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NSS관측 공공측량 정확도 분석 및 업무프로세스 제안
Accuracy Analysis of GNSS-based Public Surveying and Proposal for Work Processe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6 no.6, 2018년, pp.457 - 467  

배태석 (Dept. Geoinformation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측량/통합기준점측량 작업규정은 기존 트래버스 측량 작업규정을 준용하고 있으며, GNSS관측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아서 현장 작업과 자료처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GNSS관측 자료처리 절차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고, 정확도 검증방법 역시 일반적인 기준과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규정을 분석하고 적절한 업무프로세스를 제안하기 위해 공공기준점 측량과 유사한 시나라오를 바탕으로 짧은 세션(30분) 데이터를 처리했다. 서울특별시 네트워크 RTK (Real Time Kinematic) 기준점에 대해서 3일간 동일한 시간대 결과를 비교했으며, 하루 중 시간에 따른 결과를 비교해서 전반적인 자료처리 정확도를 평가했다. 대류권 지연오차 추정여부에 따른 정확도 차이를 동시에 분석했으며, 추정결과는 24시간 정지측량 결과와 비교했다. 대류층 지연오차를 추정하는 것이 정확도와 좌표안정성 향상에 유리하며, 평균제곱근오차는 대략 평면 5mm, 수직 1cm 수준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기준점을 포함한 동시관측 일간해를 추정하고, 이를 통합하여 최소제약조건을 통해 최종해를 결정하는 업무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술용 자료처리시스템을 이용한 자료처리자동화시스템이 구축되어야하며, GNSS자료처리를 위해 통합기준점과 공공기준점 코드를 표준화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regulation and rules for public surveying and the UCPs (Unified Control Points) adapts those of the triangulated traverse surveying. In addition, such regulations do not take account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urveying, thus there are d...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가장 보편적인 작업 형태이며 보유한 수신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통합기준점에 수신기를 번갈아 설치하는 시나리오는 자료처리 결과의 반복재현성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 본 연구는 GNSS관측 기반 공공측량 또는 통합기준점측량 작업규정과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실제 데이터 처리결과를 통한 정확도 분석으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제안했다. 현재의 “공공측량 작업규정”과 “통합기준점측량 작업규정”은 GNSS관측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 트래버스 측량 규정을 준용함으로써 이론과 실제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 본 연구는 GNSS관측에 의한 공공측량 또는 통합기준점 측량자료를 처리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최적화된 현업 업무절차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10km 내외 기선형성이 가능한 기준점을 선정하였으며, 대류층 지연오차 추정과 좌표계 구현을 위해 위성기준점을 추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 절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프로세스를 정의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했다. Case 1과 동일한 데이터로 3일간 일간해를 계산하고 정규방정식을 저장했다.
  • 본 연구에서는 현업에서 수행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점검하고, 학술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자료처리와 정확도 분석, 이를 통해 현장업무와 자료처리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다만, 본 연구는 공공측량 작업규정 중 GNSS관측 관련 내용에 한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측량계획과 데이터 품질검증, 그리고 자료처리 전략과 정확도 분석을 위한 전반적인 업무프로세스에 대해서 제안한다.

가설 설정

  • 상시관측소 SWUN은 현장측량 종료 후 국토지리정보원(NGII, 2018)에서 다운로드하거나, NTRIP (Network Transport of RTCM via Internet Protocol)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저장(GNSSDC, 2018)할 수 있다. 총 4대의 수신기 중 2대를 관측지역 내 통합기준점에 번갈아 설치하고, 나머지 2대는 공공삼각점에 설치한 경우를 가정했다. 만일 사용가능한 수신기가 4대 이상이면 공공삼각점을 추가적으로 동시 관측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측량성과의 검수방법은? 공공측량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위탁한 공간정보산업협회에서 검수하고 있다(“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 105조). 검수방법은 동일한 데이터에 대해서 담당자가 자료처리를 수행한 후, 평면 좌표 일치여부를 비교한다. 기선거리 10km 이하에서 평면좌표 각 성분이 10cm 이내로 일치하는 경우 정확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KASM, 2018).
공공측량 작업규정은 어떻게 되어있는가? 공공측량 작업규정은 1) 단일기선을 전제로 기선해석을 규정하고 있으며, 2) 기지점 성과를 고정하여 관측점에 대한 좌표를 계산한 후, 계산된 관측점 좌표를 이용하여 다른 관측점을 계산하는 기선해석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세스는 첫 기지점 오차가 모든 관측점에 영향을 미치거나, 계속적으로 오차가 누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GNSS관측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공공측량 작업규정 중 GNSS관측은 공공기준점측량(공공삼각점측량, RTK-GNSS 공공삼각점측량), 지형측량(RTKGNSS 세부측량), 네트워크RTK측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정지측위법 또는 신속정지측위법에의한 공공삼각점측량을 대상으로 한다. 공공측량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위탁한 공간정보산업협회에서 검수하고 있다(“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 105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