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뭄 극복을 위하여 댐의 비활용용량 구간에 있는 저수량의 활용을 제고할 수 있는 구조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댐에서의 비활용용량(inactive storage)은 비상용량(emergency storage)과 사수용량(dead storag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상용량은 가뭄과 같은 비상시에 활용가능 하도록 하고 있지만 사수용량은 퇴사가 진행되는 구간으로 가정하여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한 용량으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극심한 가뭄시에 비상용량과 더불어 사수용량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비상용량과 퇴사위(Sediment Level, SL) 위의 사수용량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고, 이 구간을 '댐의 갈수용량'이라고 새롭게 명명하였다. 갈수용량의 산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퇴사위 분석이 선행되어야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SMS의 RMA-2 및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와 미래의 댐 저수지의 퇴사위를 산정하였으며, 추가 이용 가능한 용량을 고려한 뒤 최종적으로 갈수용량을 산정하였다. RMA-2 및 SED-2D 모형 구축을 위해 현재는 과거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래는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8.5 시나리오에 의해 미래 기후 인자를 예측하고 TANK 모형을 이용하여 댐 유입량을 결정한 뒤 미래 기간별 퇴사위를 예측하였다. 현재와 미래의 퇴사위를 바탕으로 갈수용량을 제시한 결과, 활용할 수 있는 갈수용량은 현재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특히, 미래 기간이 진행될수록 활용할 수 있는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기후 변화의 변동성이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며, 미래에 활용할 수 있는 갈수용량의 증대를 위해 기후 적응 대책 및 퇴사량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ucture plan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inactive storage in the dam for overcoming the drought. Inactive storage in the dam is composed of the emergency storage and dead storage. The emergency storage can be used for the case of emergency such as dro...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갈수 용량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취수구와 퇴사위 사이의 물을 취수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향후, 이동식 취수구 등의 대책을 마련하여 이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결국, 갈수용량의 활용은 댐의 구조적인 대책이지만, 최소한의 사회적 갈등 및 예산을 투자하여 확실하게 가뭄을 극복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취지와 부합된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 극복에 있어서 최소한의 논란으로 댐의 구조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댐에서의 비활용용량 내의 비상용량은 가뭄 등이 도래할시 활용하게끔 되어있지만 비상용량의 적극적인 활용만으로 가뭄 해갈이 미흡한 상태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 극복을 위하여 임하댐을 대상으로 비활 용용량의 활용 제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비활용용량 내에서의 갈수용량이라는 새로운 활용 구간을 제시하였다. 갈수용량은 기존의 비상용량과 퇴사위 위의 사수용량을 활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RMA-2 & SED-2D 모형에 의해 퇴사위 산정을 선행하였으며, 현재의 퇴사위는 1995~2017년까지의 기존 댐 관측 자료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시 비활용용량의 활용 제고 방안을 모색하던 중, 비활용용량 내의 용수량 확보를 위해 ‘댐의 갈수용량’ 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 일반적으로 댐에서의 비활용용량 내의 비상용량은 가뭄 등이 도래할시 활용하게끔 되어있지만 비상용량의 적극적인 활용만으로 가뭄 해갈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퇴사위 위에 존재하는 사수용량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점에 착안하여, 비활용용량 내의 퇴사위 위의 사수용량 일부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댐의 갈수용량이라 명명하였다. 퇴사위 산정을 위해 TANK 모형 및 RMA-2 & SED-2D 모형을 이용한 뒤, 현재의 갈수용 량과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기간별 갈수용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하여 현재의 갈수용량을 점검하고, 미래의 전반적인 경향 및 추이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래 기간별 기후 자료는 TANK 모형의 입력 자료가 되어 월 평균유출량으로 산정된 후, RAM-2 & SED-2D 모형의 입력 자료가 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유사농도는 미래에도 현재와 변함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전세계적으로 가뭄과 홍수 등에 의한 재해발생이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이상 기후 등으로 인해 가뭄과 홍수 등에 의한 재해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수, 치수적 문제를 완화 및 극복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댐이다.
가뭄과 홍수 등 재해발생에 대한 댐의 기능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이상 기후 등으로 인해 가뭄과 홍수 등에 의한 재해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수, 치수적 문제를 완화 및 극복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댐이다. 계속 증가하는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댐 건설을 통해 신규 수자원을 확보함으로서 수자원의 이용률을 높이는 것이 타당하지만 우리나라는 신규 댐 개발적지 감소, 수자원 소비지역간의 괴리, 자연환경 보전 등의 사회적 갈등으로 인해 신규댐 건설이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비활용용량의 의미는? 우리나라에서의 비활용용량(Inactive storage)의 일반적인 의미는 댐 바닥에서부터 저수위(LWL)까지의 용량으로서 평시에는 용수목적으로 쓰이지 않는 공간으로 불용용량이라고도 한다. 비활용용량은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한 취수구 아랫부분의 사수용량(Dead storage)과 가뭄과 같은 비상시에는 이용이 가능한 취수구 윗부분의 비상용량(Emergency storage)으로 나눌 수 있다(MOLIT,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JH, Song, JH, Kang, MS, Song, IH, Jun, SM, and Park, JH (2015). Regression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TANK Model Parameters, J.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4), pp.121-133. [Korean Literature] [DOI http://dx.doi.org/10.5389/KSAE.2015.57.4.121] 

