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수요를 반영한 수변 공간 개발요소와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Elements and Direction of Waterfront Reflecting User Demand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7 no.11, 2018년, pp.1083 - 1094  

박기범 (경일대학교 건설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ix waterfront users who are currently being used to select indicators for waterfront development. It can be classified into urban type, inland type and coast type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waterfront space is located. These waterfront design el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수변공간을 개발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이용자특성과 접근성, 수변공간의 활용성, 수변공간 환경 요소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이용되고 있는 수변공간에 대해 특성을 정의하고 향후 수변공간 개발 방향과 적용가능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수변공간을 개발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요소들을 선정하기 위해 수변공간의 위치, 형태, 기능을 분류하고, 현재 수변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구광역시의 수성못, 신천, 팔거천, 운암지 그리고 은어잡이 축제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봉화군의 내성천 그리고 서울특별시의 청계천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 대한 1:1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수변공간이용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변공간의 위치, 이용자특성, 지역특성 등을 고려하여 수변공간을 개발하기 위해 수변공간의 설계 요소와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기존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Table 4와 같이 제시하였다. 수변공간의 개발에 있어 지역적 구분으로 도심형, 내륙형, 해안형으로 나눌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조사하여 수변공간의 위치적 특성과 수변공간의 설계요소 등을 조사하여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게 개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요소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요소를 통해 도심과 내륙에 위치한 6곳의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수변공간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수변공간의 이용자들의 특성을 반영한 개발목적과 적용 가능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변공간 개발을 위한 설계요소의 선정을 위해 현재 조성되어 이용되고 있는 6개의 수변공간의 이용자들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용자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요소에 선정하고 수변공간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 따라 구분하고, 수변공간이 이용 목적에 따라 레저형, 휴식형, 일상형, 축제형으로 구분하였다.
  • 수변공간을 개발하는데 있어 시설물과 이용목적 등은 수변공간을 조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변공간을 활용에 있어 방문목적과 이용시설을 조사하였다. Table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변공간을 찾는 가장 큰 목적은 산책과 운동이다.
  • 본 연구에서 수변공간을 개발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이용자특성과 접근성, 수변공간의 활용성, 수변공간 환경 요소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이용되고 있는 수변공간에 대해 특성을 정의하고 향후 수변공간 개발 방향과 적용가능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심지내 하천공간의 특징 및 문제점은? 대부분의 도심지내 하천공간은 산책로와 운동시설 그리고 생태공간 등으로 조성되어 있어 지역적 특색과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주변지역 시민들의 요구와 특성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 수변공간을 개발하는 데 있어 대부분 생태하천 설계기법이 활용되어 수변공간의 이용에 대한 지역주민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다양성이 부족하여 수변공간의 활용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대구의 수성못은 어떤 조성적 특징을 지녔는가? 대구의 수성못은 대구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저수지 공간으로 산책로, 오리배, 운동시설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 식당과 카페가 조성된 공간이다. 인근지역에 두산동, 황금동, 지산동 등 아파트단지가 대규모로 조성되어 있어 주변지역주민들과 대구시민 전체적으로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2014년 수성못 페스티발을 시작으로 여름에는 수성못에 설치된 레이저쇼와 함께 축제도 벌어지는 공간이다.
정부주도의 기종 수변공간 설계방식은 어떠했는가? 수변공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고려할 사항이 많이 있다. 그러나 정부주도의 기존의 설계방식은 지역의 특성, 수변공간이 가지는 위치, 주변지역의 인구현황등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수공학적이고 조경학적인 설계가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수변공간은 위치와 이용형태에 따라 구분되어 질 수 있으며, 수변공간의 위치에 따라 해안형, 도심형, 내륙형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astasia Voyona., 2011, Investigating the preferences of individuals in redeveloping waterfront : The case of the port of Thessaloniki-Greece, Cities, 28, 424-432. 

  2. Astrid, S., Claudia, G., Karl, J., Wittmann., 2008, Objective versus subjective assessments of environmental quality of standing and running waters in large city, Land. and Urb. Pla., 84, 116-126. 

  3. Faggi, A., Breuste, J., Madanesm, N., Gropper, C., Perelman., P., Water as an appreciated feature in the landscape : A Comparison of residents and visitors' preferences in Buenos Aires, 2013, J. of Cleaner Production, 60, 182-187. 

  4. Kang S. J., 2014, A Study of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and Users' Behavior Waterfront in Local, J. Kor. Ins. Rur. Arch., 16, 53-61. 

  5. Kim, H. J., Lee, K. H., 2012,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for using the Prdestrian Space of the River in Seoul, -Focusing on Seongnaecheon, Yangjaecheon, Cheonggyecheon-, J. Arch. Ins. Kor., 28, 143-150. 

  6. Kim, H. O., Kim, S. B., Yang, J. I., 2015, Development direction of inland waterfront area in Jeollabuk-do,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11-14. 

  7. Kim, S. M., Kim, H. S., Min, H. S., Lee, J. S., 2010, A Study on urban design criteria and their weights in urban waterfront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RSA, 26, 87-105. 

  8. Kwon, Y. S., 2010, Types of domestic waterfront space and recycling strategy, Low carbon green growth and Incheon waterfront city design,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Incheon Urban Design Forum, 34-47. 

  9. Lee, Y. H.., Lee, H. J.. 2003, A Study on the residents' using behavior of the waterside in the waterfront apartment complex. J. Arch. Ins. Korea, 19, 31-38. 

  10. Lim, B. H., Lee, C. H., Ji, N. S., 2016,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factor for waterfront in urban area- Focused on three major rivers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ics, 50, 175-183. 

  11. Oh, K. S., Lee, J. K., 2013,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Lighting that Reflects the Placeness of the Waterfront, J. Kor. Ins. Spa. des., 8, 117-126. 

  12. Park, K. B., Ahn, S. S., Kim, M. J., Park S. Y., 2015, A Study on a preference survey in constructing waterfront area storytelling", Proceedings of the Kor. Envir. Sci., Chungju, Korea, 491-495. 

  13. Park, K. B., Lee, H. J., Kwon, O. J., 2012, "A Study on resources applicable for waterfront areas", Proceedings of the K.W.R.A., Jungsun Gun, Korea, 755-758. 

  14. Park, K. B., Park, S. Y., Kim, S. W., 2012, Applicability of waterfront area storytelling in applying edutainment, Proceedings of the K.W.R.A., Jungsun Gun, Korea, 751-754. 

  15. Park, K. B., Park, S. Y., Lee, H. J.. 2012, Storytelling techniques about the application of fairy tales and games for waterfront areas, Proceedings of theK.W.R.A., Jungsun Gun, Korea, 761-764. 

  16. Park, K. B., Park, S. Y., Lee, H. J., Lim, K. S., 2013, A Study on storytelling techniques applicable in waterfront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Kor. Envir. Sci., Kangreung, Korea, 491-495. 

  17. Park, K. B., Park, S. Y., Seo, Y. M, Cha, S. H.. 2014, A Study on storytelling contents for constructing waterfront area", Proceedings of the Kor. Envir. Scie., Busan, Korea, 610-614. 

  18. Park, K. B., Seo, Y. M., Kim, S. H., Kim, S. W., 2016, Surveying for users' pattern and preference of waterfront space, Deagu City, South Korea, American J. App. Sci., 13, 1096-1103. 

  19. Park, K. B., Yoon, H. J., Baek, H. J., Kang, B. G., Kim, J. S., 2016, Situation analysis of waterfront user at downtown lake-focused on Suseoung lake in Deagu,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Autumn Confer., Section 3, 8-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