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전압 전극 두께와 집진판 간격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미세먼지 집진효율 및 오존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collection efficiency and ozone emission rate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by thickness of high-voltage electrode and distance of collection plates 원문보기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v.14 no.4, 2018년, pp.171 - 180  

이재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복지연구단) ,  우상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복지연구단) ,  김종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복지연구단) ,  이승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복지연구단) ,  배귀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먼지사업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ptimize the shap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in subway environments, the wind-tunne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haracterize collection efficiency and ozone emission rate. As a standardized parameter, power consumption divided by the square of fl...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8a)은 집진판 간격이 5 cm인 1단 전기집진기에 방전극 두께가 1 mm로 동일한 6가지 방전극 형상을 실험하였으며, 그 중에서 톱날모양(saw-type) 방전극의 집진효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오존이 비교적 적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w-type 방전극을 가진 1단 전기집진기를 지하철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방전극 두께 증가 및 재료비 절감을 위한 집진판 간격 증가가 각각 집진효율과 오존 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018a)에 따르면 NaCl 입자와 지하철 금속성분 입자의 전기적 이동도는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도 NaCl 입자 집진효율 실험 결과를 지하철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입자의 농도는 aerodynamic particle sizer (APS 3321, TSI Inc, USA)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진판 간격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무엇이 있었는가? (2013)은 스파이크 모양(spike tips) 방전극의 배열, 간격과 집진효율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Kim et al. (1992)은 와이어 방전극선을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에서 2 µm보다 지름이 작은 입자의 경우 집진판 간격이 20 mm에서 16 mm, 12 mm로 좁아질수록 집진효율이 높아졌으나, 2 µm보다 큰 입자에서는 집진판 간격에 영향이 거의 없었다. Kim et al. (2010)은 1단 전기집진기 동일 전력조건에서 와이어형 에지 방전극과 끝부분이 M자 모양인 에지 방전극에 비하여 사각핀을 가진 사각 방전극의 집진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집진판의 간격이 30 cm인 경우에 비하여 20 cm 인 경우 집진효율이 약 5% 증가하였다. Suh et al. (2013)의 연구에서는 집진판 간격이 좁을수록 집진 효율은 증가하지만 너무 간격이 좁아지면 하전설비의 용량 증가로 스파크 현상이 발생하여 집진효울 이 감소한다고 하였다.
전기집진기란 무엇인가? 이러한 지하철 미세먼지 노출을 줄이기 위해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작은 유동저항과 높은 집진효율로 특징되는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s, ESP)이다 (Parker, 1997). 전기집진기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발생된 이온으로 입자를 하전시키고, 하전된 입자를 전기장 내 정전기력으로 집진판에서 제거하는 장치이다(White, 1956). 전기집진기의 집진효율은 고전압 방전극 형상, 인가전압, 유속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전기집진기의 집진효율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전기집진기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발생된 이온으로 입자를 하전시키고, 하전된 입자를 전기장 내 정전기력으로 집진판에서 제거하는 장치이다(White, 1956). 전기집진기의 집진효율은 고전압 방전극 형상, 인가전압, 유속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 고전압 방전극의 형상을 최적화하는 연구는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Crynack, 1991; Chamber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yeon, J. H., Hwang, J., Park, J. H., Yoon, K. Y., Ko, B. J., Kang, S. H., and Ji, J. H. (2006). Collection of submicron particles by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Journal of Aerosol Science, 37, 1618-1628. 

  2. Cardello, N., Volckens, J., Tolocka, M. P., Wiener, R., and Buckley, T. J. (2002). Technical Note: Performance of a person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particle sampler,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36, 162-165. 

  3. Chambers, M., Grieco, G. J., and Caine, J. C. (2001). Customized rigid discharge electrodes show superior performance in pulp and paper applications,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Birmingham, Alabama. 

  4. Crynack, R. (1991). Discharge electrodes for electrostatic preicpitations- A perspective, 9th ERPI Particulate Control Symposium, Williamsburg, Virginia. 

  5. Ehara, Y., Yagishita, D., Yamamoto, T., Zukeran, A., and Yasumoto, K. (2008).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electrode geometry and ozone concentration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670-673. 

  6. Forsyth, B., Liu, B. Y. H., and Romay, F. J. (1998). Particle charge distribution measurement for commonly generated laboratory aerosols,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28, 489-501. 

  7. Hinds, W. C. (1999). Aerosol technology: properties, behavior, and measurement of airborne particles, John Wiley and Sons, INC. 

  8. Jedrusik, M., and Swierczok, A. (2009). The influence of fly ash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process, Journal of Electrostatics, 67, 105-109. 

