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니버설디자인 기반 도시철도역사 편의성 평가방법 개발 - 수서역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of Convenience Evaluation Method of Urban Railway Sta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 Focusing on Suseo Station -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8 no.1, 2018년, pp.159 - 165  

이상화 (남서울대학교 첨단교통환경연구소)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첨단교통환경연구소) ,  김현주 (한국철도공사 경영연구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존의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보다는 장애 유무나 연령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 건축물, 환경, 서비스 등을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도시철도역사의 경우 도시생활의 거점이 되는 중요한 시설이며, 다양한 이용자(임산부, 고령자, 장애인, 유아 등)가 존재하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시설 정비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토 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도시철도역사 이용객 편의성 향상 기술 개발" 과제의 일부로 5개년도 중 마지막 연차 과제로 UD 기반의 시설물 편의성 평가 기준 및 방법을 개발하고 테스트베드역을 선정하여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도시철도역사 시설물의 UD 원칙(평가기준)을 수립하고, UD 적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체크리스트를 공간별로 개발하고, 해당 평가방법론의 실제 적용을 위해 테스트베드역사(수서역)를 3차년도에 선정, 4차년도에 UD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개선한 후 5차년도(현재)에 UD 기반 테스트베드 역사 편의성 향상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테스트베드역사(수서역)의 UD 가이드라인 개선 전/후 현장 조사 수행 후 공동연구기관/철도운영기관/전문가를 대상으로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 결과 약 50.3%의 편의성 향상을 보였다. 또한 UD 원칙에 따른 적용 여부를 평가한 결과 개선 전 평균 약 1.8점 ${\rightarrow}$ 개선 후 4.2점으로 약 48.7% 개선되어 전체적으로 UD 가이드라인의 설계기준이 잘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UD 기반 평가기준 및 방법론은 향후 도시철도역사 시설물의 UD 적용 여부를 평가하는 정량적인 방법으로 향후 도시철도역사 UD 가이드라인 적용에 따른 평가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universal design concepts have been introduced that are designed to make everybody more comfortable and safe to use for products, buildings, environments, services, and so on. In the case of urban railroad history, it is important to maintain facilities that incorporate the univer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Kim, 2013)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준용하여 1) 도시철도역사 UD 원칙을 수립하고, 2) UD 적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체크리스트를 공간별로 개발하고,3) 해당 평가방법론의 실제 적용을 위해 테스트베드역사(수서역)를 3차년도에 선정, 4차년도에 UD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개선한 후 4) 5차년도(현재)에 UD 기반 테스트베드 역사 편의성 향상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테스트베드역사(수서역) 분당선 대합실(지하 1층)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 기반 시설물 개선 전/후에 대한 현장 조사 수행 및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테스트베드역사의 시설물 편의성 평가 기준 및 방법을 정립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철도역사를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이하 UD) 평가기준 및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으로 이를 위해 UD평가 방법 관련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니버설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보편적 설계)은 영국의 셀윈골드스미스에 의해 처음 개념이 정립되었으며, 미국의 로널드 메이스에 의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 유니버설디자인이란 건물이나 시설, 제품에 추가비용 없이, 혹은 최저 비용으로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기능적이고 매력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된 배경은? 우리나라의 경우 시설 패러다임에서는 장애인을 격리, 수용,보호하는 목적에 충실했기 때문에 장애인을 내 주변과 거리에서 볼 일이 크게 없었던 반면, 사회적 민주화 이후 장애인 당사자들의 의식이 강화되고 장애인의 사회적 참여가 강조되면서 참여를 가로막는 장벽(건축물과 교통이용시설의 턱과 계단, 운송수단(버스,지하철) 등에 접근을 가로막는 요인)을 제거(Barrier Free)하는데 관심을 갖게 되었다.2) 유니버설디자인은 무장애 디자인을 능가하는 개념으로 장애인에 대한 신체적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 기술적인 측면의 디자인에 그치지 않고 노인, 아동, 여성, 외국인 등 다양한 사용자를 배려하는 디자인으로 모두에게 유용하며 사회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철도역사에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시설 정비가 중요한 이유는? 그러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존의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보다는 장애 유무나 연령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 건물,환경, 서비스 등을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도시철도역사의 경우 도시생활의 거점이 되는 중요한 시설이며,다양한 이용자(임산부, 고령자, 장애인, 유아 등)가 존재하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시설 정비는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Chun, J.H., Kim, H.W. (2000). "A study on the cheklist for interior elements influencing on accessibility and mobility of visually impaired pers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1. 24, pp. 208-219 (in Korean). 

  2. Kim, S.T., Byun, H.R. and Choi, R. (2013). "Evaluation and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user-friendly rail passenger facilities according to universal design - Case-study of Suwon station and Byeongjeom st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9, No. 1, pp. 69-80 (in Korean). 

  3. Ko, H. S. (2013). Encounter universal design in Japan, Jejusori, Availave at :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31883 (Accessed: December 6, 2017). 

  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5).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Universal Design Manual (in Korea). 

  5. Min, B. A. (2009).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sign Seoul Street based on Universal Design, Master Course, Yonsei University. 

  6. Unknown (2017), Universal Design, Wikipedia, Internet Encyclopedia. Available at :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8B%88%EB%B2%84%EC%84%A4_%EB%94%94%EC%9E%90%EC%9D%B8 (Accessed : December 6,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