  2. Cho, HJ and Kang, HS (2013). Effects of Control of Dam Sedimentation by a Hydraulic Structure in a Reservoir,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12), pp. 1157-1167. [Korean Literature] [DOI 10.3741/JKWRA.2013.46.12.1157] 

  3. Hashimoto, T, Stcdinger, JR, and Loucks, DP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18(1), pp. 14-20. [DOI https://doi.org/10.1029/WR018i001p00014] 

  4. IPCC (2013). Summary for Policy makers. In: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5. Kelly, V (1986). Reservoir Operation During Drought: Case Studies, Research Document 25,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US Army Corps of Engineers. 

  6. Kim, SJ, Kim, YS, Kim, HS (2014). Drought and Flood Risk Assessment of Chungju Dam Considering Climate Change, Water for future, 47(7), pp. 8-17. [Korean Literature] 

  7.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7). Dam Operation Manual. 

  8. Kull, D (2006). Connections Between Recent Water Level Drops in Lake Victoria, Dam Operations and Drought, Hydrologic Engineer, Nairobi, Kenya [http://www.internationalrivers.org/files/attached-files/full_report_pdf.pdf] 

  9. Lee, DR, Ahn, JH, Moon, JW, Lee, DH (2006).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3), pp. 199-214. [Korean Literature] [DOI 10.3741/JKWRA.2006.39.3.199] 

  10. Lee, GM, Yi, JU (2012). Analysis of Emergency Water Supply Effects of Multipurpose Dams Using Water Shortage Index,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1), pp. 1143-1156. [Korean Literature] [DOI : 10.3741/JKWRA. 2012.45.11.1143]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2). Nakdong River Basin Survey.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Design criteria of Dam.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National Water Resource Plan(2011-2020)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15. RIM, CS (2008). Comparison of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Approaches Considering Grass Reference Crop,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2), pp. 212-228. [Korean Literature] [DOI 10.3741/JKWRA.2008.41.2.212] 

  16.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6). Developing Seasonal and Long-term Reservoir System Operation Plans using HEC-PRM. 

  17.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5). Users Guide to RMA2 WES Wersion 4.5, Wextech System. 

  18. US. Dept. of the Interior (1987). Design of Small Dams, Bureau of Reclamation. 

  19. Yoon, SK, Kim, GH, Yeo, KD, Shim, MP (2008). A Study on Estimating Emergency Water Supply Benefits by Dam,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pp. 1540-1544.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