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지가부자탕(桂枝加附子湯)을 이용하여 호전된 요실금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urinary incontinence improved by Gyejigabuja-tang.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6 no.4, 2018년, pp.381 - 389  

윤효중 (영광군 보건소) ,  이숭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offer an unprecedented target for Gyejigabuja-tang by analyzing a case in which the symptoms were improved by the herbal decoction therapy, and to accumulate a fundamental knowledge in herbal medicine therapy for urinary incontinence. Method : We st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시에 그동안 골관절염11) 과 汗出過多12-14) 에 대하여 주로 연구되었던 桂枝加附子湯에 대하여 傷寒論 桂枝加附子湯 條文에 기록된 ‘小便難’의 요실금 응용에 대한 새로운 知見을 제시하는 바이다.
  • 첫째, 發汗이 過多한 것이 병력상 반드시 확인되어야 하는 필연적 요소로서 惡風, 小便難, 四肢微急, 難以 屈伸이라는 다양한 증상을 만들어내는 주요 원인이라 면, 더 이상 땀을 내지 않는 상황을 만들고 조리를 하면 자연적으로 치료가 되는 것으로, 굳이 附子와 같은 有毒한 약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 發汗이 많아서 체액량이 줄어들어 小便이 곤란 해질 정도의 체액손실이 있다고 하면, 당연히 渴症이 나타날 것인데, 본 조문에는 왜 渴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지 않는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만약 渴이 나타난다면 五苓散, 白虎加人蔘湯 등의 처방으로 소위 逐 水, 裏熱을 치료하거나, 亡陽이 나타났다면 四逆湯으로 回陽救逆해야 할 경우인 것이다.
  • 물론 본 연구는 단 한 개 증례를 분석한 것일 뿐, ‘汗出遂漏不止’에 대한 기존의 해석이 틀렸다고 단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환자의 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기존의 해석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고찰할 수 있었기에 그것을 보고하는 것임을 일러두는 바이다.
  • 본 증례는 6년 전부터 진행된 요실금과 동반된 하지통증에 대하여 桂枝加附子湯을 투여하여 요실금 증상과 하지통증을 호전시킨 증례이다. 최근 이 등15) 은 [傷寒論]의 ‘傷寒’에 대한 연구에서 太陽病篇 등 辨病 篇에 수록된 ‘傷寒’은 序文에 기록된 전염성 외감질환 이라는 의미와는 별도로 “大陽病.
  • 본 증례에서는 환자의 병력에서 ‘大量의 汗出을 病歷 상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환자의 小便失禁에 대한 호소를 ‘小便難’이라고 판단하여 20번 조문에 해당하는 것으로 진단하여, 약 1개월간 桂枝加附子湯 을 투여하여 호전된 요실금 증례를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한방내과 및 부인과 분야에서 연구할만한 가치가 있으며, 桂枝加附子湯 단일 요법의 임상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方劑學 및 傷寒論 등 한의학 기초학문분야 지식 축적과 근거 중심의학적 측면의 연구에 기여하고자 본 증례에 대한 연구를 보고하는 바이다. 그러나 절박성요실금에 대한 단일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서, 대조군이 없어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으며, 통원치료 환자로서 환자가 임의로 약물 복용을 조절하는 등 완벽하게 임상적 중재에 대한 컨트롤을 하지 못하였다는 연구상의 한계가 존재한다.

가설 설정

  • 4) 汗出 : 땀이 많이 나는 편은 아님. 요양보호사, 가정돌보미일을 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5세 이상 여성의 요실금 유병율은? 국제요실금학회에 의하면 요실금이란 ‘객관적으로 증명될 수 있고, 사회적 또는 위생적으로 문제가 되는 소변의 유출’로 정의되며, 65세 이상 여성의 15-30%에 이를 정도로 흔한 유병율을 나타내어 1) , 고령시대에 진입한 한국으로서는 장차 큰 경제적 비용이 예상 되는 질환 중에 하나이다. 요실금은 임상증상에 따라 복압성(stress), 절박성(urge), 일류성(overflow) 등으로 구분되며, 그 중 절박성요실금은 방광 내부의 소변량에 관계없이 참을 수 없는 뇨의가 발생하여 제때에 화장실에 가지 못하면 소변이 나오는 것을 말하고, 대부분의 경우 원인 불명의 방광배뇨근의 불안정 성과 과민성이 나타나게 된다.
요실금이란? 국제요실금학회에 의하면 요실금이란 ‘객관적으로 증명될 수 있고, 사회적 또는 위생적으로 문제가 되는 소변의 유출’로 정의되며, 65세 이상 여성의 15-30%에 이를 정도로 흔한 유병율을 나타내어 1) , 고령시대에 진입한 한국으로서는 장차 큰 경제적 비용이 예상 되는 질환 중에 하나이다. 요실금은 임상증상에 따라 복압성(stress), 절박성(urge), 일류성(overflow) 등으로 구분되며, 그 중 절박성요실금은 방광 내부의 소변량에 관계없이 참을 수 없는 뇨의가 발생하여 제때에 화장실에 가지 못하면 소변이 나오는 것을 말하고, 대부분의 경우 원인 불명의 방광배뇨근의 불안정 성과 과민성이 나타나게 된다.
요실금 치료법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요실금은 임상증상에 따라 복압성(stress), 절박성(urge), 일류성(overflow) 등으로 구분되며, 그 중 절박성요실금은 방광 내부의 소변량에 관계없이 참을 수 없는 뇨의가 발생하여 제때에 화장실에 가지 못하면 소변이 나오는 것을 말하고, 대부분의 경우 원인 불명의 방광배뇨근의 불안정 성과 과민성이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방광훈련과 케겔 운동법 등의 행동요법이 우선시 되며, 약물 요법으로는 배뇨근의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낮추는 항콜린성 제제가 대증적인 효과가 있으나, 구강건조, 변비, 속쓰림 등의 부작용이 동반될 수 있어 효능은더 강하고 부작용은 적은 약물요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2) . 이 외에 삼환계항우울제, 에스트로겐 크림, 전기자극 요법, 수술적 치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요법으로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Gynecology 3rd edition. Seoul:Uiseongdang. 2016:861. 

