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축 분 퇴비화과정의 온도에 따른 잡초종자 발아억제 효과
The Effect of Temperature of Compost on the Germination Inhibition of Weed Seeds during Livestock Manure Composting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8 no.4, 2018년, pp.325 - 330  

정광화 (국립축산과학원) ,  김기용 (국립축산과학원) ,  이동준 (국립축산과학원) ,  이동현 (국립축산과학원) ,  곽정훈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퇴비단 내에서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 억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염소 분 퇴비, 젖소 분 퇴비 그리고 한우 분 퇴비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를 거즈에 싸서 퇴비단 내에 묻어놓고 1.5일, 3일, 10일, 20일 경과 후 종자를 회수한 뒤 발아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율은 가축 분의 종류와 퇴비화 방법에 관계없이 퇴비단의 온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60{\sim}70^{\circ}C$인 조건의 퇴비단에서 1.5일 동안 머무른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는 발아력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반면에 퇴비단 최고 온도가 $51^{\circ}C$ 이하인 퇴비단에서는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가 퇴비단 내에서 20일간 머무른 후에도 10 % 정도의 발아력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가축 분 퇴비화단계에서 최소 $55^{\circ}C$ 이상의 온도를 3일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퇴비단 온도가 $60{\sim}70^{\circ}C$ 정도 상승한다면 약 1.5일 정도 체류하는 것으로도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퇴비화 방법을 기준으로 보면, 호기적 퇴비화 방법이 퇴비단의 온도상승기간이 더 짧았다. 따라서 호기적 퇴비화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을 억제하는데 더 효율적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composting temperature effects on germination of curled dock and barnyard millet seeds. After the seeds wrapped in gauze were buried in the compost heap, the seeds were taken out under monitering the temperature for measuring germination rate at 1.5, 3, 10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와 염소 등 풀사료를 먹는 반추가축이배출하는 분뇨의 퇴비화과정에서 잡초종자의 발아율 변화에 대한 국내의 연구결과가 많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소 분과 젖소 분의 퇴비화과정에서의 소리쟁이 종자의 발아율 변화를 분석하였고, 한우 분의 퇴비화과정에서의 소리쟁이와 피 종자의 발아율 변화 정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율의 온도와의 상관관계는? 실험 결과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율은 가축 분의 종류와 퇴비화 방법에 관계없이 퇴비단의 온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60∼70°C인 조건의 퇴비단에서 1.5일 동안 머무른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는 발아력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반면에 퇴비단 최고 온도가 51°C 이하인 퇴비단에서는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가 퇴비단 내에서 20일간 머무른 후에도 10 % 정도의 발아력을 유지하였다.
가축분뇨가 지니는 가치? 가축분뇨는 질소, 인산, 칼리와 같은 주요 비료성분 뿐만 아니라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미량요소까지 함유하고 있어서 유용한 비료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Lee et al., 2012).
젖소나 한우 또는 염소 등과 같은 축종 축사에서 배출되는 분뇨가 퇴비화하기에 적합한 이유? 양돈분뇨는 세정수와 분과 뇨 등이 혼합되어 수분함량이 95% 이상인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액비로 만들어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반면에 젖소나 한우 또는 염소 등과 같은 축종은 축사 바닥에 톱밥 등과 같은 흡습성 재질로 된 깔짚을 깔고 사육하기 때문에, 축사에서 배출되는 분뇨를 퇴비화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현재 소나 염소의 분뇨는 거의 전량이 퇴비화 과정을 거친 후에 경작지로 환원되어서 비료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10.1614/WS-04-178.1 Dahlquist, R.M. , Prather, T.S. and Stapleton, J.J. 2007. Time and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weed seed thermal death . Weed Science.55:619-625. 

  2. 10.1080/1065657X.2000.10701749 Eghball, B. and Lesoing, G.W. 2000. Viability of weed seeds following manure windrow composting . Compost Science & Utilization.8:46-53. 

  3. 10.1017/S0043174500056794 Egley, G.H. 1990. High-temperature effects on germination and survival of weed seeds in soil . Weed Science.38:429-435. 

  4. 10.1080/1065657X.1998.10701928 Grundy, A.C. , Green, J.M. and Lennartsson, M. 2013.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viability of weed seeds in compost . Compost Science & Utilization.6:26-33. 

  5. 10.2134/jeq2003.1105 Larney, F.J. and Blackshaw, R.E. 2003. Weed seed viability in composted beef cattle feedlot manure . Journal of EnvironmentalQuality.32:1105-1113. 

  6. Lee, D.B. , Kang, H.W. , Lee, K.B. , Kim, K.H. , Yoo, Y.H. , Kang, S.S. , Kong, M.S. , Choi, D.Y. , Jeong, K.H. , Yoon, H.B. , So, K.H. , Kwon, S.I. , Lee, Y.J. , Lee, S.B. , Jeon, W.T. , Kim, K.H. , Park, J.M. , Lim, T.J. , Choi, K.J. , Lee, S.H. and Choi, I.K. 2012. Quality control and utilization of liquid waist cost of livestock manure. RDA. pp.10-13. 

  7.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CF. 2009. Explanation of standard design plan for livestock manure recycling facility. 

  8.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and Fisheries. 2018. Livestock manure output data.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ebsite. Agricultural technology. Farming application information. On-site technical support. 

  10. Shiralipour, A. and McconnellD.B. 1991. Effects of compost heat and phytotoxins on germination of certain Florida weed seeds . Soil and Crop Science Society of Florida Proceedings.50:154-157. 

  11. 10.1111/j.1744-7348.1997.tb05788.x Thompson, A.J. , Jones, N.E. and BlairA.M. 1997.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viability of imbibed weed seeds . Annals of AppliedBiology.130:123-1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