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몽골 울란바토르시 게르촌 주택의 겨울철 실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의 시간적 변이
Temporal Variation of Winter Indoor PM2.5 Concentrations in Dwellings in Ger Town of Ulaanbaatar, Mongoli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1, 2018년, pp.98 - 105  

이보람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지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장예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김윤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하헌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우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 연구실) ,  최우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김규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우철운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기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Mongolian housing, they use coal as a fuel for indoor heating and cooking. The combustion of coal releases particulate matter, which can affect indoor air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ntrations of indoor $PM_{2.5}$ in winter time dwellings in g...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측정 기기로는 Dylos DC1700 (Dylos Corporation, USA)를 사용하였으며, 지면에서 최소 50 cm 이상 떨어진 곳에, 주택 내 스토브 위치에서 약 1~2 m 떨어진 거리에 설치하였다. PM2.5의 수 농도(#/ft3)를 5분 간격으로 실시간 측정하였으며, 온도와 상대습도는 Onset HOBO Datalogger UX100-003 (Onset Computer Corporation)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실시간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실내공기 중 PM2.
  • 5 농도를 시간대별로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농도 변이의 특성에 따라 농도 그룹을 구별하였다. 또한 관찰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주택 내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2015년 전통 게르를 대상으로 한 기초 조사에서 더 나아가, 최근 울란바토르 게르촌에서 늘어나고 있는 주택 형태의 겨울철 실내 PM2.5 농도를 시간대별로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농도 변이의 특성에 따라 농도 그룹을 구별하였다. 또한 관찰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주택 내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주택 형 주거공간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를 방문하여 각각의 가구에서 실내 PM2.5의 particle 수 농도, 온도 및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PM2.5의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실내 활동 요인을 관찰 일지에 기록하였다. 거주하고 있는 가족 구성원의 요인 별 시간 활동패턴을 기록하였는데, 기록 내용은 난방 및 조리용 연료 사용 여부, 연료의 종류 및 무게, 불쏘시개 사용 여부, 환기 여부, 실내 흡연 여부, 청소 여부, 양초 사용 여부, 음식 및 음료 섭취 여부 및 종류, 음주 여부, 거주민 외출 및 외부인 방문 여부 등이었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몽골 울란바토르의 게르촌 지역에 위치한, 목재와 벽돌 및 콘크리트의 재료가 혼합된 형태의 주택을 대상으로 하였다(Fig. 1).
  • 실외 초미세먼지의 농도는 몽골의 미국 영사관 홈페이지의 공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 측정 대상의 섭외는 몽골 현지 대학 연구원과 보건소 관계자를 통해 측정 및 관찰에 동의한 가구로 정하였다. 측정 기간은 2017년 1월 13일, 14일, 16일, 17일로 4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측정은 현지 몽골인 연구원과 한국인 연구원이 각각 1명씩 한 팀을 이루어 진행하였다. 팀 당 1일 1가구씩, 4일 동안 10개의 팀이 총 40가구를 방문하였으며, 관찰 조사는 09:00부터 18:00 사이의 시간대에 최소 6시간에서 최대 9시간 정도였다.
  • 측정 대상인 40가구 중 측정기기의 오류로 결과 값을 구하지 못한 3개의 가구를 제외, 총 37개의 가구가 측정 가구에 포함되었다. 측정된 가구의 전체 평균 PM2.

