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지 원재료인 닥나무와 인피섬유의 해부학적·화학적 특성 연구
Anatomic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per-mulberry Wood and Bast Fiber for Raw Material of Korean Paper(Hanji)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6, 2018년, pp.517 - 524  

고인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정선화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닥나무의 삼단면 관찰을 통하여 공통된 해부학적 특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고 닥나무 인피섬유의 섬유장 폭, 내강폭과 같은 형태학적 특징과 화학적 특징을 통해 펄프, 제지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닥나무는 환공재, 반환공재이며 대도관이 고립관공으로 방사상배열이다. 접선단면 방사조직은 1~3열이고 나선비후가 관찰되어져 공통적으로 동일한 해부학적 특성이 나타났다.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특징으로는 섬유장 6.58~9.01 mm, 섬유폭 $15.85{\sim}27.80{\mu}m$, 내강폭 $4.50{\sim}12.54{\mu}m$로 나타났다. 펄프, 제지공정에 중요한 특성으로 여겨지는 runkel ratio, slenderness ratio 등을 고려했을 때 강원도 D시료가 가장 적합하였다. 인피섬유의 화학적 특성으로 경상도 C시료가 낮은 추출물 함량과 높은 셀룰로오스 함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섬유의 형태학, 화학적 특성은 한지 제조 후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ing a method different from those employed previously,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aper-mulberry wood were confirmed by observing three different sections.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ulp and papermaking proces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morphological properties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닥나무를 구분하는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전국 권역별 5개체 닥나무의 삼단면 관찰을 통해 공통적인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상기 닥나무를 이용해 제조된 인피섬유(백피)의 섬유장, 섬유폭, 내강폭과 같은 해부학적 특징과 리그닌,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화학적 구성성분 함량을 분석하여 닥나무와 그 인피섬유의 원재료에 관한 해부학, 화학적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닥나무는 잎의 성상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또한 닥나무는 잎의 성상에 따라 진저(眞楮), 적저(赤楮), 요저(要楮), 흑저(黑楮) 등으로 구분하지만 국내 한지업계에서는 통상 참닥과 부닥으로 구분하고 있다고(Kim,2007) 보고되고 있으며, 현장에서는 이보다 더 다양한 명칭들로 불리어지고 있다. 또한 Hutchinson(1967)에 의하면 닥나무속은 열대, 아열대, 난대지방에서 자라는 낙엽성 관목으로 세계적으로 약 6종이 있다고 보고했다.
본 연구에서 닥나무 시료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알칼리 추출물과 알코올-벤젠 추출물 함량이 높으면 홀로셀룰로오스의함량이 낮은 경향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5개의 시료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였을 때 알칼리 추출물과 알코올-벤젠 추출물 함량이 높으면 홀로셀룰로오스의함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추출물들에 유지, 색소,수지, 정유 등과 저분자량의 carbohydrate가 함유되어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지만 이에 대한 추가적인 정량분석이 요구된다.
닥나무란 무엇인가? 국내에서 제조되는 한지는 비목재 섬유인 닥나무 인피섬유가 주원료로 사용된다.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는 쐐기풀목(Urticales)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이며(Lee, 2017), 목재는 나무(수종)에 따라 해부,물리 및 역학적 성질이 다르다(Kim and Kim, 2017). 또한동일한 수종의 닥나무라도 기후, 토질에 따라 섬유폭, 길이 등이 달라져 품질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T.H., 1999, New Korean traditional papermaking from Morus spp.(I)-Anatom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pulp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TAPPI, 31(3), 96-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T.H., Jo, N.S., Lee, S.H. and Oh, S.G., 2007,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bast fiber by location. Journal of Korea TAPPI, Apr, 298-303. (in Korean) 

  3. Dutt, D. and Tydgi, C.H., 2011, Comparison of various eucalyptus species for their morphological, chemical, pulp and paper making characteristics. Indian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18(2), 145-151. 

  4. Ekhuemelo, D.O. and Udo, A.M., 2016, Investigation of variations in the fibre characteristics of Moringa Oleifera (Lam) stem for pulp and paper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5(1). 

  5. Horn, R.A., 1978, Morphology of pulp fiber from hardwoods and influence on paper strength. 1-12. 

  6. Hutchinson, J., 1967, The genera of flowering plants. Oxford at the Clarendon Press, Lincoln, 1-516. 

  7. Kang, S.H. and Kim, D.Y., 2004, Characteristics of charcoal from major Korean wood species. 2004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Cheongju, October 22-23, 63-66. (in Korean) 

  8. Kim, H.C., 2007, Studies on the mechan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Hanji(Korean paper) yarn. Ph. 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M.J. and Kim, B.R., 2017,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Amur cork tree. Journal of Korea TAPPI, 49(2), 63-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M.Y., Kim, T.J. and Lee, S.T., 1992, A 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Broussonetia(Moraceae) by multivariate analys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2(4), 241-2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H.R., 1996, Paper Science. Gwangilmunhawsa, Seoul, 387-389. (in Korean) 

  12. Lee, Y.S.,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of broussonetia kazinoki for erosion control species.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 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Ogbonnaya, C.I., Roy-Macauley, H., Nwalozie, M.C. and Annerose, D.J.M., 1997, Physical and histochemical properties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grown under water deficit on a sandy soil. An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7(1), 9-18. 

  14. Oh, S.W. and Park, S.C., 2009, Properties of boards prepared from woody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7(3), 216-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Ilvessalo-Pfaffli, M-S., 1995, Fiber Atlas: Identification of papermaking fibers. Springer, Berlin, 299. 

  16. Sadiku, N.A., Oluyege, A.O. and Ajayi, B., 2016, Fibre dimension and chemical characterisation of naturally grown Bambusa vulgaris for pulp and paper production. Journal of Bamboo and Rattan, 15(1-4), 33-43. 

  17. Seth, R.S., 1990, Fibre quality factors in papermaking - II The importance of fibre coarseness, materials interactions felevant to the pulp. Paper and Wood Industries, 197, 1-143. 

  18. Yoon, B.H., 1998, Forest chemistry experiment book. Hyangmunsa, Seoul, 80-81. 

  19. Yun, K.W. and Kim, M.Y., 2009, Taxonomic study of Broussonetia (Mor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9(2), 80-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Zhu, J.Y., Tim Scott, C., Scallon, K.L and Myers, G.C., 2007, Effects of plantation density on wood density and anatomical properties of red pine (Pinus resinosa Ait.). Wood and fiber science, 39(3), 502-5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