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유계 잔사유(PFO)의 피치 합성 시 압력조건에 따른 피치 특성 변화
Identification of Synthesized Pitch Derived from Pyrolyzed Fuel Oil (PFO) by Pressur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9 no.6, 2018년, pp.652 - 656  

서상완 (한국화학연구원(KRICT) 탄소산업선도연구단) ,  김지홍 (한국화학연구원(KRICT) 탄소산업선도연구단) ,  이영석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  임지선 (한국화학연구원(KRICT) 탄소산업선도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석유계 잔사유를 원료로 피치 합성반응 중 압력변수에 의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압력변수를 달리하여 두 단으로 나누어 반응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두 단을 연속적으로 진행하였고, 첫 번째 단에 가압, 상압, 감압으로 열처리를 진행하였고, 두 번째 단은 상압과 감압으로 실험하였다. 합성 온도는 $400^{\circ}C$, 합성 시간은 총 2 h으로 피치 합성을 진행하였다. 각 조건에 의해 제조된 피치의 열적 특성과 분자량 분포는 연화점 측정과 MALDI-TOF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GC-SIMDIS를 이용해 피치 합성 반응 중 휘발된 액상 성분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였다. 첫 번째 단에서 가압 조건을 이용한 경우, 저비점 물질들이 상대적으로 다른 두 조건보다 많이 피치 합성 반응에 참여하였으며, 저비점 물질들의 반응참여 효과로 낮은 연화점을 갖는 피치를 얻을 수 있었다. 반대로 첫 번째 단에서 감압 조건을 사용한 경우, 저비점 물질들이 효과적으로 휘발되어 반응기 외부로 빠져나가 낮은 피치 수율을 얻었고, 일부 코크스화가 진행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압력 공정변수를 제어하여 피치의 수율 및 연화점 등 물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정변수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ffects of the reaction pressure were studied for petroleum-based pitch synthesis. A two-stage reaction process was performed based on different reaction pressure conditions. Each stage experiments for the two-stage reaction were consecutively carried out. The first stage was consist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분자량 분포의 변화를 보다 명확히 고찰하고자 MALDI-TOF 스펙 트럼을 표준화하여 Figure 8에 도시하였다. PFO의 주요 성분 중의 하나인 안트라센(분자량: 178)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100~1424 m/z 사이를 총 8개의 영역(Segment1~Segment8)으로 나누어 표기하였다(Segment1: 100~178 m/z, Segemt2: 178~356 m/z, Segment3: 356~534 m/z, Segment4: 534~712 m/z, Segment5: 712~890 m/z, Segment6: 890~1068 m/z, Segment7: 1068~1246 m/z, Segment8: 1246~1424 m/z) [8,10]. 조건 P-A의 Segment3과 Segment4를 비교했을 경우 저비점 분자량 물질이 상대적으로 고비점 분자량으로 전환되었음을 명확하게알 수 있으며 이는 선행 기술된 고찰의 내용과 일치한다.
  • 합성반응은 일반적으로 메조페이스 피치가 생성되는 온도인 400 ℃에서 두 단에 걸쳐서 2h동안 반응하였다. 각 단에서 각각 1h씩 반응을 진행하였고, 압력에 대한 차이를 위해 첫 번째 단에서 가압(10 bar), 상압(1 bar) 및 감압(0.1 bar)의 조건과 두 번째 단에서 상압(1 bar) 및 감압(0.1 bar)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압조건은 반응온도 상승 전 질소로 10 bar를 채워 조절하고, 감압조건은 응축기 끝단에 vacuum pump를 이용하여 조절하였다.
  • 광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건에 따라 제조된 피치를 편광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제조된 피치를 에폭시 레진에 고정시킨 후 연마(Tegramin-25)과정 후 샘플의 광학 특성(Olympus BX43)을 분석하였다.
  • 반응압력에 따른 피치 합성의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압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를 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각 조건에 피치의 물성을 연화점, 수율, 열 중량 분석, MALDI-TOF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합성반응 중 휘발되어 나오는 증류분에 대하여 GC-SIMDIS (simulated distillation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 PFO는 석유계 잔사유 중 비교적 적은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알킬 사슬을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반응압력에 따른 피치 합성의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압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를 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각 조건에 피치의 물성을 연화점, 수율, 열 중량 분석, MALDI-TOF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합성반응 중 휘발되어 나오는 증류분에 대하여 GC-SIMDIS (simulated distillation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 하지만 반응압력에 따른 전구체 거동이 피치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압력을 변수로 피치를 합성하고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구체는 석유계 잔사유인 PFO (naphtha cracking center의 부산물인 pyrolyzed fuel oil) 를 사용하였다.
  • Plate에 코팅액이 상온에서 충분히 건조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자량 분포는 0~2000 m/z의 분자량 영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석유계 잔사유(PFO)로부터 피치의 합성 시 압력 공정변수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였다. 압력변수를 달리하여 두 단 연속공정으로 피치를 합성한 결과, 연화점은 가압(조건 P-A, 170.
  • Figure 4에 미분 열 중량 분석결과 그래프에서 변곡점이 크게 3가지로 보인다. 이 변곡점을 기준으로 각 조건의 열 중량분석 그래프를 4 구간에 나누어 고찰하였다. 각 구간은 250 ℃ 이하, 250~380 ℃, 380~450 ℃, 450 ℃ 이상으로 나누었다.
  • 광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건에 따라 제조된 피치를 편광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제조된 피치를 에폭시 레진에 고정시킨 후 연마(Tegramin-25)과정 후 샘플의 광학 특성(Olympus BX43)을 분석하였다.
  • 조건에 따라 제조된 피치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MALDITOF (Bruker Daltonics Autoflex MALDI-TOF mass spectromete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mark method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8,10].
  • 조건에 따라 제조된 피치의 열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화점 및 열중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반응압력을 변수로 피치를 합성하고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구체는 석유계 잔사유인 PFO (naphtha cracking center의 부산물인 pyrolyzed fuel oil) 를 사용하였다. PFO는 석유계 잔사유 중 비교적 적은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알킬 사슬을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 피치를 제조하기 위한 전구체로 LG사의 PFO를 준비하였고 실험 기구는 Figure 1에 도시하였다. 합성반응은 일반적으로 메조페이스 피치가 생성되는 온도인 400 ℃에서 두 단에 걸쳐서 2h동안 반응하였다.

