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속에 따른 하천 내 미세조류의 이산화탄소 고정 효과
The Effect of CO2 Fixation for Microalgae based on CO2 Concentration and Flow Rat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0 no.4, 2018년, pp.363 - 369  

박효민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대기 중 $CO_2$의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이다. 이에 대한 영향으로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CO_2$ 저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중이며, 이 중 미세조류를 이용한 $CO_2$ 저감 방안은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미세조류를 이용한 $CO_2$ 저감 방안은 대부분 단일 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자연 하천을 대상으로 한 미세조류의 $CO_2$ 고정 효율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들을 파악하고, 미세조류의 생장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배양조건을 도출 하였다. 그리고 $CO_2$ 농도와 주입 속도에 따른 미세조류의 biomass와 클로로필 a의 변화를 분석하여 자연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CO_2$ 고정효율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섬강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를 배양하여 동정한 결과 6종의 우점종(Ankistrodesmus falcatus, Scenedesmus intermedius, Selenodictyum sp., Xanthidium apiculatum var. laeve, Cosmarium pseudoquinarium, Dictyosphaerium pulchellum)이 관찰되었으며, 이 종들은 모두 녹조류에 해당하였다. 한편 이산화탄소 농도 구배(5% $CO_2$, 10% $CO_2$, 15%$CO_2$, 대기조건의 가스 0.038% $CO_2$)와 유속(0.25, 0.5LPM)이 다른 가스를 주입하여 미세조류의 biomass와 클로로필 a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biomass와 클로로필 a가 증가하였으며, 같은 이산화탄소 농도에서는 유속이 더 빠른 곳에서 미세조류의 biomass와 클로로필 a의 양이 더 증가하였다. 또한 미세조류에 고정화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주입되는 가스의 유속이 빠를수록 고정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일 종에서 행해지는 연구가 아닌 하천 전체의 미세조류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이며,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이산화탄소 고정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고,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로부터 고정화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정량화하여 향후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is climate change due to the increase of atmospheric $CO_2$, which causes ecological changes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various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to reduce $CO_2$ in the world in order to solve various env...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단일 종을 이용한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자연 하천을 대상으로 하여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CO2 고정 효율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들을 파악하고 하천 내 미세조류의 생장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배양조건을 찾아내고자 한다. 그리고 CO2 농도와 주입 속도에 따른 미세조류의 biomass와 클로로필 a의 변화를 분석하여 자연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CO2 고정효율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들을 파악하고 하천 내 미세조류의 생장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배양조건을 찾아내고자 한다. 그리고 CO2 농도와 주입 속도에 따른 미세조류의 biomass와 클로로필 a의 변화를 분석하여 자연 하천 내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CO2 고정효율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를 이용한 CO2 고정화 방법이 주목받는 이유는? , 2003). 특히 미세조류와 같은 광합성 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전환기술은 빛 에너지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CO2를 바이오디젤,항산화물질, 바이오폴리머 등 다양한 고부가 유용물질로 전환할 수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미세조류는 육상식물에 비해 빠른 성장성을 가지고 있고 해상 또는 황무지 등의 장소를 활용 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들을 갖고 있지만 종 자체가 지닌 낮은 광합성 효율과 생산성의 한계로 인해 대규모 미세조류 공정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있다(Choi, 2012).
미세조류는 무엇인가? 대표적인 광합성 미생물로 알려진 미세조류는 지구상에서 전체 광합성의 90%를 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지구 생태계의 1차 생산자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Kim,2004). 미세조류(microalgae)는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미생물 중 현미경으로 관찰 할 수 있는 단세포성 조류를 칭하며 대부분의 식물성 플랑크톤이 이에 속한다. 그러므로 광독립영양세균인 미세조류를 배양하여 CO2를 고정하는 것은 대기의 CO2를 감소시키고 지구온난화를 완화시킨다(Ono et al.
온실가스 처리 기술 중 생물학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온실가스를 처리하는 기술은 크게 압력연동 흡착법이나 막 분리법과 같이 배기가스 중의 CO2를 분리하는 기술과 CO2를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고정화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생물학적인 방법은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을 이용하는 것으로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Karube et al., 1992: Hall and house,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WJ (2012). Influence of Chemical $CO_2$ -Absorbents on Microalgal Growth and Carbon Fixation in Photobioreactor, Master's Thesis, Myungji University, Gyeonggi-do, Korea. [Korea Literature] 

