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안환경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알의 DDTs 및 수은 농도분포 조사
Distribution of DDTs and Hg in Eggs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in the Coastal Environment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7 no.12, 2018년, pp.1279 - 1290  

최정희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  정다위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  이종천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 gulls are high trophic level consumers in the coastal environment, and thu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to monitor contamination biomagnified through a food web. However, such monitoring studies using sea gulls have been rare in the Korean literature.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01% L-cysteine 용액은 L-cysteine 적당량을 0.05 N 질산수용액으로 용해하여 제조하였고, 총수은 표준원 액(1,005 mg/L)을 0.01% L-cysteine 용액으로 희석하여 총수은 표준용액(10, 50, 100 μg/L)을 만들었다.
  • DDTs 표준원액은 모두 acetone으로 희석하였고 GC-MS로 분석하여 농도 40, 80, 120, 200, 300, 500 μg/kg에서 검정곡선을 구하였다.
  • 오븐의 온도는 100℃에서 1 min 간 유지 하였고 20℃/min으로 승온하였으며 280℃에서 2 min 동안 유지하였다. 모든 화합물은 70 eV의 Electron Impact (EI) mode에서 이온화하였고 Selected Ion Monitoring (SIM) mode에서 분석하였다. DDTs의 정량용 이온과 확인용 이온은 Table 2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괭이갈매기 알을 채취하였고 QuEChERS 추출법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DDTs 분석, 자동수은분석기를 이용한 총수은 분석을 실시하여 지역 간 농도를 비교하였다.
  • 4 L/min이었다. 시료 연소를 위하여 고순도 산소를 사용하였고, 각 지 역마다 10개의 알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시료 10개마다 인증 표준물질을 분석하여 기기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 01% L-cysteine 용액으로 희석하여 총수은 표준용액(10, 50, 100 μg/L)을 만들었다. 이들 표준용액을 수은분석용 boat에 적당량 취하여 검량곡선 농도 1, 2, 5, 10, 50, 100 ng이 되도록 하였고 알 시료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검출된 총수은의 흡광 면적을 이용하여 검정곡선을 구하였다. DDTs 표준원액은 모두 acetone으로 희석하였고 GC-MS로 분석하여 농도 40, 80, 120, 200, 300, 500 μg/kg에서 검정곡선을 구하였다.
  • (2017a) 또한 백령도 괭이갈매기 두 번째 알의 수은 농도가 첫 번째 알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 지역별 수은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순서의 알을 채취하여 수은 농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란 순서에 의한 수은 농도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임의의 알을 취하여 분석하였다. 채취한 모든 지역의 알이 동일한 산란 순서의 알이 아니기 때문에 지역 간 수은 농도의 차이가 각 지역의 오염수준을 반영한다고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 , 2013; 2016) 배발생 초기의 알을 산란 순서에 관계없이 무작위로 2016년 4~5월에 걸쳐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냉장보관하여 실험 실로 옮기고 생체특성치(장경, length; 단경, width; 중 량, weight)를 측정하였다. Lee et al.
  • 채취한 알은 생체특성치를 조사하고 전란액을 분리하여 초저온 상태에서 균질화•저장한 후 QuEChERS 추출법과 GC-MS를 이용한 DDTs 분석, 자동수은분석기를 이용한 총수은 분석에 사 용하였다.
  • 괭이갈매기 알의 총수은을 분석하기 위해 가열기화 골드아말감법과 원자흡광분광 검출기로 구성된 자동 수은분석기(MA-3000 Mercury analyzer, Nippon Instruments Corporation, Tokyo, Japan)를 사용하였다. 초저온에서 균질화하고 저장한 괭이갈매기 알 시료 0.04 g을 boat에 담아 auto sampler에 넣고 furnace에서 연소시켜 총수은을 측정하였다. 1차 decomposition 조건은 180℃에서 120 s 동안 가열, slope 시간 120 s, 유 량 0.
  • (2012; 2017b)의 선행 연구와 같이 전란액(全卵液)을 분리하고 액체질소 (기화점 : -196℃) 탱크에 보관하여 초저온 냉각(< -150℃)시켰으며, 액체질소에 의해 냉각된 텅스텐 카바이드 사발과 막자를 이용하여 파쇄하였다. 파쇄된 괭이 갈매기 알은 액체질소에 의해 냉각된 지르코늄 사발에 옮기고 볼밀(Fritsch Planetary Mill)을 이용하여 균질화 하였으며, 수시로 사발과 볼을 냉각하여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았다. 냉각 상태에서 균질화된 괭이갈매기 알은 액체질소에 의해 -150℃ 이하로 유지되는 탱크에 초저온 보관하였다

