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대피 통로가 존재하며 각 대피 통로의 안전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고층 빌딩 화재 시 거주자들에게 신속히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 파악을 위해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대피 통로의 가시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에서 연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연기의 밀도를 알 수 있다면 가시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연기 검출이나 연기 밀도 측정에 관한 적절한 방법이 없어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배경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주성분 분석 학습을 한다. 이후 입력으로 주어지는 영상에서 배경 영상과 연기 영상을 추출하고 학습된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새로운 특징 공간으로 사상한 후 변화량을 계산하여 연기로 인한 가시도를 측정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fires occur in high-rise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each escape route is safe because of complex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sidents with escape routes quickly after determining their safety. We propose a method to measure the visibility of the escap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시카메라를 고층 빌딩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고 관제요원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의 영상에서 연기로 인한 가시도 여부를 이용해 통로의 안전성을 판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의 문제점은 한 명의 관제요원이 담당해야 할 감시카메라의 수가 너무 많거나 관제요원의 숙련도 또는 주의력 여부에 따라 통로의 안정성 여부 판단의 신속성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화재 시 거주자의 안전한 대피 통로 확보를 목적으로 연기로 인한 대피 통로의 가시도를 측정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특징들이 연기로 인해 변하는 정도를 이용해 가시도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주성분 분석 기법에서 제공하는 특징 공간의 변환을 사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시작 시점에서 추출한 한 프레임의 배경 이미지를 주성분 분석을 위한 훈련 집합으로 사용한다. 한 장의 이미지만으로는 주성분 분석 학습을 할 수 없으므로 그림 1과 같이 주어진 배경 이미지를 크기가 같은 여러 장의 부분 이미지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이미지를 주성분 분석을 위한 훈련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화재 시 거주자의 안전한 대피 통로 확보를 목적으로 연기로 인한 대피 통로의 가시도를 측정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특징들이 연기로 인해 변하는 정도를 이용해 가시도를 측정한다.
  • 본 논문의 목적은 고층 빌딩 화재 시 거주자들의 대피 통로 확보를 위해 대피 통로의 안전 여부를 영상을 통해 자동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피 통로의 안전 여부는 화재로 인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 정도로 측정할 수 있다.
  • 본 논문의 목적은 입력으로 주어지는 영상으로부터 가시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연기로 인한 원 영상의 특징 손실 정도를 이용하여 가시도를 판단하고자 한다.
  • 대피 통로의 안전 여부는 화재로 인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 정도로 측정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연기로 인한 가시도의 변동 여부를 측정하여 안전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Yu 등[12]은 연기로 인한 가시도 측정을 위해 에지 강도의 감소 여부를 측정하여 판단하였다.

가설 설정

  • 이를 위해 주성분 분석 기법에서 제공하는 특징 공간의 변환을 사용하였다. 기존 이미지의 주요 특징들을 보존하면서 계산이 용이한 특징 공간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특징 공간에서 특징 벡터들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사용하여 가시도를 측정하였다.
  • 그러나 변환된 특징 벡터 ## 사이의 거리 변화는 가시도 크기 변화만을 알려주므로 가시도를 수치 값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으로부터 가시도가 0이 되는 최대 거리가 주어져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준점으로부터 가시도가 0이 되는 최대거리를 훈련 데이터의 특징이 전혀 보존되지 않는 이미지의 특징 공간 변환 특징 벡터로 가정한다. 이를 위해 기존 특징이 보존되지 않는 이미지로 본 논문에서는 소금-후추 잡음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대피 통로가 존재하며 각 대피 통로의 안전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고층 빌딩 화재 시 거주자들에게 신속히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 파악을 위해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대피 통로의 가시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대피 통로의 가시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 파악을 위해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대피 통로의 가시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에서 연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연기의 밀도를 알 수 있다면 가시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연기 검출이나 연기 밀도 측정에 관한 적절한 방법이 없어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배경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주성분 분석 학습을 한다.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대피 통로가 존재하며 각 대피 통로의 안전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고층 빌딩 화재 시 거주자들에게 신속히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 Nadella, "Eye Detection and Tracking and Eye Gaze Estimation,"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vol. 1, no. 2, pp. 25-41, Aug. 2015. 

  2. N. Fujiwara, and K. Terada, "Extraction of a Smoke Region using Fractal Coding," in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p.659-662, 2004. 

  3. I. Kopilovic, B. Vagvolgyi, and T. Sziranyi, "Application of Panoramic Annular Lens for Motion Analysis Tasks: Surveillance and Smoke Detection," in Proceedings of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pp. 714-717, 2004. 

  4. C. Yu, Z. Mei, and X. Zhang, "A Real-time Video Fire Flame and Smoke Detection Algorithm," in Proceedings of 9th Asia-Oceania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pp. 891-898, 2013. 

  5. B. D. Lucas, and T. Kanade, "An Iterative Image Registration Technique with an Application to Stereo Vision," in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pp. 674-679, 1981. 

  6. B. U. Toreyin, Y. Dedeoglu, and A. E. Cetin, "Wavelet Based Real-time Smoke Detection in Video," in Proceedings of 13th European Signal Processing Conference, pp. 1-4, 2005. 

  7. A. Rafiee, and R. Tavakoli, "Fire and Smoke Detection using Wavelet Analysis and Disorder Characteristics," in Proceedings of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Research and Development, pp.262-265, 2011. 

  8. J. S. Perez, E. Meinhardt-Llopis, and G. Facciolo, "Tv-l1 Optical Flow Estimation," Image Processing On Line, vol. 3, pp.137-150, Jul. 2013. 

  9. A. Stadler, and T. Ike, "Real Time Video Based Smoke Detection using Double Optical Flow Esti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and Power Engineering, vol. 10, no. 9, pp. 1632-1637, Sep. 2016. 

  10. Y. Jia, J. Yuan, J. Wang, J. Fang, Q. Zhang and Y. Zhang, "A Saliency-Based Method for Early Smoke Detection in Video Sequences," Fire Technology, vol. 52, pp.1271-1292, Sep. 2016. 

  11. G. Lin, Y. Zhang, Q. Zhang, Y. Jia, G. Xu, and J. Wang, "Smoke Detection in Video Sequences Based on Dynamic Texture using Volume Local Binary Patterns,"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vol. 11, no. 11, pp. 5522-5536, Nov. 2017. 

  12. Y.J. Yu, S.H. Moon, S.H. Park, and C.G. Lee, "A Study on the Visibility Measurement of CCTV Video for Fire Evacuation Guidanc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7, no. 12, pp. 947-954, Dec. 2017. 

  13. B. J. Kim, "Feature Extraction on High Dimensional Data using Incremental PC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8, no. 7, pp. 1475-1479, Aug. 2004. 

  14. P. KaewTraKullPong, and R. Bowden, "An Improved Adaptive Background Mixture Model for Real-time Tracking with Shadow Detection," in Video-based Surveillance Systems: Computer Vision and Distributed Processing, Kluwer Academic Pub., ch. 11, pp. 135-144,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