;12 (1):57-64. 

  19. Ademiluyi G, Rees CE, Sheard CE.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ree tools to assess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3;50(2):151-155. https://doi.org/10.1016/s0738-3991(02)00124-6 

  20. Charnock D, Shepperd S, Needham G, Gann R. DISCERN: An instrument for judging the quality of writte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on treatment choice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1999;53(2):105-111. https://doi.org/10.1136/jech.53.2.105 

  21. Park JH, Cho BL, Kim YI, Shin YS, Kim Y. Assessing the quality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using DISCER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5;11(3):235-246. 

  22. Hunter PV, Delbaere M, O'Connell ME, Cammer A, Seaton JX, Friedrich T, et al. Did online publishers "get it right"? using a naturalistic search strategy to review cognitive health promotion content on internet webpages. BioMed Central Geriatrics. 2017;17(1):125. https://doi.org/10.1186/s12877-017-0515-3 

  23. Kiran DP, Bargale S, Pandya P, Bhatt K, Barad N, Shah N, et al. Evaluation of health on the net seal label and DISCERN as content quality indicators for patients seeking information about thumb sucking habit. Journal of Pharmacy & Bioallied Sciences. 2015;7(6):481-485. https://doi.org/10.4103/0975-7406.163509 

  24. Morahan-Martin JM. How internet users find, evaluate, and use online health information: A cross-cultural review. Cyberpsychology & Behavior. 2004;7(5):497-510. https://doi.org/10.1089/cpb.2004.7.497 

  25. Choi EJ. Policy development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promo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2:78-86. 

  26. Lewin ME, Baxter RJ. America's health care safety net: Revisiting the 2000 IOM report. Health Affairs. 2007;26(5):1490-1494. https://doi.org/10.1377/hlthaff.26.5.1490 

  27. Winker MA, Flanagin A, Chi-Lum B, White J, Andrews K, Kennett RL, et al. Guidelines for medical and health information sites on the internet: Principles governing AMA web sit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0;283(12):1600-1606. https://doi.org/10.1001/jama.283.12.1600 

  28. Bjelakovic G, Nikolova D, Gluud LL, Simonetti RG, Gluud C. Mortality in randomized trials of antioxidant supplements for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7;297(8): 842-857. https://doi.org/10.1001/jama.297.8.842 

  29. Kim JS. Childhood fever management: Current practice vs evidenc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2):126-136. https://doi.org/10.4094/chnr.2016.22.2.126 

  30. Schiavo R. Health communication: From theory to practice. 2nd ed. San Francisco: John Wiley & Sons; 2013. p. 33-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