대상 데이터

  • (Darmstadt, Germany)에서 구입하였고, L-cysteine은 Junsei (≥ 98%, Tokyo, Japan)에서 구매하였다.
  • Acetone으로 재용해하여 최종 1 mL가 되도록 하였고 GC/MS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각 지역마다 10개의 알을 추출하였다.
  • DDTs 6종(p,p # DDT, o,p # DDT, p,p # DDD, o,p # DDD, p,p # DDE, o,p # DDE, 각각 100 mg/L)은 AccuStandard Inc. (Connecticut, USA)에서 구매하였다.
  • 괭이갈매기 알을 채취하기 위한 지점으로서, 괭이갈매기의 대표 집단 산란지인 백령도(서해)와 홍도(남해), 울릉도(동해)를 선정하였다(Table 1). 시료 채취는 표준 운영절차에 준하여(Lee et al.
  • 괭이갈매기 알의 DDTs를 분석하기 위하여 Gas Chromatograph Claus 680과 Mass Spectrometer Clarus SQ 8 T (PerkinElmer, Massachusetts, USA)를 이용하였다. 화합물의 분리를 위하여 DB-5MS (30 m×0.
  • 또한, 비교적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다른 해양 조류에 비해 알을 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따라서 NESB는 육상기원 오염 물질에 의한 연안 생태계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료종으로서 괭이갈매기 알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괭이갈매기 알을 채취하였고 QuEChERS 추출법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DDTs 분석, 자동수은분석기를 이용한 총수은 분석을 실시하여 지역 간 농도를 비교하였다.
  • 수은의 표준원액(1,005 mg/L)은 Kanto Chemicals (Tokyo, Japan), 인증 표준물질(NIST 2976, mussel tissue)은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Maryland, USA)에서 구입하였다. DDTs 6종(p,p # DDT, o,p # DDT, p,p # DDD, o,p # DDD, p,p # DDE, o,p # DDE, 각각 100 mg/L)은 AccuStandard Inc.
  • 괭이갈매기 알을 채취하기 위한 지점으로서, 괭이갈매기의 대표 집단 산란지인 백령도(서해)와 홍도(남해), 울릉도(동해)를 선정하였다(Table 1). 시료 채취는 표준 운영절차에 준하여(Lee et al., 2013; 2016) 배발생 초기의 알을 산란 순서에 관계없이 무작위로 2016년 4~5월에 걸쳐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냉장보관하여 실험 실로 옮기고 생체특성치(장경, length; 단경, width; 중 량, weight)를 측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괭이갈매기의 산란기인 4월-5월(2016년), 백령도, 홍도, 울릉도에서 채취한 알의 생체특성치를 측정하여 Fig. 1에 나타내었고, 측정결과의 지역별 비교는 일원배 치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Tukey HSD 다중비교법으로 수행하였다. 장경은 백령도가 평균 63.
  • 자동수은분석기를 이용하여 괭이갈매기 알의 총수은 농도를 분석하였고, 지역 간 비교는 정규성 조건을 만족 하지 못하여 비모수분산분석(Kruskal-Wallis)을 실시하 였으며 다중비교는 원자료를 순위변환한 후 Tukey HSD로 실시하였다. 세 지역에서 채취한 알의 총수은 농도 (Fig.