데이터처리

  • 각 샘플의 분자량 분포는 MALDI-TOF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를 Figure 7에 나타내었다. Figure 4와 7에서 볼 수 있듯이, 가압 조건인 P-A 그래프에서 나머지 조건들과 비교하여 넓은 분포의 미분 질량 감소율 및 분자량 분포가 관찰되었다.

이론/모형

  • 조건에 따라 제조된 피치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MALDITOF (Bruker Daltonics Autoflex MALDI-TOF mass spectromete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mark method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8,10]. 본 분석법은 석유계 피치를 비롯한 고분자량 집단체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본 분석법은 석유계 피치를 비롯한 고분자량 집단체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온화를 위한 matrix로는 7,7,8,8-tetracyanoquinodimethane (TCNQ)를 사용하였으며 시료와 matrix를 1 : 20의 비율로 섞고 MALDI-TOF plate 위에 water spotting method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Plate에 코팅액이 상온에서 충분히 건조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 피치 합성 수율이 일반적으로 40 wt% 이하임을 고려할 때 반응 중 휘발된 액상 성분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휘발된 액상 성분에 대한 분석은 GC-SIMDIS (ASTM D7169에 따라 HT750A-7890방법)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분석법은 끓는점에 따른 질량 감소량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구성 물질을 대략적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유계 잔사유의 특징은 무엇인가? 산업계에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음극소재, 탄소 전극봉, 탄소 섬유 등 탄소소재의 주요 중간원료 중 피치는 제철공정의 부산물인 콜 타르 혹은 석유계 잔사유의 합성을 통해 제조된다[1-5,9]. 일반적으로 석유계 잔사유는 콜 타르에 비해 분자량이 낮아 피치 합성반응 중 휘발도가 높다[4,7]. 또한, 콜 타르에 비해 비교적 많은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 피치 합성 반응 중 화학적 결합 반응자리가 상대적으로 많다[6,8]. 그리고 황, 질소, 금속 등 불순물을 상대적으로 적은 함량 포함하고 있어 탄소소재의 중간원료로의 장점이 있다[4,6,7]. 
이방성 피치 내 불순물의 영향은 무엇인가? 또한, 불순물의 함량도 고려되어야 할 주요 인자 중 하나이다. 불순물은 일반적으로 탄소소재 특히 인조흑연과 같은 정렬된 구조의 탄소소재를 제조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주지만, 소량의 불순물이 코크스 생성 공정에서 열의 전달통로가 된다는 긍정적 보고도 있다[22].
이방성 피치는 어떠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가? 일반적으로 피치는 광학 특성에 따라 이방성과 등방성으로 나눌 수 있다[21]. 이방성 피치는 구조적으로 흑연처럼 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nematic 구조를 가지고 등방성 피치는 이방성과 반대로 분자 내 구조적으로 방향성이 없는 구조를 가진다[14,15]. 이방성 피치는 통상적으로 피치 합성 반응 중 mesogen의 형성과 동시에 성장 통해 이방성 구조가 발달한다고 알려져 있다[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R. Kershaw and K. J. T. Black,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coal-tar and petroleum pitches, Energy Fuels, 7, 420-425 (1993). 

  2. L. F. King and W. D. Robertson, A comparison of coal tar and petroleum pitches as electrode binders, Fuel, 47, 197-212 (1968). 

