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뇌교각 수술 중에 안면운동유발전위의 검사방법과 기능적 예측인자
Facial Motor Evoked Potential Techniques and Functional Prediction during Cerebello-pontine Angle Surger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4, 2018년, pp.470 - 476  

백재승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박상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김동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박찬우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임성혁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이장호 (세명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조영국 (서영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중펄스경두개전기자극(mpTES)을 이용한 안면운동유발전위(FMEP)는 자유 진행 근전도와 직접적인 안면 신경 자극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소뇌교각 종양 수술 중에 안면 신경의 기능적인 완전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검사의 표준화된 검사방법과 안면 신경의 기능예측인자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수술 후 중대한 후유증인 안면마비 발생률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Mz (음극)-M3, M4 (양극) 전극으로 경두개전기자극을 주고 안면운동유발전위의 단일펄스반응(SPR)의 부재와 10 ms이상의 잠복기를 확인해서 직접적인 두개 외 말초 안면 근육 자극을 배제하고 구륜근(orbicularis oris)과 턱근(mentalis)에서 동시에 측정하면 구륜근에서만 측정했을 때보다 안면운동유발전위의 정확도와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면운동유발전위의 50% 진폭감소를 경고기준으로 해서 수술 직후 안면 신경의 결과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뇌교각 종양 수술 중에 FMEP는 자유 진행 근전도와 직접적인 안면 신경 자극법과 더불어서 수술 후 중대한 후유증인 안면 마비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cial motor evoked potential (FMEP) by multi-pulse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mpTES) can complement free-running electromyography (EMG) and direct facial nerve stimulation to predict the functional integrity of the facial nerve during cerebello-pontine angle (CPA) tumor surgery. The pur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원에서도 수술 중에 자유 진행 근전도와 직접적인 안면 신경 전기 자극법만으로 최근까지 감시를 했었고 수술 중에 안면신경 손상 없이 끝났다고 생각했지만 수술 직후 안면마비가 발생한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면운동유발전위를 통하여 안면마비의발생률의 유의미한 감소효과를 관찰해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소뇌교각 종양 수술 중에 다중펄스경두개전기자극에 의한 안면운동유발전위의 직접적인 말초 안면 근육자극없이 정확하게 검사하는 방법들과 수술 직후 안면 신경 결과 예측인자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수술 후 중대한 후유증인 안면 마비의 발생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다중펄스경두개전기자극(mpTES)을 이용한 안면운동유발전위(FMEP)는 자유 진행 근전도와 직접적인 안면 신경 자극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소뇌교각 종양 수술 중에 안면 신경의 기능적인 완전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검사의 표준화된 검사방법과 안면 신경의 기능예측인자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수술 후 중대한 후유증인 안면마비 발생률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Mz (음극)-M3, M4 (양극) 전극으로 경두개전기자극을 주고 안면운동유발전위의 단일펄스반응(SPR)의 부재와10 ms이상의 잠복기를 확인해서 직접적인 두개 외 말초 안면 근육 자극을 배제하고 구륜근(orbicularis oris)과 턱근(mentalis)에서 동시에 측정하면 구륜근에서만 측정했을 때보다 안면운동유발전위의 정확도와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중 신경감시란 무엇인가? 수술 중 신경감시는 현대 신경외과 수술에서 사망률은 줄이고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그리고 뇌신경 기능 보존 등의 수술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1]. 그 중 자유 진행 근전도(free-running EMG)와 직접적인 안면 신경 전기 자극법(direct facial nerve electrical stimulation)의 도입은 소뇌교각 종양 수술 중에 안면 신경 손상으로 발생하는 후유증인 안면마비 발생률을 감소시켰다[2-5].
근전도 반응이 많이 있었다고 해서 꼭 안면 신경의 손상을 나타내지는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반응은 리트랙터(retractor)로 인한 신경 당김, 종양절제 중에 근접한 신경 손상과 같은 의도 하지 않은 손상성 안면신경이 자극될 때 발생하고 이 때 집도의에게 알린다. 그러나, 수술 중 식염수 세척, 지혈솜 압박 등의 안면 신경에 손상을 가하지는 않지만 간접적인 자극도 생기기 때문에 근전도 반응이 많이 있었다고 해서 꼭 안면 신경의 손상을 나타내지는 않는다[6]. 게다가 수술 초기 큰 종양으로 인해 안면 신경이 식별되기도 전에 수술 가위, 메스, 바이폴라 포셉 등의 날카로운 도구에 0.
근전도 반응은 어떨때 발생하며 언제 집도의에게 알려야하나? 첫 번째 검사인 자유 진행 근전도는 안면 근육에 기록 전극을부착하고 실시간으로 안면 신경이 자극될 때 발생하는 신경 긴장성의 발산(neurotonic discharge) 즉, 근전도 반응을 보는 것이다. 이런 반응은 리트랙터(retractor)로 인한 신경 당김, 종양절제 중에 근접한 신경 손상과 같은 의도 하지 않은 손상성 안면신경이 자극될 때 발생하고 이 때 집도의에게 알린다. 그러나, 수술 중 식염수 세척, 지혈솜 압박 등의 안면 신경에 손상을 가하지는 않지만 간접적인 자극도 생기기 때문에 근전도 반응이 많이 있었다고 해서 꼭 안면 신경의 손상을 나타내지는 않는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ala F, Manganotti P, Tramontano V, Bricolo A, Gerosa M. Monitoring of motor pathways during brain stem surgery: what we have achieved and what we still miss? Neurophysiol Clin. 2007;37:399-406. 