이론/모형

  • QuEChERS 방법을 이용하여 괭이갈매기 알의 DDTs 농도를 분석하였고, 지역 간 비교는 총수은 분석 결과 비교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세 지역에서 채취한 알의 DDTs를 분석한 결과 DDT의 대사체인 p,p # DDE만 검출되었다.
  • 괭이갈매기 알의 총수은을 분석하기 위해 가열기화 골드아말감법과 원자흡광분광 검출기로 구성된 자동 수은분석기(MA-3000 Mercury analyzer, Nippon Instruments Corporation, Tokyo, Japan)를 사용하였다. 초저온에서 균질화하고 저장한 괭이갈매기 알 시료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DTs는 무엇인가? POPs 또한 높은 잔류성과 독성, 생물농축성으로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Bazzi, 2014). POPs의 대표적 오염물질인 DDTs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s)는 유기 염소계 농약 중 하나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소수 성이며, 독성이 강하고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 다(Rios et al., 2007).
육상기원 오염 물질에 의한 연안 생태계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료종으로 괭이갈매기 알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안환경의 오염물질 모니터링을 위한 바닷새 중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는 우리나라 충청남도 태안군, 경상남도 통영시, 경상북도 울릉군, 경기도 옹진군, 전라남도 영광군 등 서해에서 동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고, 암초와 초지, 관목 생육지 등에서 집단으로 번식한다(Jeong, 2017). 또한, 비교적 우리 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다른 해양 조류에 비해 알을 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따라서 NESB는 육상기원 오염 물질에 의한 연안 생태계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료종으로서 괭이갈매기 알을 선정하였다.
동해안의 DDTs 농도가 일본 Pacific Ocean Coast보다 높게 검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pacificus)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동해 안의 ΣDDTs 농도는 320~1,300 μg/kg lipid로써 Sagami Bay를 제외한 일본 Pacific Ocean Coast의 농 도범위(54-120 μg/kg lipid)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동해안이 일본 Pacific Ocean Coast보다 높게 검출되는 이유 또한 러시아와 중국이 80년대 초 DDT 사용을 금지 하였으나 여전히 농업과 공중보건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1940년대~1990년대 Soviet Union은 영국과 일본, 이탈리아보다 매우 많은 technical polychlorinated biphenyl (PCB)를 생산하였 고, PCB 분포조사에서도 DDTs와 유사하게 동해의 오 징어에서 높게 검출되는 것은 러시아와 일본으로부터 PCB의 끊임없는 유입을 반영할지도 모른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ckerman, J. T., Eagles-Smith, C. A., Herzog, M. P., Yee, J. L., Hartman, C. A., 2016, Egg-laying sequence influences egg mercury concentrations and egg size in three bird species: Implications for contaminant monitoring programs, Environ. Toxicol., 35(6), 1458-1469. 

  2. Association of Analytical Communities International, 2007, AOAC Official Method 2007.01., Pesticide residues in foods by acetonitrile extraction and partitioning with magnesium sulfat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first action 2007. 

  3. Batrakova, N., Travnikov, O., Rozovskaya, O., 2014, Chemical and physical transformations of mercury in the ocean: a review, Ocean Sci., 10, 1047-1063. 

  4. Bazzi, A. O., 2014, Heavy metals in seawater, sediments and marine organisms in the Gulf of Chabahar, Oman Sea, J. Oceanogr. Mar. Sci., 5(3), 20-29. 

  5. Bruzzoniti, M. C., Checchini, L., de Carlo, R. M., Orlandini, S., Rivoira, L., del Bubba, M., 2014, QuEChERS sample prepar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esticides and other organic residues in environmental matrices: a critical review, Anal. Bioanal. Chem., 406, 4089-4116. 

  6. Burger, J., Gochfeld, M., Jeitner, C., Burke, S., Volz, C. D., Snigaroff, R., Snigaroff, D., Shukla, T., Shukla, S., 2009, Mercury and other metals in eggs and feathers of glaucous-winged gulls (Larus glaucescens) in the Aleutian, Environ. Monit. Assess., 152, 179-194. 

