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수고도처리공법의 유입하수량 변화에 따른 슬러지 질산화/탈질속도 변화
Change of Sludge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Rate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i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8 no.1, 2018년, pp.31 - 36  

이명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미래융복합기술연구소) ,  오정익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박노석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고대곤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미래융복합기술연구소) ,  장해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미래융복합기술연구소) ,  안용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공학과, 미래융복합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막결합생물반응조(MBR)공법을 비롯한 하수고도처리공법에서 유입하수량의 변화에 따른 슬러지 특성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 1.5톤을 처리하는 모형실험시설에서 설계유량 대비 유입하수량을 100, 70, 40, 10%로 변화시켜가며 이에 따른 비탈질속도(specific denitrification rate)와 비질산화속도(specific ammonia oxidation rate)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공법의 폭기조에서 채취한 슬러지의 비질산화속도는 유입하수량 100% 조건에서 세 가지 공법 모두 유사한 값($0.10gNH_4/gMLVSS/day$)으로 측정되었다. 유입하수량이 70%에서 40%로 감소함에 따라 비질산화속도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비탈질속도 역시 유입하수량이 감소함에 따라 최대 50%가량 감소하였다. 유입하수량이 감소할수록 비탈질속도와 비질산화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원수의 총질소 농도와 반응조 내 미생물 농도를 고려하면 질소제거율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었다. 따라서 유입하수량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반응조 내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면 안정적인 질소 제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lud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nfluent sewage flowrate in the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including MBR, SBR, and $A_2O$. The ratio of the actual sewage flowrate to the design flowrate is decrea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예를 들어 설계된 체류시간보다 호기조 체류시간이 증대됨으로써 미생물의 과도한 산화가 일어나게 되어 처리효율이 저하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루 1.5톤을 처리하는 모형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대표적인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공법인 MBR, A2O, SBR공법의 유입하수량 변화에 따른 슬러지 특성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입하수량을 계획하수량의 10~100% 범위 내에서 변동시켜가며 이에 따른 효율감소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각 공법별 슬러지의 질산화와 탈질화 반응의 동역학적 상수인 비질산화 속도와 비탈질속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산화세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생물학적 질소제거는 크게 질산화와 탈질화 반응의 2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질산화세균은 호기적 환경에서 암모니아를 아질산을 거쳐 질산으로 산화시켜준다. 탈질세균은 혐기적 환경에서 질산염이 산소 대신 최종 전자수용체로 작용하여 환원되면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으로 질산을 아질산으로 환원시켜주고 이는 다시 NO, N2O의 중간 대사체를 거쳐 가스상의 질소로 전환된다[2].
고도하수처리공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하천, 호수 등의 수계로 중금속, 유기물질, 영양염류 등이 유출되어 부영양화(Eutrophication) 및 이로 인한 수중생태계 파괴, 수자원 활용가치 하락, 상수처리 비용 상승 등 문제점이 심화되고 있다. 영양염류의 제거가 거의 불가능한 표준활성슬러지 공법을 대신하여 개발된 고도하수처리공법들은 유기물 외에도 질산화와 탈질과정을 통해 질소를 제거하고 아울러 생물학적으로인(P)의 동시 제거가 가능하다. 생물학적 질소제거는 크게 질산화와 탈질화 반응의 2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유입하수량이 감소할 경우 질산화속도가 감소한 이유를 무엇이라 판단하였는가? 일반적 으로 슬러지체류시간이 증가하면 비산소소모속도 (specific oxygen uptake rate), 비질산화속도 등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7] 본 연구에서 유입하수량이 감소할 경우에는 슬러지의 체류시간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유사하게 비질산화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는 반응조에서 슬러지의 내생 호흡(endogenous respiration)이 증가하여 질산화속도 역시 감소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8]. 유입하수량 10% 조건에서도 MBR 공법은 T-N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비질산화속도는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inistry of Environment, Statistics of Sewerage (2016). 

  2. D. Barnes and P. J. Bliss, "Biological Control of Nitrogen in Wastewater Treatment", E. & F. N. SPON, New York (1983). 

  3. H.-D. Ryu and S.-I. Lee, "Comparison of remov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between suspended-growth and attached-growth biological proces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7, 206 (2005). 

  4. Z. Fu, F. Yang, Y. An, and Y. Xue,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coupled with phosphorus removal in an modified anoxic/oxic-membrane bioreactor (A/O-MBR)",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43, 191 (2009). 

  5. M. Kim and G. Nakhla, "Comparative assessment of a novel MBR and $A_2O$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edings of the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2008, 1765 (2008). 

  6. N. Yusof, M. A. Hassan, L. Y. Phang, M. Tabatabaei, M. R. Othman, M. Mori, M. Wakisaka, K. Sakai, and Y. Shirai,, "Nitrification of ammonium-rich sanitary landfill leachate", Waste Management, 30, 100 (2010). 

  7. S. S. Han, T. H. Bae, G. G. Jang and T. M. Tak, and Tae-Moon, "Influence of sludge retention time on membrane fouling and bioactivities in membrane bioreactor system", Process Biochemistry, 40, 2393 (2005). 

  8. X. Huang, P. Gui, and Y. Qian, "Effect of sludge retention time on microbial behaviour in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Process Biochemistry, 36, 1001 (2001). 

  9. B. Lesjean, R. Gnirss, H. Buisson, S. Keller, A. Tazi-Pain, and F. Luck, "Outcomes of a 2-year investigation on enhanced biological nutrients removal and trace organics elimination in membrane bioreactor (MBR)",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52, 453 (2005). 

  10. R. Dawson and K. Murphy,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biological denitrification", Water Research, 6, 71 (1972). 

  11. P. Elefsiniotis and D. Li,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carbon source on denitrification using volatile fatty acids",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8, 148 (2006). 

  12. N. S. Park J. I. Oh, M.E. Lee, H. Jang, and Y. Ahn, "Effect of influent flowrate on the performance of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under review)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