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수피해유형별 홍수 위험 지수 적용성 분석
Analysis of the Applicability of Flood Risk Indices According to Flood Damage Type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8 no.1, 2018년, pp.29 - 39  

김묘정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김광섭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IPCC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이론, OECD에서 개발한 PSR 모형, EEA에서 개발한 DPSIR 모형을 활용하여 산정된 홍수위험지수들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홍수위험지수 산정을 위하여 세부 지표로 일 최대 강수량, 1시간 최대 강수량, 10분 최대 강수량, 연평균 강수량, 1일 강수량이 80mm 초과한 일수, 인구 밀도, 자산 밀도, DEM, 도로연장, 하천개수율, 유수지용량, 하수도 보급률, 배수펌프시설 등의 2000년에서 2015년도 자료를 정규화하여 전국 113 중권역 단위로 구축하였다. 산정된 홍수위험지수는 4개의 홍수피해유형 즉 인명피해, 피해면적, 피해액, 피해빈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위험지수와 피해유형별 상관분석 결과 피해액, 인명피해 및 피해면적에 대해서는 PSR 기법이, 홍수발생빈도에 대해서는 DPSIR 기법에 따른 지수의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ies of flood risk indices using FVI from IPCC, PSR method from OECD, and DPSIR method from EEA, were analyzed. Normalized values of daily maximum rainfall, hourly maximum rainfall, ten minute maximum rainfall, annual precipitation, total days of heavy rainfall (mor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연구에서 홍수취약도를 산정하고, 미래의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취약성만을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FVI, PSR, DPSIR 방법론에 따른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여 홍수 발생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방법론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FVI, PSR, DPSIR 방법론에 따라 우리나라 중권역 단위 홍수위험을 잘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수산정에 필요한 각종 변수들을 수집하여 113 중권역 단위의 자료로 구축하였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각 기법에 따른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고 동일기간에 발생한 여러 유형의 피해형태 즉 인명피해, 피해면적, 피해액, 발생빈도와 비교·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PFD) 지수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국토해양부에서 수립하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0)에서 활용되고 있는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PFD) 지수는 면 개념을 도입하여 치수 단위구역의 치수특성과 사회경제적인 가치를 함께 평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지수로 전국 150개 치수 단위구역별로 홍수피해의 잠재적 위험성을 분석하고 유역 단위로 치수안전도 평가하였다. Kim et al.
IPCC (2007)에서 제시한 기법은 어떤 정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가? IPCC (2007)에서는 홍수 취약성을 나타내는 요소들을 민감도(Sensitivity), 노출도(Exposure), 저감성(Adaptation)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지표들은 정성적인 개념이다. 정성적인 개념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세부 지표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지표로 표현하여야 하며, 이러한 세부 지표를 활용한 홍수 취약도 제시는 현황에 따른 정적인 취약성 제시로 광역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정보를 파악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다. 광역에 대한 정적 홍수위험도 지표에 선정된 예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FVI 모형, PSR 모형, DPSIR 모형 모두 홍수 위험이 높은 곳으로 평가받는 곳은 어디인가? 각 기법을 이용하여 생산한 홍수위험지수는 인명피해, 피해면적, 피해액, 발생빈도와 같은 여러 홍수피해유형에 대하여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FVI 모형, PSR 모형, DPSIR 모형에서 공통으로 인구와 자산이 밀집된 한강서울유역에 홍수위험지수가 높게 산정된다. FVI 모형은 다른 모형에 비하여 홍수위험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산정되며, PSR 모형은 다른 모형과 다르게 특정년도에 특정 지역에서 높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이며, DPSIR 모형은 연도와 상관없이 인구 및 자산 밀도가 높은 한강서울유역이 홍수위험지수가 두드러지게 높게 산정되며, 다른 유역은 다른 모형에 비하여 비교적 홍수에 대한 위험이 낮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ronica, G. T., Franza, F., Bates, P. D. and Neal, J. C. (2012). "Probabilistic evaluation of flood hazard in urban area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26, No. 26, pp. 3962-3972. 

