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수대응 다목적 재해대응 저류공원의 도입과 분류체계 연구
Introdu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Reservoir Park Mitigating Floo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12, 2018년, pp.646 - 659  

문수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민생활연구본부) ,  정승현 (한구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연구센터) ,  윤희재 (도시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원과 같은 도시 내 녹색공간에 재해예방기능을 추가한 '저류공원'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분류체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저류공원은 도시공원과 저류시설을 도시계획시설로 중복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민의 일상적인 이용을 위한 공간제공과 유사시 재해저감 기능을 수행하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도심 내 침수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류시설이 도시계획시설과 함께 제도적으로 검토가 되어야 시설이 공원 등의 형태로도 설치가 가능한데, 저류기능과 도시 주변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법리적 검토를 하다보니 저류공원이 주제공원으로서 입지가 명확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조사 및 현장 답사를 통해 도시 내 저류시설 유형을 도시 녹색공간의 입지적 특성을 반영하여 총 5종류의 저류공원으로 재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저류공원에 대한 분류는 지하수위, 사람의 이용, 저류랑의 규모를 기준으로 생태형, 식생피복형, 운동시설형, 지하매설형, 복합형 등 총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분류체계는 향후 저류시설 입지를 지정 후 조성되는 시설의 유형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Reservoir Park", which added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to urban green spaces such as city parks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related laws review, case studies, field trips. This is a combination of urban parks and reservoirs as urban planning facilities, which can provide bo...

주제어

표/그림 (2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법규 검토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법률상 공원유형 중 공원지정시 안전(수량, 수질)에 특화된 공원이 없기 때문에 주제공원에 저류공원이 추가되어야 한다. 기존의 도시공원 유형은 자연적인 공간에 대한 보전과 도시민의 일상적 휴식공간 제공 차원에서 구분되어 왔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저류 시설확보를 위한 최적의 공간으로 도시공원과의 복합 이용을 유도하고자 한 것이다.
  • 현재 우리나라 법체계에서는 저류기능을 담당하는 공원유형이 존재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국외 사례를 중심으로 각 사례의 주제공원 분류기준, 유형 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유형의 국내의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현재 운영 방식과 조성특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의 일상적 활동이 가능한 도시 공원 본연의 기능과 함께 도시홍수와 같은 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저류공원이라는 새로운 공원 유형을 제안하였다. LID 개념을 공원 전체에 적용하는 저류공원과 overflow되는 물량을 저류시키기 위한 공원 내 저류시설은 개념 자체가 다르고, 조성에서부터 유지관리까지 모든 개념이 동일하지 않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공간 내 기조성된 공원녹지를 활용하면서도 도시침수 및 홍수를 예방하는 저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을 기존 공원운영의 틀 안에서 제안하고, 이러한 시설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 도쿄 미즈모토 공원의 조성 목적은 무엇인가? 일본 도쿄 미즈모토 공원은 주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평시에는 자연자원을 활용한 활동과 각종 콘서트, 스포츠 등의 이벤트가 개최되는 장소로 이용하고 재난 발생 시 수도 공급이 없어도 사용 가능한 방재화장실, 태양열 유도등, 물자수송 차량 진입 구, 헬리포트 등을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가 겪고 있는 도시재해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기후환경변화에 따른 이상기후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폭우시 도시침수와 산사태 등의 도시재해를 매년 반복적으로 겪고 있다. 특히 불투수면적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물순환 왜곡으로 하천 건천화, 지하수 고갈, 도심열섬현상과 같은 도시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그 중 도시 침수와 그로 인한 피해는 매년 그 규모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공원 부지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도시계획차원에서 저류지를 도시공원과 연계하여 도시계획시설로 중복 지정하는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 도시공원 부지는 도시 내 분산되어 있으며, 대부분 공공이 관리운영주체라는 점으로 인해 운영관리가 체계적이며, 공원 내 빗물관리를 통해 도시민에게 친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실제 저류시설은 도시계획시설로 지정·운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