  7. Chamkasem, N., Lee, S., Harmon, T., 2016, Analysis of 19 PCB congeners in catfish tissue using a modified QuEChERS method with GC-MS/MS, Food Chem., 192, 900-906. 

  8. Cheng, J., Gao, L., Zhao, W., Liu, X., Sakamoto, M., Wang, W., 2009, Mercury levels in fisherman and their household members in Zhoushan, China: Impact of Public health, Sci. Total Environ., 407, 2625-2630. 

  9. Choi, J. W., Matsuda, M., Kawano, M., Wakimoto, T., Iseki, N., Masunaga, S., Hayama, S. I., Watanuki, Y., 2001, Chlor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from Hokkaido, Japan, Chemosphere, 44, 1375-1382. 

  10. Choi, J. Y., Kim, K. R., 2014, Feasibility of remediation of marine sediments contaminated with PCBs based on washing technology using oxidizers and surfactants,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5, 2504-2509. 

  11. Choi, M., Yun, S., Park, H. J., Lee, J. Y., Lee, I. S., Hwang, D. W., Yoon, M. C., Choi, W. S., 2017, Concentrations and risk assessment of total mercury and methyl mercury in commercial marine fisheries from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0(6), 675-683. 

  12. Choi, S. D., Chang, Y. S., 2008, Estimation of Long-term Trend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in Multimedia Environments of South Korea, J. Korean Soc. Environ. Anal., 11(2), 144-154. 

  13. Cloutier, P. L., Fortin, F., Groleau, P. E., Brousseau, P., Fournier, M., Desrosiers, M., 2017, QuEChERS extraction for multi-residue analysis of PCBs, PAHs, PBDEs and PCDD/Fs in biological samples, Talanta, 165, 332-338. 

  14. Commission Regulation (EU) 2017/644, 2017, Laying down methods of sampling and analysis for the control of levels of dioxins, dioxin-like PCBs and non-dioxin -like PCBs in certain foodstuffs and repealing Regulation (EU) No 589/2014,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6.4.20174. 

  15. Elliott, J. E., Noble, D. G., Norstrom, R. J., 1989, Organochlorine contaminants in seabird eggs from the Pacific coast of Canada, 1971-1986, Environ. Monit. Assess., 12, 67-82. 

  16.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2006, CEN 1948, Stationary source emissions-Determination of the mass concentration of PCDDs/PCDFs and dioxin-like PCBs. 

  17.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2008, CEN EN 15662, Foods of plant origin-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using GC-MS and/or LC-MS/MS following acetonitrile extraction/partitioning and clean-up by dispersive SPE-QuEChERS-method. 

  18. Focardi, S., Fossi, C., Lambertini, M., Leonzio, C., Massi, A., 1988, Long term monitoring of pollutants in eggs of Yellow-legged Herring Gull from Capraia island(Tuscan Archipelago), Environm. Monit. Assess., 10, 43-50. 

  19. Furness, R. W., Camphuysen, C. J., 1997, Seabirds as monitors of the marine environment, ICES J. Mar. Sci., 54, 726-737. 

  20. Gangwon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10, Heavy metal monitoring on aquatic products from the East-coast in Gangwon Province, Final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1. Grimalt, S., Dehouck, P., 2016, Review of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grapes, J. chromatogr. A, 1433, 1-23. 

  22. Hong, S. H., Yim, U. H., Shim, W. J., Li, D. H., Oh, J. R., 2006, Nationwide monitoring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ediments from coastal environment of Korea, Chemosphere, 64, 1479-1488. 

  23.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2005, JIS 0311,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etra-through octachlorodibenzo-p-dioxins, tetra-through octachloro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stationary source emissions. 

  24.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2005, JIS 0312,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etra-through octachlorodibenzo-p-dioxins, tetra-through octachloro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industrial water and waste water. 