  2. EEA (1999). Environmental indicators: Typology and overview, Technical report No. 25. 

  3. Ettinger, S., Mounaud, L., Magill, C., Yao-Lafourcade, A. F., Thouret, J. C., Manville, V., Negulescu, C., Zuccaro, G., Gregorio, D. D., Nardone, S., Uchuchoque, J. A. L., Arguedas, A. and Macedo, L. (2016). "Nelida manrique llerena i building vulnerability to hydrogeomorphic hazards: estimating damage probability from qualitative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Hydrology, Vol. 541, pp. 553-562. 

  4. Hatzikyriakou, A. and Lin, N. (2017). "Simulating storm surge waves for structural vulnerability estimation and flood hazard mapping." Natural Hazards, Vol. 89, pp. 939-962. 

  5.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Jun, K. S., Chung, E. S., Kim, Y. G. and Kim, Y. (2013). "A fuzzy multi-criteria approach to flood risk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by considering climate change impact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40, No. 4, pp. 1003-1013. 

  7. Kandilioti, G. and Makropoulos, C. (2012). "Preliminary flood risk assessment: The case of athens." Natural hazards, Vol. 61, No. 2, pp. 441-468. 

  8. Karagiorgos, K., Thaler, T., Heiser, M., Hubl, J. and Fuchs, S. (2016). "Integrated flash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Insights from East Attica, Greece." Journal of Hydrology, Vol. 541, pp. 553-562. 

  9. Kim, E. S., Choi, Y. J., Choi, H. I. and Chung, G. (2014). "Evaluation of inherent flood vulnerability in Seoul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flood protection capacity and damage matri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2, pp. 299-307 (in Korean). 

  10. Kim, H. S., Park, G. J., Kim, S. D., Choi, M. H., Park, M. J. and Yoon, J. Y.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large-scale river restoratio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2, pp. 107-113 (in Korean). 

  11. Kim, J. H., Han, K. Y. and Seo, K. W. (2003). "Application of uncertainty method fer analyzing flood inundation in a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4, pp. 661-671 (in Korean). 

  12. Kim, J., Choi, C. and Yi, J. (2011). "Development of flood control effect index by using fuzzy set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Vol. 31, No. 5A, pp. 415-429 (in Korean). 

  13. Kim, T. H., Han, K. Y. and Cho, W. H. (2011). "Vulnerability analysis in the nakdong river basin for the utilization of flood risk mapp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4, No. 3, pp. 203-222 (in Korean). 

  14. Lee, M. W., Kim, T. W. and Moon, G. W. (2013). "Assessment of flood damage vulnerability considering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4, pp. 245-256 (in Korean). 

  15. Masood, M. and Takeuchi, K. (2012). "Assessment of flood hazard, vulnerability and risk of mid-eastern dhaka using DEM and 1D hydrodynamic model." Natural hazards, Vol. 61, No. 2, pp. 757-770. 

  16. OECD (1993). OECD core set of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OECD Environment Monographs No. 83. 

  17. Park, M., Song, Y., Joo, J. and Park, M. (2013). "A study on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5, pp. 297-305 (in Korean). 

  18. Solomon, S. (Ed.). (2007). Climate change 2007-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Vol. 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Sung, J. H., Baek, H. J., Kang, H. S. and Kim, Y. O. (2012). "The assessment of future flood vulnerability for Seoul regio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4, No. 3, pp. 341-352 (in Korean). 

  20. Yoon, S. K., Kim, J. S. and Moon, Y. I. (2014). "Integrated flood risk analysis in a changing climate: A case study from the Korean Han river basin."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8, No. 5, pp. 1563-1571 (in Korean). 

  21. Zachos, L. G., Swann, C. T., Altinakar, M. S., McGrath, M. Z. and Thomas, D. (2016). "Flood vulnerability indices and emergency management planning in the Yazoo basin, Mississippi."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Vol. 18, pp. 8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