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량-지속시간-침수량 관계곡선과 자기조직화 지도의 연계를 통한 범람범위 추정
Estimation of Inundation Area by Linking of Rainfall-Duration-Flooding Quantity Relationship Curve with Self-Organizing Map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8 no.6, 2018년, pp.839 - 850  

김현일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금호준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한건연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집중호우에 의한 도시 유역의 침수 피해가 도시화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정확하면서도 신속한 홍수예보 및 침수 예상도 표출이 필요하다. 특정 강우량에 따른 미지의 침수 범위를 예상하는 것은 도시 유역의 홍수에 대한 사전 대비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며, 이를 위해 현재 홍수 예보와 관련된 정부기관에서 침수 피해 예상도를 주민들에게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강우에 따른 정확한 침수 범위를 정량화하여 표출하는데 부족함이 있으며, 강우량과 지속시간에 따른 홍수의 크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수리학적 연계를 통한 준 실시간 침수범위 표출 방안을 고찰해야할 시기이다. 제시된 물리적 해석기반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량-지속시간-침수량 관계곡선(Rainfall-Duration-Flooding quantity relationship curve, RDF)을 제시하고, 자율학습을 수행하는 자기조직화 특징 지도와 연계하여 미지의 침수 지도를 예측하였다. 예측한 침수 지도와 2차원 침수모형을 통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된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중규모의 강우량 또는 빈도의 사상에 따른 미지의 침수범위를 제시하는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다양한 강우-월류량-홍수 양상을 내포하는 RDF 관계 곡선과 최적 침수예상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추후에 홍수예보의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od damage in urban areas due to torrential rain is increasing with urbanization. For this reason, accurate and rapid flooding forecasting and expected inundation maps are needed. Predicting the extent of flooding for certain rainfalls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preparing flood in advance. R...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 3(b)는 2차원 침수해석 결과와 검증을 위한 점 단위 NDMS자료를 나타내고 있으며, NDMS 자료에 대한 침수면적 적합도를 산정하여 1-2차원 모형의 검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 위의 2차원 수리학적 침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강우조건에 따른 침수 지도를 생성하였으며, SOM의 입력 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자료 가공을 실시하였다. SWMM을 통한 모의와 마찬가지로 모의시간에 대한 충분한 여유를 두어 홍수파가 건물 사이 및 도로에 최대한 전달 되도록 하여, 질적으로 신뢰성을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RMSE값은 정량적인 결과를 판단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에 그치지 않고, 모형의 예측력을 더욱 정밀히 판단하기 위하여 관측값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RMSE를 표준화시켜 정량적인 예측력을 판단하고자 한다. RSR은 모형의 결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의 이점을 통합하고, 축소 및 정규화 요인을 포함하여 예측 결과의 통계적인 값 및 보고된 값을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Moriasi et al.
  • 첫 번째로 강우량에 따른 지속시간별 총 월류량에 대한 RDF1 관계곡선을 제시하였고, 두 번째로는 특정 강우량과 지속시간에 따른 평균 침수범위의 RDF2 관계곡선을 제시하였다. 두 가지의 RDF 곡선을 제시한 이유는 SOM의 결과와 연계를 통한 침수범위를 예측 할 때에 단일 영향 인자를 고려하는 것보다, 홍수 사상에 영향력을 줄 수 있는 두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예측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시하였다. Table 1에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RDF 곡선을 작성할 때에 거듭제곱식과 2차 다항식을 고려하였으며, 각각 결정계수 R-square을 산출하여 높게 나오는 식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 국․내외에서 강우에 따른 월류 및 침수 관계와 인공신경망을 통한 홍수예측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두 기법의 연계를 통한 침수심 예측에 대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문학적 입력 자료를 사용하기 보다는 강우량 및 맨홀의 월류량 그리고 침수 범위 정보를 사용하여 RDF 곡선을 구축하고, 시간대별 다양한 침수양상을 반영하기 위하여 비지도학습 군집화를 수행하는 SOM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임의의 강우량이 주어졌을 때에, 총 월류량과 침수 면적 및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에 대한 침수범위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강우량과 지속시간에 따른 총 월류량과 평균 침수면적에 대한 RDF 곡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자율학습 신경망 SOM과 연계하였다. 이를 통하여 2010년 9월 21일 실제호우에 대한 피해이력이 있는 강남 배수분구에 대하여 적용 후 검토하였다.