  25. Jeong, N. C., 2017, Glorious story told by the sea breeze-on Taeahn. Taean County Office. 

  26. Jimenez-castro, C., Mellink, E., Villaescusa-Celaya, J., 1995, DDT and its metabolites in Western gull eggs from Southern California and Northwestern Baja California, Bull. Environ. Contam. Toxicol., 55, 374-381. 

  27. Kim, C. K., Lee, T. W., Lee, K. T., Lee, J. H., Lee, C. B., 2012, Nationwide monitoring of mercury in wild and farmed fish from fresh and coastal waters of Korea, Chemosphere, 89, 1360-1368. 

  28. Kim, S. K., Oh, J. R., Shim, W. J., Lee, D. H., Yim, U. H., Hong, S. H., Shin, Y. B., Lee, D. S., 2002,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features of organochlorine residues in bivalves from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Mar. Poll. Bull., 45, 268-279. 

  29. Kojadinovic, J., Le Corre, M., Cosson, R. P., Bustamante, P., 2007, Trace element in three marine birds on Reunion island (Western Indian Ocean): Part1-Factors influencing their bioaccumulation, Arch. Environ. Contam. Toxicol., 52, 418-430. 

  30.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2, The story about ecology of sea gulls and climate change on Hong-do in Hallyeohaesang National Marine Park. 

  31. Koster, M. D., Ryckman, D. P., Weseloh, D. V. C., Struger, J., 1996, Mercury levels in great lakes herring gull (Laus argentatus) eggs, 1972-1992, Environ. Pollut., 93(3), 261-270. 

  32. Leat, E. H. K., Bourgeon, S., Borga, K., Strom, H., Hanssen, S. A., Gabrielsen, G. W., Petersen, AE., Olafsdottir, K., Magnusdottir, E., Fisk, A. T., Ellis, S., Bustnes, J. O., Furness, R. W., 2011, Effects of environmental exposure and diet on level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in eggs of a top predator in the North Atlantic in 1980 and 2008, Environ. Pollut., 159, 1222-1228. 

  33. Lee, J., Lee, J., Kim, M., Han, A., Lee, E., Bade, R., Kim, M., 2012, Sampling and cryogenic pulverization and storage of environmental samples and improvement of operating procedures in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J. Environ. Impact Assess., 21(6), 823-839. 

  34. Lee, J., Lee, J., Lee, S. H., Kim, M., Han, A., Lee, E., 2013, Sampling procedure of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s eggs in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for monitoring long-term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J. Environ. Impact Assess., 22(6), 745-751. 

  35. Lee, J., Lee, J., Jang, H., Park, J. H., Kim, M., 2016,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representative specimen: Coastal ecosystem,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6. Lee, J., Lee, J., Jang, H., Park, J. H., Choi, J. H., Lee, S. Y., Shim, K., 2017a, Mercury concentrations of black-tailed gull eggs depending on the egg-laying order for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J. Environ. Impact Assess., 26(6), 538-552. 

  37. Lee, J., Lee, J., Jang, H., Park, J. H., Shim, K., 2017b, Preliminary study of DDTs variability depending on the egg-laying order of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breeding at Baengnyeongdo, South Korea, Kor. J. Orni., 24(2), 41-51. 

  38. Lee, J. H., Jeong, S. M., Choi, S. S., Kim, N. W., Song, N. S., Seong, S. Y., 2018, Analysis of test results on heavy metals in marine products, in; Kang, H. K., Kim, J. W., Kim, H. J., Kim, H. L., Park, J. J., Song, N. S., Ahn, M. H., Yoon, S. J., Jeong, K. H., Hong, H. M., (eds.), The report of Chungnam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vol. 28, Chungnam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104-105. 

  39. Liu, J., Cao, L., Huang, W., Dou, S., 2013, Species- and tissue-specific mercury bioaccumulation in five fish species from Laizhou Bay in the Bohai Sea of China, Chinese J. Oceanol. Limnol., 31(3), 504-513. 

