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와 헤어리베치 혼파재배에 따른 녹비작물 수량과 질소와 인산의 생산성
Biomass, Nitrogen, and Phosphorus Productivities of Green Manure by Barley and Hairy Vetch Mixture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6 no.4, 2018년, pp.719 - 729  

이초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필주 (국립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오유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박충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박광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남홍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박기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유기농 밭 토양은 가축분퇴비, 유기질비료 등의 지속적인 투입에 의해 인산을 포함한 다량 양분이 축적되고 있다. 친환경 토양관리를 위하여 가축분퇴비나 유기질비료의 대안으로 보리(B)와 헤어리베치(H)의 혼파를 활용하고자 한다. 보리와 헤어리베치의 혼파가 녹비작물의 수량 및 양분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축분퇴비 연용으로 토양 양분이 축적된 유기농 밭 토양에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2016년 11월에 기준 파종량(B 160 kg/ha ; H 90 kg/ha) 대비 B 66%와 H 33%, B 33%와 H 66% 비율로 혼파 재배하였다. 수확기에 녹비작물 수량, 양분생산성을 분석하여 혼파 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파 할 경우 녹비작물 수량이 헤어리베치 단파 보다 78~132% 증가되어, 혼파시 수량증대 효과가 있었다. 질소 생산성도 혼파에서 보리 단파보다 43~44% 증가, 인산 생산성도 헤어리베치 단파보다 200% 이상 증가되어 혼파의 양분생산성 증대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보리와 헤어리베치의 혼파재배는 녹비작물의 수량 및 질소와 인생산성 증대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으며, 2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할 때, 기준 파종량 대비 보리 66%와 헤어리베치 33%를 혼파하여 파종한 처리(B66H33)가 가장 비료로써의 가치가 높아 양분이 축적된 유기농경지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 manure crops can be efficient replacements of high nutrient materials such as livestock compost, organic fertilizers, etc. in organic farming. Grass-legume mixtures or mixed cropping of legumes with non-legumes can aid in abating the shortcomings of each plant type under monoculture (i.e. leg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기 농경지에서 집적되고 있는 인산의 생산성, 양분이 집적된 농경지에서 혼파재배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양분이 집적된 조건에서 두과작물과 화본과작물의 혼파가 녹비작물의 수량 및 양분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가축분퇴비나 유기질비료의 대체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국내 유기농 밭 토양은 가축분퇴비, 유기질비료 등의 지속적인 투입에 의해 인산을 포함한 다량 양분이 축적되고 있다. 친환경 토양관리를 위하여 가축분퇴비나 유기질비료의 대안으로 보리(B)와 헤어리베치(H)의 혼파를 활용하고자 한다. 보리와 헤어리베치의 혼파가 녹비작물의 수량 및 양분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축분퇴비 연용으로 토양 양분이 축적된 유기농 밭 토양에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2016년 11월에 기준 파종량(B 160 kg/ha ; H 90 kg/ha) 대비 B 66%와 H 33%, B 33%와 H 66% 비율로 혼파 재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유기농가는 토양 및 양분관리를 위해 주로 어떤 자재들을 사용하는가? 반면 우리나라는 유기농산물 인증에 있어서도 녹비·두과작물 재배보다는 유기자재에 의존한 토양 및 양분관리를 하고 있다. 국내 유기농가는 토양 및 양분관리를 위해서 주로 가축분퇴비(40%)나 유기질비료(39%) 등의 자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작물잔재 환원(15%)이나 녹비작물 재배(3%)는 다소 저조하다(Lee et al., 2017).
두과작물과 화본과작물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 녹비작물은 주로 두과작물과 화본과작물로 분류할 수 있다. 두과작물은 헤어리베치(Vicia villosa Roth), 네마장황(Crotalaria juncea L.) 등이 있으며, 뿌리혹박테리아의 질소고정작용으로 대기 중 질소를 고정하여 토양으로 많은 질소를 공급할 수 있으나(Kim et al., 2013, Hwang et al., 2015), 화본과작물에 비해 생체량이 적다. 화본과작물은 보리(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호밀(Secale cereale L.) 등이 있고 초기 생육속도가 빠르고 생체량이 많고 수확기에 C/N율이 높아 토양 유기물 축적에 효과적이나 작물 생육초기에 질소기아현상을 유발할 우려가 있어 단독으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Cho et al., 2011; Kim et al.
국제유기농연맹(IFOAM)과 영국, 독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유기농업에서 주로 어떤 것을 재배하는가? 국제유기농연맹(IFOAM)과 영국, 독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유기농업에서 녹비작물이나 두과작물 재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Sohn et al.,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H. S. , W. Y. Park, W. T. Jeon, K. Y. Seong, C. G. Kim, T. S. Park, and J. D. Kim. 2011. Effect of green manure barley and hairy vetch on soil characteristics and rice yield in paddy . CNU J. Agri. Sci., 38: 703-709. 

  2. 10.1016/j.soilbio.2011.11.015 Elodie, B. , D. Marek, C. Bruno, D. Dominique, and P. Hinsinger. 2012. Intercropping promotes the ability of durum wheat and chickpea to increase rhizosphere phosphorus availability in a low P soil . Soil Biol Biochem.46: 181-190. 

  3. 10.1034/j.1600-0706.2001.930318.x Fridley, J. D. 2001. The influence of species diversity on ecosystem productivity : how, where, and why? . Oikos.93: 514-526. 

  4. Hinsinger, P. , E. Betencourt, L. Bernard, A. Brauman, C. Plassard, J. Shen, X. Tang, a nd F.Zhang. 2011. P for two, sharing a scarce resource: soil phosphorus acquisition in the rhizosphere of intercropped species . J Plant Physiol.156: 1078-1086. 