  • RDF 곡선의 구축 자료로서 Table 1을 통하여 소개한 강우량, 월류량, 침수범위 자료들은 분위에 대한 평균값만을 나타내었으며, 실제로 분위를 고려하였을 때 각각 480 (120×4분위)개의 자료가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RDF 곡선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강우량에 따른 지속시간별 총 월류량에 대한 RDF1 관계곡선을 제시하였고, 두 번째로는 특정 강우량과 지속시간에 따른 평균 침수범위의 RDF2 관계곡선을 제시하였다.
  • 지속시간 3시간의 경우 RDF1 곡선은 경우 거듭제곱식을 사용하였고, RDF2 곡선의 경우 2차 다항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관계식을 이용하여 임의의 강우량이 주어졌을 때에 총 월류량과 침수범위를 추정하고자 한다. 추정된 두 인자는 병렬적으로 구축되는 SOM의 침수예상도 결과와 2차 Norm의 산정과 보간법을 통해 연계되며, 이를 통해 도시유역에서 강우량과 지속시간을 통한 실시간 침수 범위의 예측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RDF 곡선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결과는 Table 1과 같으며, 표의 내용은 강우 Huff 1~4분위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분위별 강우 시나리오에 따른 평균 월류량과 평균 최대 침수범위 또한 나타내어 RDF 곡선 작성을 위한 수리학적 해석 결과자료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문학적 입력 자료를 사용하기 보다는 강우량 및 맨홀의 월류량 그리고 침수 범위 정보를 사용하여 RDF 곡선을 구축하고, 시간대별 다양한 침수양상을 반영하기 위하여 비지도학습 군집화를 수행하는 SOM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임의의 강우량이 주어졌을 때에, 총 월류량과 침수 면적 및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데이터 기반 예측 기법을 2010년 및 2011년에 연속적으로 침수피해 이력이 있는 강남역 일대 배수분구에 대하여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두 관계식을 이용하여 임의의 강우량이 주어졌을 때에 총 월류량과 침수범위를 추정하고자 한다. 추정된 두 인자는 병렬적으로 구축되는 SOM의 침수예상도 결과와 2차 Norm의 산정과 보간법을 통해 연계되며, 이를 통해 도시유역에서 강우량과 지속시간을 통한 실시간 침수 범위의 예측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지역에 대한 홍수 예측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홍수 예측의 일반적인 목적은 홍수 재해를 유발하는 원인 인자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있다(Lee, 2006). 도시 지역에 대한 홍수 예측을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수치해석 모형을 기반으로 실시하는 1, 2차원 해석이 있으며, 강우․유출 특성을 반영한 회귀식 또는 관계 곡선을 이용한 예측 기법이 있다. 수치해석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 홍수 예측의 경우 정확하고 정교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모형의 전․후 처리에 다소 시간이 소요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홍수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홍수에 대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홍수파 특성의 변형을 통한 홍수 방어, 즉 수원의 제어, 저류지, 제방의 건설, 수로의 확대 등 구조적 대책이 있다. 이외에 홍수 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위험도 노출 억제를 통한 피해 방지 대책과 홍수 사상에 대한 준비 대책이 있다(Han, 2012). 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홍수 예측의 일반적인 목적은 홍수 재해를 유발하는 원인 인자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있다(Lee, 2006).
도시 홍수의 취약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도권 내에는 인구․건물․시설물의 밀집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 홍수에 의한 피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도시 개발에 따른 도로, 포장면 등 불투수층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강우에 대해서도 보다 큰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지속적인 집중호우 현상으로 인해 도심지역에 대한 침수피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의 하나로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일대를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D. H., Shim, J. B. and Yoon, S. S. (2012). "Development and assesment of flow nomograph for the real-time flood forecasting in Cheonggye stream." Journal Korea Water Resour. Assoc., Vol. 45, No. 11, pp. 1107-1119 (in Korean). 