  2. Goldbrunner RH, Schlake HP, Milewski C, Tonn JC, Helms J, Roosen K. Quantitative parameters of intraoperative electromyography predict facial nerve outcomes for vestibular schwannoma surgery. Neurosurgery. 2000;46:1140-1146. 

  3. Harper CM, Daube JR. Facial nerve electromyography and other cranial nerve monitoring. J Clin Neurophysiol. 1998;15:206-216. 

  4. Moller AR, Jannetta PJ. Preservation of facial function during removal of acoustic neuromas: use of monopolar constant-voltage stimulation and EMG. J Neurosurg. 1984;61:757-760. 

  5. Romstock J, Strauss C, Fahlbusch R. Continuous electromyography monitoring of motor cranial nerves during cerebellopontine angle surgery. J Neurosurg. 2000;93:586-593. 

  6. Hone SW, Commins DJ, Rames P, Chen JM, Rowed D, McLean A, et al. Prognostic factors in intraoperative facial nerve monitoring for acoustic neuroma. J Otolaryngol. 1997; 26:374-378. 

  7. Nakao Y, Piccirillo E, Falcioni M, Taibah A, Kobayashi T, Sanna M. Electromyographic evaluation of facial nerve damage in acoustic neuroma surgery. Otol Neurotol. 2001;22:554-557. 

  8. Silverman H, Willcox TO, Rosenberg SI, Seidman MD. Prediction of facial nerve function following acoustic neuroma resection using intraoperative facial nerve stimulation. Laryngoscope. 1994;104:539-544. 

  9. Sobottka SB, Schackert G, May SA, Wiegleb M, Reiss G. Intraoperative facial nerve monitoring (IFNM) predicts facial nerve outcome after resection of vestibular schwannoma. Acta Neurochir. 1998;140:235-243. 

  10. Yingling CD, Gardi JN.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facial and cochlear nerves during acoustic neuroma surgery. 1992. Neurosurg Clin N Am. 2008;19:289-315. 

  11. Akagami R, Dong CC, Westerberg BD. Localized transcranial electrical motor evoked potentials for monitoring cranial nerves in cranial base surgery. Neurosurgery. 2005;57:78-85. 

  12. Fukuda M, Oishi M, Takao T, Saito A, Fujii Y. Facial nerve motor evoked potential monitoring during skull base surgery predicts facial nerve outcom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8;79:1066-1070. 

  13. Samii M, Matthies C. Management of 1000 vestibular schwannomas (acoustic neuromas): the facial nerve-preservation and restitution of function. Neurosurgery. 1997;40:684-694. 

  14. Calancie B, Harris W, Broton JG, Alexeeva N, Green BA. "Threshold-level" multipulse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of motor cortex for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spinal motor tracts: description of method and comparison to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monitoring. J Neurosurg. 1998;88:457-470. 

  15. Dong CC, MacDonald DB, Janusz MT. Intraoperative spinal cord monitoring during descending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neurysm surgery. Ann Thorac Surg. 2002;74:1873-1876. 

  16. Jacobs MJ, Meylaerts SA, de Haan P, de Mol BA, Kalkman CJ. Strategies to prevent neurologic deficit based on motor-evoked potentials in type I and II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J Vasc Surg. 1999;29:48-57. 

  17. Ulkatan S, Deletis V, Fernandez-Conejero I. Central or peripheral activations of the facial nerve? J Neurosurg. 2007;106:519-520. 

  18. Dong CC, MacDonald DB, Akagami R, Westerberg B, Alkhani A, Kanaan I, et al. Intraoperative facial motor evoked potential monitoring with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skull base surgery. Clin Neurophysiol. 2005;116:588-596. 

  19. House JW, Brackmann DE. Facial nerve grading system.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5;93:146-147. 

  20. Park SK.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n cerebello pontine angle tumor. Korean J Clin Lab Sci. 2014;46:38-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