데이터처리

  • SPSS v.24 (IBM Corporation, USA)을 이용하여, 각 가구별 PM2.5 수 농도의 기술 통계량과 온도 및 상대습도의 기술 통계량을 구하였다. 집 내부의 PM2.
  • 5 수 농도의 기술 통계량과 온도 및 상대습도의 기술 통계량을 구하였다. 집 내부의 PM2.5 농도를 높일 수 있는 7가지 요인의 관찰 횟수 별 각 주택에서 측정한 실내 일일 평균 PM2.5 농도와의 관계를 Kruskal-Wallis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7가지의 요인은 난방연료추가, 환기, 실내 흡연, 청소, 조리, 조리연료추가, 불쏘시개의 사용으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 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따른 호흡기계 관련 질환 입원 발생위험은 어떻게 되는가? 미세먼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 및 만성 호흡기 질환, 폐암, 심장질환, 뇌졸중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심근경색의 발생위험도를 높이고, 농도 증가에 따라 심장질환으로 인한 입원과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역학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1,2). PM2.5 농도가 10 μg/m3 증가할 경우, 전체 연령 집단의 호흡기계 관련 질환 입원 발생위험이 1.06% 증가하였으며, 65세 이상의 경우 입원 발생 위험이 8.84% 증가한다는 보고서도 있다3).
미세먼지는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5)에 의한 대기오염은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수준으로, 미세먼지의 흡입은 인체에 각종 부정적인 건강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미세먼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 및 만성 호흡기 질환, 폐암, 심장질환, 뇌졸중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심근경색의 발생위험도를 높이고, 농도 증가에 따라 심장질환으로 인한 입원과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역학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1,2). PM2.
초 미세먼지(PM2.5)에 의한 대기오염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초 미세먼지(PM2.5)에 의한 대기오염은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수준으로, 미세먼지의 흡입은 인체에 각종 부정적인 건강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미세먼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 및 만성 호흡기 질환, 폐암, 심장질환, 뇌졸중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심근경색의 발생위험도를 높이고, 농도 증가에 따라 심장질환으로 인한 입원과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역학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ohen AJ, Ross Anderson H, Ostro B, Pandey KD, Krzyzanowski M, Kunzli, N, et al.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due to outdoor air pollution.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A. 2005; 68(13-14): 1301-1307. 

  2. WHO. The burden of disease on air pollution, International Expert Meeting on Air Pollution and Health in Asia; 2014. 

  3. Kong S, Bae H, Hong S, Park H. A Study on the Health Impact and Management Policy of $PM_{2.5}$ in Korea (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 

  4. WHO.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5. Lee B, Chimeddulam, D, Jargalsaikhan K, Lee K. Indoor air pollution in ger, a traditional type of residence in Mongoli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6; 42(2), 118-125. 

  6. Caldieron JM. Ger Districts in Ulaanbaatar, Mongolia: Housing and Living Condition Surveys; 2013. 

  7. World Bank, Mongolia-Heating stove market trends in poor, peri-urban ger areas of Ulaanbaatar and selected markets outside Ulaanbaatar: stocktaking report of the Mongolia clean stoves initiative. Washington, DC: World Bank Group; 2013. 

  8. World friends Korea, Overseas correspondent's column, KOICA; 2014. 

  9. Hwang K.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Cultural Aspects About the Mongolian Ger. Asian Comparative Folklore Society. 2013; 52(1): 275-300. 

  10. Ulaanbatar Clean Air Project (UBCAP) report, KOICA; 2013. 

  11. ESMAP. Potential for Biofuels for Transport in Developing Countries; Joint UNDP/World Bank Energy Sector Management Assistance Programme (ESMAP), Washington Press; 2005. 

  12. Ryan AW, Gombojav E, Barkhasragchaa B, Byambaa, T, Lkhasuren O, et al. Janes R. An Assessment of Air Pollution and Its Attributable Mortality in Ulaanbaatar, Mongolia. Air Quality, Atmosphere and Health. 2013; 6(1): 137-150. 

  13. US Embassy Ulaanbaatar Mongolia. Available: https://www.stateair.mn/history.php [accessed 09 February 2018] 

  14. Mate T, Guaita R, Pichiule M, Linares C, Diaz J.Short-term effect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 5) on daily mortality due to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in Madrid (Spai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10; 408(23): 5750-5757. 

  15. Zanobetti, A. and Schwartz, J. Race, gender, and social status as modifiers of the effects of PM10 on mortalit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0; 42(5): 469-474. 

  16. Simoneit, BR., Medeiros PM., Didyk BM. Combustion products of plastics as indicators for refuse burning in the atmospher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015; 39(18): 6961-6970. 

  17. Valavanidis A, Iliopoulos N, Gotsis G, Fiotakis K. Persistent free radicals, heavy metals and PAHs generated in particulate soot emissions and residue ash from controlled combustion of common types of plastic.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08; 156(1-3): 277-284. 

  18. Jung JH, Shon BH, Jung DY, Kim HG, Lee HH. Emission propertie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solid waste incinerato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3; 29(5):17-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