  40. Liu, J., Xu, X., Yu, S., Cheng, H., Hong, Y., Feng, X., 2014, Mercury pollution in fish from South China Sea: Levels, species-specific accumulation, and possible sources, Environ. Res., 131, 160-164. 

  41. Mallory, M. L., Braune, B. M., 2012, Tracking contaminants in seabirds of Arctic Canada: Temporal and spatial insights, Mar. Poll. Bull., 64, 1475-1484. 

  4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7, The fair examination standard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No. 2017-23. 

  43. NeoEnbiz, 2008, Bioaccumulation-based mercury monitoring of fish and shellfish, 2nd final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44. Peck, L. E., Gilchrist, H. G., Mallory, C. D., Braune, B. M., Mallory, M. L., 2016,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and mercury concentrations in eggs of ground-nesting marine birds in the Canadian high Arctic, Sci. Total Environ., 556, 80-88. 

  45. Qiu, X., Zhu, T., Yao, B., Hu, J., Hu, A., 2005, Contribution of dicofol to the current DDT pollution in China, Environ. Sci. Technol., 39, 4385-4390. 

  46. Rios, L. M., Moore, C., Jones, P. R., 2007,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carried by synthetic polymers in the ocean environment, Mar. Poll. Bull., 54, 1230-1237. 

  47. Rudel, H., Fliedner, A., Kosters, J., 2010, Twenty years of elemental analysis of marine biota within the German Environmental Specimen Bank a thorough look at the data, Environ. Sci. Pollut. Res., 17, 1025-1034. 

  48. Shi, J. W., Zhao, Y. G., Fu, Z. J., Li, J. G., Wang, Y. F., Yang, T. C., 2012, Development of a screening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fo PCBs in water using QuEChERS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Anal. Sci., 28, 167-173. 

  49. Stubbings, G., Bigwood, T., 200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class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veterinary drug residues in animal tissue using a QuEChERS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approach, Anal. Chim. Acta., 637, 68-78. 

  50. Takahashi, S., Oshihoi, T., Ramu, K., Isobe, T., Ohmori, K., Kubodera, T., Tanabe, S., 2010, Organohalogen compounds in deep-sea fishes from the western North Pacific off-Tohoku, Japan: Contamination status and bioaccumulation profiles, Mar. Poll. Bull., 60, 187-196. 

  51. Ueno, D., Inoue, S., Ikeda, K., Tanaka, H., Yamada, H., Tanabe, S., 2003, Specific accumul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Japanese common squid as a bioindicator, Environ. Pollut., 125, 227-235. 

  52.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4, EPA Method 1613 Revision B, Tetra-through octachlorinated dioxins and furans by isotope dilution HRGC/HRMS. 

  53.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6, EPA Method 0023A, Sampling method for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 emissions from stationary sources. 

  54.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6, EPA Method 1653, Chlorinated phenolics in wastewater by in situ acetylation and GCMS. 

  55.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 EPA Method 8082A,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by gas chromatography. 

  56.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 EPA Method 8280B,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by high-resolution gas chromatography/low-resolution mass spectrometry (HRGC/LRMS). 

  57.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 EPA Method 8290A,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by high-resolution gas chromatography/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HRGC/HRMS). 

  58.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 EPA Method 1668B, Chlorinated biphenyl congeners in water, soil, sediment, biosolids, and tissue by HRGC/HRMS. 

  59. Vander Pol, S. S., Becker, P. R., Kucklick, J. R., Pugh, R. S., Roseneau, D. G., Simac, K. S., 2004,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Alaskan murre (Uria spp.) eggs: Geographical, species, and temporal comparisons, Environ. Sci. Technol., 38, 1305-1312. 

  60. Won, J. H., Hong, S. H., Shim, W. J., Yim, U. H., Kim, G. B., 2009, Persistent organochlorine pollutants in Korean offshore water: Squid (Todarodes pacificus) as a biomonitor, Mar. Poll. Bull., 58, 1229-1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