  5. 10.1016/j.fcr.2015.08.001 Hwang, H. Y. , G. W. Kim, Y. B. Lee, and P. J. Kim. 2015. Improvement of the value of green manure via mixed hairy vetch and barley cultivation in temperate paddy soil . Field Crop Res.183: 138-146. 

  6. Jeon, W. T. , K. Y. Seong, J. K. Lee, M. T. Kim, and H. S. Cho. 2009. Effects of Seeding Rate on Hairy vetch (Vicia villosa) - Rye (Secale cereale) Mixtures for Green Manure Production in Upland Soil . Korean J. Crop Sci.54: 327-331. 

  7. 10.7745/KJSSF.2011.44.5.847 Jeon, W. T. , K. Y. Seong, M. T. Kim, I. S. Oh, B. S. Choi, and U. G. Kang. 2011. Effect of Monoculture and Mixtures of Green Manure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on Rice Growth and Yield in Paddy . Korean J. Soil Sci. Fert.44: 847-852. 

  8. Jeong, J. S. , E. S. Kim, K. P. Hong, S. L. Choi, Y. H. Lee, J. Y. Heo, S. T. Lee, Y. J. Choi, and S. D. Lee. 2015. Impact of Green Manure by Triticale and Hairy Vetch Mixed Sowing Cultivation in a Paddy Field in Southern Korea. Research report. GNARES. 

  9. Kang, H. J. , S. H. Yang, Y. K. Kim, and B. C. Moon. 2015. Effects of hairy vetch-rye mixtures in Jeju. Research report. JSSGPARES. 

  10. 10.7745/KJSSF.2011.44.3.442 Kim, S. W. , Y. H. Seo, Y. B. Choi, M. S Ahn, and A. S. Kang. 2011. Effect of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on Green Manure Yield in Mountainous Highland . Korean J. Soil Sci. Fert.44: 442-447. 

  11. 10.5338/KJEA.2013.32.4.268 Kim, T. Y. , S. Y. Kim, F. Ala, and Y. B. Lee. 2013. Green Manuring Effect of Pure and Mixed Barley-Hairy Vetch on Rice Production . Korean J Environ Agric.32: 268-272. 

  12. 10.11625/KJOA.2017.25.1.161 Lee, C. R. , J. H. Ok, M. S. An, S. B. Lee, K. L. Park, S. G. Hong, M. G. Kim, and C. B. Park. 2017. Soil Chemical Properties of Long-term Organic Cultivation Upland . Korean J. Org. Agric.25: 161-170. 

  13. 10.11625/KJOA.2015.23.4.875 Lee, C. R. , S. G. Hong, S. B. Lee, C. B. Park, M. G. Kim, J. H. Kim, and K. L. Park. 2015.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ally Cultivated Upland Soils . Korean J. Org. Agric.23: 875-886. 

  14. 10.5333/KGFS.2006.26.4.207 Lee, I. D. and H. S. Lee.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from Rye and Hairy Vetch Seeding Types in Daejeon . J. Korean Grassl. Sci.26: 207-214. 

  15. Lee, Y. H. , S. G. Lee, S. H. Kim, J. H. Shin, D. H. Choi, Y. J. Lee, and H. M. Kim. 2006. Investigation of the Ut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Organic Farms in Korea . Korean J. Org. Agric.14: 55-67. 

  16. Lee, Y. J. , D. H. Choi, S. H. Kim, S. M. Lee, Y. H. Lee, B. M. Lee, and T. W. Kim. 2004. Long-term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rganic Arable Farming Systems in Korea . Korean J. Soil. Sci. Fert.37(4):228-234, 

  17. Lim, K. H. , H. S. Choi, H. J. Kim, B. S. Kim, D. I. Kim, S. G. Kim, J. S. Kim, W. S. Kim, and Y. Lee. 2011. Effects of Seeding Time on Growth and Nutrient Contribution of Ryegrass and Hairy vetch. J. Bio-Environ . Control.20: 134-138. 

  18. 10.1007/BF02370545 Papastylianou. I. 1988. The 15N methodology in estimating N2 fixation by vetch and pea grown in pure stand or in mixtures with oat , Plant Soil.107: 183-188. 

  19. 10.14397/jals.2013.47.6.101 Park, J. H. , S. T. Lee, D. C. Seo, S. H. Kim, H. C. Kim, S. W. Lee, J. S. Cho, and J. S. Heo. 2013. Effect of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on the Yield of Carrot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arrot-Green Manure Crops Rotation . J. Agric. Life Sci.47: 101-109. 

  20. Sohn, S. M. 1995. Core Aspects of Environmental Friendly Sustaiable Agriculture in Major European Countries and its Approach in korea .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7: 138-155. 

  21. 10.1016/j.soilbio.2014.04.001 Tang, X. , L. Bernard, A. Brauman, T. Daufresne, P. Deleporte, D. Desclaux, G. Souche, S. A. Placella, and P. Hinsinger. 2014. Increase in microbial biomass and phosphorus availability in the rhizosphere of intercropped cereal and legumes under field conditions . Soil Biol Biochem.75: 86-93. 

  22. 10.1016/j.eja.2012.06.004 Tosti, G. , P. Benincasaa, M. Farneselli, R. Pace, F. Tei, M. Guiducci, and T. K. K.ristian. 2012. Green manuring effect of pure and mixed barley - hairy vetch winter cover cropson maize and processing tomato N nutrition . Eur. J. Agron.43: 136-146. 

  23. 10.1093/aob/mcv182 Xue, Y. , H. Xia, P. Christie, Z. Zhang, L. Li, and Caixian. T. 2016. Crop acquisition of phosphorus, iron and zinc from soil in cereal/legume intercropping systems: a critical review . Ann Bot.117: 363-3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