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수술용 가이드의 지지타입에 따른 정확도 평가
The accuracy evaluation of digital surgical stents according to supported type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6 no.1, 2018년, pp.8 - 16  

이준연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윤민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박태석 (디맥스) ,  전인곤 (디맥스) ,  윤귀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술용 스텐트를 이용하여 지지 형태에 따른 수술용 스텐트의 정확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총 5세트의 치아모형에 대하여 양측에 지대치가 있는 치아지지형 무치악 모델과 근심에만 지대치가 있는 치아-조직 지지형 무치악 모델을 제작하였다. 모델을 스캐닝을 시행하고,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In2Guid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산화 단층 촬영술의 정보와 모델 스캐닝 정보를 중첩하여 임플란트 고정체(USII, $4{\times}10mm$, Osstem, Seoul, Korea)에 대한 가상적인 위치배열을 실시하고 수술용 스텐트 제작하였다. DMAX 수술 키트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였다. 식립후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찍어 술전에 계획된 임플란트와 실제 식립된 임플란트 사이에 오차(angle difference, coronal difference, apical difference)를 측정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악궁에 따른 정확도 결과에서 하악이 전반적으로 각도, 길이오차의 값이 작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스텐트의 지지 형태에 따른 정확도 결과에서 치아지지형 스텐트가 치아-조직지지형 스텐트보다 길이오차와 각도오차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결론: 악궁(상악, 하악)은 수술용 스텐트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치아 지지형 스텐트는 치아-조직지지형 스텐트보다 더 적은 오차를 보여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surgical stent according to the supported type. Materials and methods: 5 sets of dental models which have tooth supported edentulous area and tooth-tissue supported edentulous area were made. Dental model were scanned with model sca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는 외과용 스텐트의 지지 형태에 따라 디지털 가이드 외과용 스텐트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용 임플란트를 악골내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치과용 임플란트를 악골내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악골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식립 깊이와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수립되어야 한다.1 치조골의 외형과 양을 고려하지 않은 부정확한 임플란트 식립은 피질골의 협설 측 천공을 초래할 수 있고, 혹은 잘못된 방향으로 보철물의 디자인이 부자연스러워지며, 힘의 분산이나 역학적인 면, 심미적인 면에서 매우 불량한 보철물을 만들수 있다.
통상적으로 임플란트 수술시 임플란트의 위치를 잡기위해 어떤 것을 참고하는가? 통상적으로 임플란트 수술시 임플란트의 위치를 잡기 위한 수단으로 치근단 방사선 사진과 파노라마 사진, 치과용 전산화 단층 촬영술등을 참고하여 임상가의 경험을 통해서 식립 위치를 결정하고, 방사선 스텐트를 수동으로 수술용 스텐트로 변형하여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차원적인 정보는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방사선 스텐트에서 외과용 스텐트로 이전 할 때 생기는 임플란트 식립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보철물의 설계를 포함한 수술 전 계획은 방사선 스텐트에 반영되고, 이 정보를 외과용 스텐트로 정확히 이전하게 되면 정확한 임플란트 수술이 가능하지만, 방사선 스텐트에 반영된 술전 계획을 외과용 스텐트로 이전시키는 과정에서 정보이전의 손실이 발생하고 이는 임플란트 식립의 오차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치과용 전산화 단층 촬영술의 정보를 진단 모형상의 정보와 병합하여 디지털을 이용하여 수술용 스텐트를 제작하는 방법이 최근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예견된 위치로 임플란트의 식립이 이루어지므로, 보철물까지 한번에 해결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lin Oral Implants Res Van Steenberghe 14 131 2003 10.1034/j.1600-0501.2003.140118.x 

  2. J Pharm Bioallied Sci Ramasamy 5 S98 2013 10.4103/0975-7406.113306 

  3. J Prosthet Dent Malo 97 S26 2007 10.1016/S0022-3913(07)60005-5 

  4. Clin Oral Implants Res Somogyi-Ganss 26 882 2015 10.1111/clr.12414 

  5. Clin Implant Dent Relat Res Stumpel 14 442 2012 10.1111/j.1708-8208.2010.00268.x 

  6. Craniomaxillofac Trauma Reconstr Karami 10 246 2017 10.1055/s-0036-1584891 

  7. J Craniomaxillofac Surg Nickenig 35 207 2007 10.1016/j.jcms.2007.02.004 

  8.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Widmann 22 72 2007 

  9. J Oral Maxillofac Surg Holst 65 393 2007 10.1016/j.joms.2006.10.050 

  10. J Periodontol Di Giacomo 76 503 2005 10.1902/jop.2005.76.4.503 

  11. J Clin Periodontol Van Assche 34 816 2007 10.1111/j.1600-051X.2007.01110.x 

  12.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Tardieu 27 141 2007 

  13. J Prosthet Dent Park 101 372 2009 10.1016/S0022-3913(09)60080-9 

  14. J Oral Maxillofac Surg Block 67 13 2009 10.1016/j.joms.2009.04.082 

  15. Imaging Sci Dent Egbert 45 41 2015 10.5624/isd.2015.45.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