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신 무력감을 주소로 하는 폐전이 횡문근육종 환자 치험 1례
A Case of General Weakness in Patient with Pulmonary Metastatic Rhabdomyosarcoma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2 no.4, 2018년, pp.63 - 70  

김희연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천진홍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최준용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내과) ,  김기봉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n a patient with pulmonary metastatic rhabdomyosarcoma and post-radiotherapy general weakness. This patient's symptoms were improved by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s.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for 2 weeks with acupuncture, herbal medicine (Gamisibje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소아에서 가장 흔한 연부조직육종인 횡문근 육종에 대하여 한방치료에 대한 보고가 전무하였고, 방사선요법 후 발생한 전신 무력감 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足陽明胃經의 合穴인 足三里 (ST36)는 위장 기능 강화 및 기운을 下氣시켜 氣 순환을 원활하도록 하며, 足太 陰脾經의 兪土穴이면서 原穴인 太白 (SP3)은 通經活 絡, 調脾和胃의 효능이 있어 비위 기능을 도와주며 권태롭거나 하지가 무력할 때 다용되며, 足厥陰肝經의 兪土穴이면서 原穴인 太衝 (LR3)은 理氣, 通經하는 효능 및 止胸脇痛으로 선혈되었다. 또한 흉골 수술부위 주변부 침치료를 통해 수술부위 통증을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 선행 연구 중 加味十全湯의 항암 혹은 방사선요 법 시행 후 발생한 부작용 완화에 대한 증례 보고는 없었으나 조 등16)은 加味十全湯 加味方과 灸法의 복합 치료를 통한 욕창 치험례를 보고하였고, 김 등15)은 加 味十全湯 加味方이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조직 회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보고하였으며, 박 등17)은 加味十 全湯 투여와 침구치료를 통해 자궁내막종 치료에 유의 한 효과를 나타냈음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증례에서도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虛證으로 판단하였고, 수술부위 통증을 호소하였으므로 氣血을 補하며 손상된 피부 회복 및 기력회복을 촉진하는 加味十全湯을 치료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들은 16세에 좌측 고환에 발생한 횡문근 육종의 폐전이로 수술적 절제,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 선요법 시행 후 발생한 전신 무력감을 한방적 치료를 통하여 개선함으로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눈금이 그려진 10 cm 길이의 선을 이용하여 ‘0’은 불편함이 전혀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10’이 가장 불편한 상태를 의미한다고 가정한 후 환자가 느끼는 증상의 정도를 선 위에 기입하도록 설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횡문근육종은 주로 언제 발생하는가? 횡문근육종은 소아 및 청소년의 악성종양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연부조직 육종으로 주된 호발 연령은 5-9세의 소아기와 15-19세의 청소년기이 며, 20세 이상 성인의 발생률은 매우 낮다1) . 신체의 어 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원발성 부위는 35%의 두경부이며, 15-20%는 비뇨생식기에 발생한다2) .
횡문근육종이란? 횡문근육종은 소아 및 청소년의 악성종양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연부조직 육종으로 주된 호발 연령은 5-9세의 소아기와 15-19세의 청소년기이 며, 20세 이상 성인의 발생률은 매우 낮다1) . 신체의 어 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원발성 부위는 35%의 두경부이며, 15-20%는 비뇨생식기에 발생한다2) .
횡문근육종이 발생하는 부위는? 횡문근육종은 소아 및 청소년의 악성종양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연부조직 육종으로 주된 호발 연령은 5-9세의 소아기와 15-19세의 청소년기이 며, 20세 이상 성인의 발생률은 매우 낮다1) . 신체의 어 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원발성 부위는 35%의 두경부이며, 15-20%는 비뇨생식기에 발생한다2) . 국소적 진행 상태 혹은 원격전이 이후에 진단 되는 특징을 보이며3) , 가장 흔한 전이 부위는 폐 (36%), 골수 (22%), 뼈 (7%) 순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gas-Bejar D, Huh WW. Rhabdomyosarcoma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patients: current perspectives. Adolesc Health Med Ther. 2014;5:115-25. 