  2.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Oriental Internal Medicine. Seoul:Gunja publishment co. 2017:135-9. 

  3. Seo EB, Cho HB, Kim SB, Seo YJ, Choi CM, Lee JH. Literature Study about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the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2013;27(4):374-82. 

  4. Lim SY, Kim SW, Kim TH, Jung SY, Cho YC, Kim CS. A Case of Urinary Incontinence Patients After Having an Vertebrae Lumbales Operation.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3;6(2) 119-25. 

  5. Park HJ, Shim HN, Kim YK, An KY, Kim SW, Song BK. Case Report of the Neurogenic Bladder after Spine Surgery.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05;19(6):1685-8. 

  6. Hyun JO, Shin WY, Kim JS, Choi DJ, Han CH, Jung SH, Lim SW, Shin GJ, Lee WC. Two Cases of Patients Diagnosed as Junggihaham.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06;27(4):1035-45. 

  7. Jeong SY, Kim DI. Case report of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which is improved by Acupunture treatment and Sasang Constitutional Herbal medication. The Journal of Obsterics & Gynecology. 2007;20(4):210-6. 

  8. Oh JA, Shin MR. A Case study of Urinary Disturbance Treated with Soeumin's Bojungikgi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4): 396-405. 

  9. Park SH, Chae MS, Jang JB, Lee JM, Lee CH, Lee KS, Hwang DS. A Case Report of the Geriatric Stress Urinary Incontinence Patient Improv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The Journal of Obsterics & Gynecology. 2014;27(4): 133-40. 

  10. Lee DK, Son AH, Kang MJ, Shin HS. Case Report of a Psychogenic Urinary Incontinence Patient with Hypersomnia Disorder.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6;37(2):189-95. 

  11. Won JH, Woo CH. Effects of Gyejigabuja-tang on MIA-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5;25(2):51-64. 

  12. Kim JW, Park KI, Park GS, Lee JM. A Case Study with Gyejigabuja-tang on the Menopausal Fe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Excessive Sweating After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The Journal of Obsterics & Gynecology. 2013; 26(4):213-22. 

  13. Bang JK. A Study on the GyeJiGaBuJaTangJeung.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6;19(2):53-9. 

  14. Professors of Herbal Formula Science i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Seoul:Youngrimsa. 2006:73 

  15. Lee SI, Jeong JK. A Study on the Diversity of Shanghan(傷寒)Concept in Gangpyeong-Sanghanlu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5:28(1):97-110. 

  16. Lee SI. A Philological Research on the Way of Medical Study of ShangHanLun. Herbal Formula Science. 2014;22(2):1-13. 

  17. Moon JJ, Ahn GS, Kim SH, Park JH, Kim DH, Choi DY, et al. ShangHanLunJeongHae. Seoul:Publicaton HanEuiMunHwaSa. 2010:86. 

  18. Yoo JE, Choi KH, Lim HJ, Yoo DY. A Case Report on 2 Cases of Overactive Bladder. The Journal of Obsterics & Gynecology. 2012; 25(1):106-15. 

  19. Lee, G. Goldman's Cecil Medicine 24th edition. Philadelphia:Elsevier Saunders. 2011;343 

  20. Patricia. New Drug Approvals 2012 - Pt. XIV - Mirabegron (MyrbetriqTM). 2012 July 5. [retrieved 2018 October 15]. Available from:URL:http://chembl.blogspot.com/2012/07/new-drug-approvals-2012-pt-xiv.html 

  21. Ha YS. Dictionary of Chinese Etymology. Pusan: Publication of 3. 2014;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