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완부의 골도분촌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ne Proportional Measurement of the Forearm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35 no.4, 2018년, pp.226 - 233  

민원홍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양제윤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양기영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임상의학부) ,  채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이병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임상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ccurate and effective method of locating acupoints of the forearm by studying bone proportional measurement. Methods : A total of 60 volunteers, 30 men and 30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7 parts of the body were measured by a soft 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WHO의 기준을 무조건 따르기 보다는 실측을 통해서 전완부의 정확한 골도분촌을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성인남녀 각 30명씩 총 60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포함한 신체 부위를 실측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현대 성인남녀에게 가장 적합한 전완부의 골도분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鍼이란 무엇인가? 鍼은 한의학의 주요한 치료 수단으로서 경혈의 자극을 통하여 인체에 작용하여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침을 통하여 목표하는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우선 경혈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야 하는데, 경혈의 위치를 찾는 방법, 즉 取穴法은 『황제내경』1), 『침구갑을경』2), 『침구자생경』3), 『동의보감』4) 등 각종 침구 관련 서적에 수록되어 왔다.
取穴法은 어디에 수록되어 왔나? 鍼은 한의학의 주요한 치료 수단으로서 경혈의 자극을 통하여 인체에 작용하여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침을 통하여 목표하는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우선 경혈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야 하는데, 경혈의 위치를 찾는 방법, 즉 取穴法은 『황제내경』1), 『침구갑을경』2), 『침구자생경』3), 『동의보감』4) 등 각종 침구 관련 서적에 수록되어 왔다. 취혈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體表標識法, 骨度分寸法, 指寸法이 사용되고 있다.
WHO에서는 체표표지법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나? 체표표지법은 체표에 드러나는 해부학적인 표지를 근거로 하므로 취혈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WHO에서도 골도분촌법에 의한 방법보다 체표표지로서 설명하는 것이 더욱 명확함을 언급하고 있다5). 그러나 체표표지법은 인체의 모든 경혈에 그에 해당하는 뚜렷한 해부학적 표지가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의 취혈에는 골도분촌법 또는 지촌법이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u JS, Roh S, Lee TH, Jeong HY, and Keum KS. A study on the Goldo of the Young Chu. Journal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2006;19:305-13. 

  2. Huang FM. Zhenjiu Jiayijing. Beijing: People's Military Medical Press; 2005 p. 80. 

  3. Wang ZZ. Zhen jiu zi sheng jing.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7 p. 98. 

  4. Heo J. Donguibogam. Seoul: Shinwoo Culture Corporation; 2008 p. 563. 

  5. Koo ST, Kim YS, Yim YK, Choi SM, and Kang SK. Understanding of the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0;27:1-11. 

  6. WHO 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Seoul: Elsevier Korea; 2009 p. 14. 

  7. Park HJ, Chae YB, Cha WS, Park JB, Lee HJ, and Lee HS et al. Comparative study between proportional method and directional method in locating acupoints at forearm.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04;21:31-41. 

  8. Sung BS, Kwon OS, Jeon IS, Kim JH, Ahn SH, and Sohn IC. Survey on setting new standards for estimation of acupoints in the upper limb of normal adults.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08;25:1-14. 

  9. Lee BH, An TEB, Lim MA, Jeong JG, Cho JY, and Hwang MH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cation of acupoints by bone proportional cun and body cun.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10;16:125-130. 

  10. Park, Hi-Joon, Chae, Younbyoung, Song, Mi-Yeon, Choe, Il-Hwan, Park, Jongbae, Lee, Hyejung, Lim, Sabina. A Comparison Between Directional and Proportional Methods in Locating Acupuncture Points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Korean Women.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vol.34, no.5, 749-757.

  11. Meridians & Acupoints Complication Committee of Korean Oriental Medical Colleges. Principles of Meridians & Acupoints. Daejeon: JongRyeoNaMu Publishing Co; 2015 p. 286. 

  12. Lim JK. New therapeutic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eoul: Jimoondang; 2001 p. 240-243. 

  13. Choi YT, and Lee SH.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eoul: Hanglim; 1974 p. 895. 

  14. Kim YJ. Easy to understand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eoul: Openbooks; 2000 p. 175. 

  15. Lee SY. The Acupoint. Seoul: Gisangsa; 2007 p. 88. 

  16. Kim HJ. The latest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eoul: Seongbosa; 2000 p. 145. 

  17. Lee, Je Hoon, Kim, Deog Im, Kwak, Dai Soon, Lee, U Young, Kim, Yi Suk, Park, Dae Kyoon, Han, Ki Hwan, Han, Seung Ho. Estimation of Maximum Femoral Length from Fragmentary Femur. 대한체질인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vol.18, no.4, 247-.

  18. Kim YS, Kang SK, Park HJ, and Lee HJ. Report on the 2nd WHO meeting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acupoint locations.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04;21:193-195. 

  19. Yin, Chang Shik, Park, Hi-Joon, Seo, Jung-Chul, Lim, Sabina, Koh, Hyeong-Gyun. An Evaluation of the Cun Measurement System of Acupuncture Point Loc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vol.33, no.5, 729-735.

  20. Meridians & Acupoints Complication Committee of Korean Oriental Medical Colleges. Principles of Meridians & Acupoints. Daejeon: JongRyeoNaMu Publishing Co; 2016 p. 210. 

  21. Qin YR. Nan Ching. Beijing: Scientific and Technical Documents Publishing House; 2010 p. 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