  3. R. H Wombles and M. D. Kiser, Developing coal tar/petroleum pitches, In: A. Tomsett and J. Johnson (eds), Essential Readings in Light Metals. Springer, 4, 246-250 (2016). 

  4. B. J. Kim, T. Kotegawa, Y. Eom, J. An, I. P. Hong, O. Kato, K. Nakabayashi, J. Miyawaki, B. C. Kim, and I. Mochida, Enhancing the tensile strength of isotropic pitch-based carbon fibers by improving the stabilization and carbonization properties of precursor pitch, Carbon, 99, 649-657 (2016). 

  5. A. Charatte, D. Kocaefe, J. L. Saint-Romain, and P. Couderc, Comparison of carious pitches for impregnation in carbon electrodes, Carbon, 29, 1015-1024 (1991). 

  6. I. Mochida, Y. Korai, C. H. Ku, F. Watanabe, and Y. Sakai, Chemistry of synthesis, structur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aromatic-derived mesophase pitch, Carbon, 38, 305-328 (2000). 

  7. B. C. Bai, J. G. Kim, J. H. Kim, C. W. Lee, Y. S. Lee, and J. S. Im, Blending effect of pyrolyzed fuel oil and coal tar in pitch production for artificial graphite, Carbon Lett., 25, 75-83 (2018). 

  8. J. G .Kim, J. H. Kim, B. J. Song, Y. P. Jeon, C. W. Lee, Y. S. Lee, and J. S. Im, Characterization of pitch derived from pyrolyzed fuel oil using TCL-FID and MALDI-TOF, Fuel, 167, 25-30 (2016). 

  9. J. G. Kim, J. H. Kim, B. J. Song, C. W. Lee, and J. S. Im, Synthesis and its characterization of pitch from pyrolyzed fuel oil (PFO), J. Ind. Eng. Chem., 36, 293-297 (2016). 

  10. J. G. Kim, J. H. Kim, B. J. Song, C. W. Lee, Y. S. Lee, and J. S. Im, Empirical approach to determin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ing MALDI-TOF analysis of petroleum-based heavy oil, Fuel, 186, 20-23 (2016). 

  11. J. G. Kim, J. H. Kim, C. W. Lee, K. B. Lee, and J. S. Im, Effect of added mesophase pitch during the pitch synthesis reaction of PFO, Carbon Lett., 23, 48-54 (2017). 

  12. R. Santamaria-Ramirez, E. Romero-Palazon, C, Gomez-de-Salazar, F. Rodriguez-reinoso, S. Martinez-Saez, M. Martinez-Esacandell, and H. Marsh, Influence of pressure variation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esophase in a petroleum residue, Carbon, 37, 445-455 (1999). 

  13. Y. D. Park and I. Mochida, A two-stage preparation of mesophase pitch from the vacuum pesidue of FCC decant oil, Carbon, 27, 925-929 (1989). 

  14. R. Moriyama, J. Hayashi, K. Suzuki, T. Hiroshima, and T. Chiba, Analysis and modeling of mesophase sphere generation, growth and coalescence upon heating of a coal tar pitch, Carbon, 40, 53-64 (2002). 

  15. J. D. Brooks and G. H. Taylor, The formation of graphitizing carbons from the liquid phase, Carbon, 3, 185-186 (1965). 

  16. C. Blanco, R. Santamaria, J. Bermejo, and R. Menedez, S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sotropic phase and co-existing mesophase in thermally treated coal-tar pitches, Carbon, 38, 1169-1176 (2000). 

  17. H. Shui, Y. Feng, B. Shen, and J. Gao, Kinetics of mesophase transformation of coal tar pitch, Fuel Process. Technol., 55, 153-160 (1998). 

  18. R. Garcia, J. L. Crespo, S. C. Martin, C. E. Snape, and S. R. Moinelo, Development of mesophase from a low-temperature coal tar pitch, Energy Fuels, 17, 291-301 (2003). 

  19. A. Dang, H. Li, T. Li, T. Zhao, C. Xiong, Q. Zhuang, Y. Shang, X. Chen, and X. Ji, Preparation and pyrolysis behavior of modified coal tar pitch as C/C composites matrix precursor, J. Anal. Appl. Pyrolysis, 119, 18-23 (2016). 

  20. I. Mochida, K. Maeda, and K. Takeshita, Structure of anisotropic spheres obtained in the course of needle coke formation, Carbon, 15, 17-23 (1977). 

  21. M. Legin-Kolar, Optical and crystallographic structure of pitch cokes, Carbon, 30, 613-618 (1992). 

  22. H. Yang and R. Luo, Effect of coal tar pitch modified by sulfur as a binder on the mechanical and tribological properties of bronze-impregnated carbon-matrix composites, Mater. Sci. Eng. A, 528, 2929-293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