  2. Guillard, RR (1975). Culture of phytoplankton for feeding marine invertebrates, Culture of marine invertebrate animals, Springer, pp. 29-60. 

  3. Hall, D and House, J (1993). Reducing atmospheric $CO_2$ using biomass energy and photobiology,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4(9-11), pp. 889-896. [DOI: 10.1016/ 0196-8904(93)90033-7] 

  4. IPCC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New York, NY, USA. 

  5. Karube, I., Takeuchi, T and Barnes, D (1992). Biotechnological reduction of $CO_2$ emissions, Modern biochemical engineering, Springer, pp. 63-79. 

  6. Kim, M., Kim, S and Jeong, S (2014). Real-time measurement of contents of carbon dioxide according to growth of microalgae. Proceedings of the 2014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2857-2858. [Korean Literature] 

  7. Kim, T (2004). Industrial utility of microalgae, Tech news brie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Korean Literature] 

  8. Kim, YM (2010). The study of biological carbon dioxide fixation using microalgae,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n Literature] 

  9. Kim, YS, Park, HI and Park, DW (2003). Growth characteristics of spirulina platensis at differen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Proceedings of the 2003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pp. 1357-1358. [Korean Literature] 

  10. Lee, SB, Park, CB and Seo, IS (1995). Development of biological carbon fixation process, Chemicl Industry and Technology 13(4), pp. 347-353. [Korean Literature]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Water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 [Korean Literature] 

  12. Mohsenpour, SF and Willoughby N (2016). Effect of $CO_2$ aeration on cultivation of microalgae in luminescent photobioreactors, Biomass and Bioenergy, 85, pp. 168-77. [DOI: 10.1016/j.biombioe.2015.12.002] 

  13. Ono, E and Cuello JL (2003). Selection of optimal microalgae species for $CO_2$ sequestration. Proceedings of Second Annual Conference on Carbon Sequestration Alexandria, VA, Citeseer. 

  14. Park, H, Chun, S and Lee, S (2015). Study on effect on $CO_2$ flux of wetland soil by feces of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J. of Wetlands Research, 17(3), pp. 283-292. [DOI: 10.17663/JWR.2015.17.3.283] [Korea Literature] 

  15. Park, HJ, Jin, EJ, Jung, T., Joo, H and Lee JH (2010).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Photosynthet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oculata,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1(6), pp. 659-663. [Korean Literature] 

  16. Sung, YJ, Kwak, HS, Choi, HS and Sim SJ (2017). Growth Analysis of Chlamydomonas reinhardtii in Photoautotrophic Culture with Microdroplet Photobioreactor System, Korean Chem. Eng. Res., 55(1), pp. 80-85. [DOI: 10.9713/kcer.2017.55.1.80] [Korean Literature] 

  17. Yang, Y and Gao, K (2003). Effects of $CO_2$ concentrations on the freshwater microalgae, Chlamydomonas reinhardtii, Chlorella pyrenoidosa and Scenedesmus obliquus (Chlorophyta). J. of Applied Phycology. 15(5), pp. 379-89. 

  18. Zhao, B., Zhang, Y., Xiong, K., Zhang, Z., Hao X and Liu, T (2011). Effect of cultivation mode on microalgal growth and $CO_2$ fixatio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89(9), pp. 1758-62. [DOI: 10.1016/j.cherd.2011.0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