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BD 전극구조에서의 He 가스 글로우방전 특성연구
The Study on the Properties of He Glow discharge in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Model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v.67 no.4, 2018년, pp.214 - 220  

소순열 (Dept. of Electrical and Contro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ght sources induced by gas discharge using rare gas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thin film deposition, the surface modification and the polymer etch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consistently emit light and control the wavelength of the emission light. H...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원 유체모델을 이용한 He 기체방전의 미시적, 공간적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전체에 의한 방전 공간내의 전류-전압 특성과 유전체에 축적되는 전하의 형성과정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램프나 엑시머와 같이 빛의 활용을 극대화하는데 이용되는 여기입자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전원전압, 전원주파수 및 기체 압력의 변화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유체모델을 이용한 유전체장벽 방전모델을 개발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양 전극에 삽입된 유전체 표면에서는 양이온들의 입사로 인한 2차 전자를 방출하는 것으로 경계조건을 설정하였고, 그 방출계수는 0.01, 초기 전자에너지는 0.5[eV]로 각각 가정하였다. 또한, 유전체의 표면에 축전된 전하는 전극 주변의 유속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빛 광원을 이용한 산업에서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비활성 기체를 이용한 기체방전에서 발생된 빛 광원은 박막 필름 및 고농도 SiO2의 증착에 널리 사용되었고, 필름의 표면개선과 폴리머 에칭에도 이용되고 있다[1-3]. 그러나, 이러한 빛 광원을 이용한 산업에서는 광원의 효율이 낮고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고, 또한 수명이 긴 광원기구의 개발연구가 요구되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의 하나로, 유전체장벽 방전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을 이용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4-7].
비활성 기체를 이용한 기체방전에서 발생된 빛 광원은 어디에 이용되고 있는가? 비활성 기체를 이용한 기체방전에서 발생된 빛 광원은 박막 필름 및 고농도 SiO2의 증착에 널리 사용되었고, 필름의 표면개선과 폴리머 에칭에도 이용되고 있다[1-3]. 그러나, 이러한 빛 광원을 이용한 산업에서는 광원의 효율이 낮고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고, 또한 수명이 긴 광원기구의 개발연구가 요구되었다.
유전체장벽 방전으로 인한 어떤 특성을 세밀히 이해하는 것이 광원의 효율증대와 광원기구 제작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는가? 그러나, 광원기구의 향상을 위해서, DBD 방전에 대한 미시적 관점에서의 세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특히, DBD 방전에 의한 여기입자들의 발생과 공간적 분포, 전자 및 이온의 하전입자들의 미시적 운동과 충돌반응의 특성을 세밀히 이해하는 것이 광원의 효율증대와 광원기구 제작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8,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 Esrom and U. Kogelshatz, "Metal deposition with a windowless VUV excimer source," Appl. Surface Science, vol. 51, no. 1, pp. 440-444, 1992. 

  2. J-Y Zhang and I. W. Boyd, "Efficient excimer ultraviolet sources from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in rare-gas/halogen mixtures," J. Appl. Phys., vol. 80, pp. 633-643, 1996. 

  3. P. Bergonzo and I. W. Boyd, "Photo Deposition of oxynitride and nitride films using excimer lamps," Microelec. Engineering, vol. 25, pp. 345-350, 1994. 

  4. U. Kogelschatz, B. Eliasson, W. Egli, "Dielectric Barrier Dishcarge," J. de Physique IV Colloque, vol. 7, no. C4, pp. 47-66, 1997. 

  5. K. Stockward and M. Neigher, "Some Properties of a Novel Far UV Xenon Excimer Barrier Discharge Light Source," Contribution of Plasma Physics, vol. 35, no. 1, pp. 3-100, 1995. 

  6. F. Aldler and S. Muller, "Formation and decay mechanisms of excimer moelcules i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J. Phys. D: Appl. Phys., vol. 33, no. 14, pp. 1705-1715, 2000. 

  7. J-B Lee, C-S Ha, D-H Kim, H-J Lee and H-J Lee, "A Study on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Plasmas of Flat Atmospheric Pressure Using an AC Pulse Voltage," KIEE, vol. 61, no. 5, pp. 717-720, 2012. 

  8. J-H Kim, S-I Jin and Y-M Kim, "Effect of Rise Time of a Pulse Bias Voltage on Atmospheric Plasma Generation," KIEE, vol. 57, no. 7, pp. 1218-1222, 2008. 

  9. S-Y So, "Analysis on DC Glow Discharge Properties of Ar Gas at the Atmosphere Pressure," KIEE, vol. 59P, no. 4, pp. 417-422, 2010. 

  10. A. Oda and T. Kimura, "One-dimensional Fluid Simulation of Atmospheric-Pressure Helium DC Glow Dishcarge," IEEJ, pp. 251-256, 2009. 

  11. F. Tochikubo, T. Chiba and T. Watanabe, "Structure of low-frequency helium glow discharge at atmospheric pressure between parallel plate dielectric electrodes," Jap. J. Appl. Phys., vol. 38, pp 5244-5250, 1999. 

  12. A. Oda, Y. Sakai, H. Akashi and H. Sugawara, "One-dimensional modelling of low-frequency and high-pressure Xe barrier discharges for the design of excimer lamps," J. Phys. D, vol. 32, pp. 2726-2736, 1999. 

  13. Y. Suda, A. Oda, R. Kato, R. Yamashita, H. Tanoue, H. Takikawa and R. Tero, "Computational study of temporal behavior of incident species impinging on a water surface i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for the understanding of plasma-liquid interface," Jap. J. Appl. Phys., vol. 54, pp. 01AF03-1-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