  9. Johansson, C., and Johansson, P. (2003). Particulate matter in the underground of Stockholm, Atmospheric Environment, 37, 3-9. 

  10. Kim, I. S., Lee, J. O., You, C. S., Kim, Y. J., Choi, H. O., Yun, S. J., and Kim, J. H. (1992).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ollection electrode of a two-stage electrostatic air cleaner,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60-64. 

  11. Kim, J. R., Weon, J. O., and Jang, C. M. (2009). Study on discharge electrode design applied for road tunnel,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1238-1243. 

  12. Kim, H., Han, B., Oh, W., Hwang, G., Kim, Y., and Hong, J. (2010).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dry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removal of particles from oxy fuel combustion, Transactions of the KSME B, 34(1), 27-34. 

  13. Koo, T. Y., Kim, Y. M., Hong, J. H., and Hwang, J. (2013). A study on collecting electrode design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ESP) of urban railway underground tunnels,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9(2), 79-87. 

  14. Mainelis, G., Willeke, K., Adhikari, A., Reponen, T., and Grinshpun, S. A. (2002). Design and collection efficiency of a new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bioaerosol collection,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36, 1073-1085. 

  15. Parker, K. (1997). Applied electrostatic precipitation, 1st Ed., London, Blackie Academic and Professional, 8-9, 52-82. 

  16. Pfeifer, G. D., Harrison, R. M., and Lynam, D. R. (1999). Personal exposures to airborne metals in London taxi drivers and office workers in 1995 and 1996,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35, 253-260. 

  17. Pinault, L. L., Weichenthal, S., Crouse, D. L., Brauer, M., Erickson, A., Donkelaar, A. V., Martin, R. V., Hystad, P., Chen, H., Fines, P., Brook, J. R., Tjepkema, M., and Burnett, R. T. (2017). Associations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and mortality in the 2001 Canadian Census Health and Environment Cohort, Environmental Research, 159, 406-415. 

  18. Podlinski, J., Berendt, A., and Mizeraczyk, J. (2013). Electrohydrodynamic secondary flow and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in spike-plate multi-electrod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20(5), 1481-1488. 

  19. Suh, J. M., Yi, P. I., Jung, M. S., Park, J. H., Lim, W. T., Park, C. J., and Choi, K. C. (2013). Predicted optimum efficiency due to changes in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small electrostatic precipitato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9), 1187-1197. 

  20. Viner, A. S., Lawless, P. A., Ensor, D. S., and Sparks, L. E. (1992). Ozone generation in DC-energized electrostatic precipitator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28(3), 504-512. 

  21. White, H. J. (1963). Industrial electrostatic precipitation, Addison-Wesley. 

  22. Woo, S. H., Lee, J. I., Kim, J. B., Lee, S. B., and Bae, G. N. (2018a).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efficiency and ozone emission by electrode shape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removing airborne particles in subway tunnels, Journal of Aerosol Science, under review. 

  23. Woo, S.-H., Kim, J. B., Bae, G.-N., Hwang, M. S., Thak, G. H., Yoon, H. H., and Yook, S.-J. (2018b). Investigation of diurnal pattern of generation and resuspension of particles induced by moving subway trains in an underground tunnel,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8, 2240-2252. 

  24. Yasumoto, K., Zukeran, A., Takagi, Y., Ehara, Y., Takahashi, T., and Yamamoto, T. (2010). Effect of electrode thickness for reducing ozone generation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in Japan, 93(7), 689-694. 

  25. Yehia, A., Abdel-Salam, M., and Mizuno, A. (2000). On assessment of ozone generation in DC coronas,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33(7), 831-835. 

  26. Yoo, K. H., Lee, J. S., and Oh, M. D. (1997). Charging and collection of submicron particles in two-stage parallel-plate electrostatic precipitators,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27, 308-323. 

  27. Zhang, Q. Jiang, X., Tong, D., Davis, S. J., Zhao, H., Geng, G., Feng, T., Zheng, B., Lu, Z., Streets, D. G., Ni, R., Brauer, M., van Donkelaar, A., Martin, R. V., Huo, H., Liu, Z., Pan, D., Kan, H., Yan, Y., Lin, J., He, K., and Guan, D. (2017). Transboundary health impacts of transported global air pollution and international trade, Nature, 543, 705-709. 

  28. Zaheer, J., Jeon, J., Lee, S.-B., and Kim, J. S. (2018).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on human health, prevention, and imaging using PET or SPECT, Progress in Medical Physics, 29(3), 81-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