  2. Chang, F. J., Chang, L. C. and Wang, Y. S. (2007). "Enforced self-organizing map neural networks for river flood forecasting." Hydrological Process, Vol. 21, pp. 741-749. 

  3. Choi, H. G., Han, K. Y., Roh, H. S. and Park, S. J. (2013). "Comparison of data-based real-time flood forecasting model." Journal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5, pp. 1809-1827 (in Korean). 

  4. Choi, S. M., Yoon, S. S. and Choi, Y. J. (2015). "Evaluation of high-resolution QPE data for urban runoff analysis." Journal Korea Water Resour. Assoc., Vol. 48, pp. 719-728 (in Korean). 

  5. Han, K. Y. (2012). Flood Disaster Mitigation. R&D Press. 

  6. Huber, W. C. and Dickson, R. E. (1988).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User's Manual Ver. 4, U.S. EPA. 

  7. Jang, S. H., Yoon, J. Y. and Yoon, Y. N. (20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ff's method in Korea: I. Review of applicability of Huff's method in Korea." Journal Korea Water Resour. Assoc, Vol. 39, pp. 767-777, doi:10.3741/JKWRA.2006.39.9.767 (in Korean with Englishabstract). 

  8. Jo, D. J. and Jeon, B. H. (2014). "Development of flood nomograph for inundation forecasting in urban districts." Journal of KOSHAM, Vol. 13, No. 3, pp. 37-42 (in Korean). 

  9. Kalteh, A. M., Hjorth, P. and Berndtsson, R. (2008). "Review of the self-organizing map (SOM) approach in water resources : Analysis, modeling and application." Elsevier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23, pp. 835-845. 

  10. Keum, H. J., Kim, H. I. and Han, K. Y. (2018). "Real-TIME forecast of rainfall impact on urban inund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21, No. 3, pp. 76-91. 

  11. Kim, H. I., Keum, H. J. and Han, K. Y. (2018). "Application and comparison of dynamic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urban inund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8, No. 5, pp. 671-684 (in Korean). 

  12. Lee, B. H.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direction of urban flood control system." Water and Future, pp. 50-54. 

  13. Lopez, M., Valero, S., Senabre, C., Aparichi, J. and Gabaldon, A. (2012). "Application of SOM neural networks to short-term load forecasting : The Spanish electricity market case study." Elsevier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91, pp. 18-27. 

  14. Moriasi, D. N., Arnold, J. G., Van Liew, M. W., Bingner, R. L., Harmel, R. D. and Veith, T. L. (2007). "Model evaluation guidelines for systematic quantification of accuracy in watershed simulations." ASABE., Vol. 50, No. 3, pp. 885-900. 

  15. Nanda, T., Sahoo, B. and Chatterjee, C. (2017). "Enhancing the applicability of Kohonen Self-Organizing Map (KSOM) estimator for gap-filling in hydrometeorological timeseries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549, pp. 133-147. 

  16. Seoul Metropolitan City (2015). Comprehensive Plan for Storm and Flood Damage Reduction (in Korean). 

  17. Shin, S. Y., Yeo, C. G., Baek, C. H. and Kim, Y. J. (2005). "Mapping inundation areas by flash flood and developing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in urban setting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8, No. 4, pp. 71-80 (in Korean). 

  18. Tsai, M. H., Sung, E. X. and Kang, S. C. (2016). "Data-driven flood analysis and decision support." Nat. Hazards Eearth Syst, Sci. Discuss., doi:10.5194/nhess-2016-141. 

  19. Wu, M. C., Lin, G. F. and Lin, H. Y. (2014). "Improving the forecasts of extreme streamflow by support vector regression with the data extracted by self-organizing map." Hydrological Process, Vol. 28, pp. 386-3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