  2. Breitfeld PP, Meyer WH. Rhabdomyosarcoma: new windows of opportunity. Oncologist. 2005;10(7):518-27. 

  3. Kim BS, Moon SB, Lee SC, Jung SE, Park KW. Results of treatment of rhabdomyosarcoma in children. J Kor Assoc Pediatr Surg. 2008;14(2):164-72. 

  4. McCarville MB, Spunt SL, Pappo AS. Rhabdomyosarcoma in pediatric patients: the good, the bad, and the unusual. AJR Am J Roentgenol. 2001;176(6):1563-9. 

  5. Malempati S, Hawkins DS. Rhabdomyosarcoma: review of the children's oncology group (COG) soft-tissue sarcoma committee experience and rationale for current COG studies. Pediatr Blood Cancer. 2012;59(1):5-10. 

  6. Lawrence W, Gehan EA, Hays DM, Beltangady M, Maurer HM. Prognostic significance of staging factors of the UICC staging system in childhood rhabdomyosarcoma: a report from the Intergroup Rhabdomyosarcoma Study (IRS-II). J Clin Oncol. 1987;5(1):46-54. 

  7. Crist W, Gehan EA, Ragab AH, Dickman PS, Donaldson SS, Fryer C, Hammond D, Hays DM, Herrmann J, Heyn R. The Third Intergroup Rhabdomyosarcoma Study. J Clin Oncol. 1995;13(3):610-30. 

  8. Crist WM, Anderson JR, Meza JL, Fryer C, Raney RB, Ruymann FB, Breneman J, Qualman SJ, Wiener E, Wharam M, Lobe T, Webber B, Maurer HM, Donaldson SS. Intergroup rhabdomyosarcoma study-IV: results for patients with nonmetastatic disease. J Clin Oncol. 2001;19(12):3091-102. 

  9. Wiener E. Rhabdomyosarcoma. In: O'Neil JA, Rowe MI, Grosfeld JL, editors. Pediatric surgery. 5th ed. St. Louis: C. V. Mosby. 1998:431-45. 

  10. Horn RC Jr., Enterline HT. Rhabdomyosarcoma: a clinicopathological study and classification of 39 cases. Cancer. 1958;11(1):181-99. 

  11. Kim YB, Park MS. A case of rhabdomyosarcoma of the cheek.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1993;36(5):1065-70. 

  12. Ashlock R, Johnstone PA. Treatment modalities of bladder/prostate rhabdomyosarcoma: a review. Prostate Cancer Prostatic Dis. 2003;6(2):112-20. 

  13. Kim JH, Bae KR, Park SJ, Cho CK, Yoo HS. A case of patient with recurring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treated with Samchilchoongcho-Jung in conjunction with afatinib. J Int Korean Med. 2017;38(1):72-80. 

  14. Park JS, Lee YW, Cho JH, Son CG, Cho CK, Yoo HS. A case of regression of advanced gastric cancer by herbal medicine-a retrospective case study with 8-years follow-up. J Int Korean Med. 2007;28(1):193-8. 

  15. Kim HY, Hong SU. The effects of Gamisipjeontang-gamibang on injured tissue after burn elicitat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1):62-75. 

  16. Cho MK, Lee DJ, Lee JH, Lee HY, Hong JW, Lee I, Seo HS, Kwon JN. A case report of stage three pressure sore treated with Gamisipjeontang-gamibang and bird-pecking moxibustion. J Int Korean Med. 2014;35(110):183-9. 

  17. Park YA, Seung JH, Park YS, Kim DC. Clinical study for two cases of endometrioma treated by Gami-sibjeon-tang with acupuncture and moxa. J Orient Obstet Gynecol. 2008;21(2):273-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