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삶의 균형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 및 감각 처리와의 관련성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 and Relationship Between Life Balance and Sensory Processing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6 no.2, 2018년, pp.36 - 49  

김은영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선욱 (대구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영 (순천향대학교 웰니스코칭서비스센터) ,  이상헌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혜진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권정아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판 삶의 균형 척도(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삶의 균형과 감각 처리 간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K-LBI는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통해 구성되었다.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K-LBI와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 성인 행동 평가 척도를 실시하여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내적 일관성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감각 처리와 삶의 균형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과 K-LBI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K-LBI와 수렴 타당도를 위한 척도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r = .337~.449, p < .01), 양호한 반분 신뢰도(r = .906, p < .01)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ICC = .669, p < .01)가 산출되었다. 감각민감 혹은 감각회피 성향과 관계 삶의 균형 영역 간 정적 상관(r = .422~.443, p < .01) 및 등록저하와 도전 삶의 균형 영역 간 부적 상관(r = -.373, p < .05)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K-LBI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제시하였고 삶의 균형과 감각 처리 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 and to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balance and sensory processing. Methods : K-LBI was constructed through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Convergent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LBI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밝히는 것과 더불어서, 본 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목표는 감각 처리와 삶의 균형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감각 처리와 삶의 균형 간의 관련성에 대한 첫 번째 결과는 감각민감 혹은 감각회피가 높을수록 삶의 균형이 좋은 것이다.
  • 감각민감 혹은 감각회피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관계 활동에 대한 욕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관계 활동을 하거나 하고 싶다고 응답한 문항의 개수를 세었다. 그리고, 실제 보낸 시간과 원한 시간의 불일치가 어떤 방향의 불일치인지, 즉 관계 활동에 보내고 싶은 시간의 양보다 실제로 보내는 시간의 양이 적은지, 반대로 보내고 싶은 시간의 양보다 실제로 보내는 시간의 양이 많은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 응답들을 분리하여 살펴보았다. 이렇게 개별 항목의 응답 빈도와 불균형의 방향을 고려하였을 때, 감각 처리 특성에 따른 활동 시간 인식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K-LBI와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K-AASP)(Brown& Dunn, 2002)을 측정하여 삶의 균형과 감각 처리 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개발된 문화권과 다른 문화권에서 척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용될 문화권에서 척도의 번안과 심리측정 연구가 요구된다(Beaton, Bombardier, Guillemin, & Ferraz, 2000). 따라서, 본 연구의 첫 번째 목표는 LB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판 LBI(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Inventory; K-LBI)의 심리측정 특성을 보고하고자 함에 있다.
  • 본 연구에서 검증한 심리측정적 특성은 K-LBI가 한국에서 사용하기에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임을 나타낸다. 또한, 본 연구는 감각 처리와 삶의 균형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감각민감과 감각회피 성향에 따라서 관계 삶의 균형이, 등록저하에 따라 도전 삶의 균형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삶의 균형을 측정하는 LBI를 국내로 도입하고자 번안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K-LBI가 활용 가능한 도구임을 검증하였다. 나아가 삶의 균형과 감각 처리와의 상관관계를 밝혀 감각 처리 문제가 활동 참여 및 욕구 그리고 활동 시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K-LBI의 심리측 정적 특성 및 감각 처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앞으로 다양한 연령대와 의학적 진단 집단을 대상으로 삶의 균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후기 청소년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K-LBI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K-LBI는 스트레스, 삶의 만족, 정신 건강과 관련된 유의미한 타당도를 나타냈다.
  • 대학생 시기는 학자나 문헌에 따라서 다른 발달 시기로 정의되는데, 본 연구는 10-24세 범위를 청소년기로 하는 최근 의학적 견해에 부합하게 본 연구의 참가자를 후기 청소년기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 특성이 일반적인지 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렴 타당도 척도들에 대한 기존 문헌의 수치 범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K-PSS-4의 평균은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균형 모델이란 무엇인가? 활동들 간의 시간적 균형은 작업과 건강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작업 과학에서 강조된다(Larson & Zemke, 2003). Matuska와 Christiansen(2008)이 제안한 삶의 균형 모델(Life Balance Model)은 삶의 균형을 “개인이 현재 사는 맥락 안에서 건강하고, 의미 있고, 지속 가능한 일상 활동의 만족스러운 패턴”으로 정의한다. 삶의 균형 모델은 개인의 필요가 충족되는지에 따라 삶의 균형 정도가 달라진다고 보고, 삶의 균형과 관련된 요소들을 제시한다.
삶의 균형 모델은 건강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삶의 균형 모델은 개인의 필요가 충족되는지에 따라 삶의 균형 정도가 달라진다고 보고, 삶의 균형과 관련된 요소들을 제시한다. 삶의 균형 모델은 높은 삶의 균형은 높은 주관적 안녕, 낮은 스트레스, 그리고 긍정적인 신체 및 정신 건강 결과와 관련되는 반면, 낮은 삶의 균형은 필요 불충족, 낮은 주관적 안녕, 높은 스트레스,부정적 건강 결과와 관련된다(Matuska, 2010).
작업시간에 따른 각기 다른 삶의 만족도는 어떻게 되는가? 인간은 시간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작업에 얼마만큼의 시간을 보내는지에 따라 각기 다른 삶의 만족도를 경험한다(Christiansen &Matuska, 2006). 의미 있는 작업을 하고 싶은 시간만큼 하는 것은 안녕과 건강으로 이어지는 반면, 의미 있는 작업을 원하는 시간만큼 하지 못하거나 무의미한 작업에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은 삶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3). Manual for the ASEBA adult forms &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3. Beaton, D. E., Bombardier, C., Guillemin, F., & Ferraz, M. B. (2000). Guidelines for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of self-report measures. Spine, 25(24), 3186-3191. http://dx.doi.org/10.1097/00007632-200012150-00014 

  4. Ben-Avi, N., Almagor, M., & Engel-Yeger, B. (2012).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ults: An exploratory study. Psychology, 3(1), 70-77. http://dx.doi.org/10.4236/psych.2012.31012 

  5. Brown, C. E., & Dunn, W. (2002).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San Antonio, TX: Harcourt Assessment Company. 

  6. Cohen. S., Kamarch,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4), 385-396. http://dx.doi.org/10.2307/2136404 

  7. Chess, S., & Thomas, A. (1998). The New York longitudinal scales adult temperament questionnaire test manual. Scottsdale, AZ: Behavioural Developmental Initiatives. 

  8. Christiansen, C. H., & Matuska, K. M. (2006). Lifestyle balance: A review of concepts and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3(1), 49-61. http://dx.doi.org/10.1080/14427591.2006.9686570 

  9.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http://dx.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10. Derogatis, L. R., Rickels, K., & Rock, A. F. (1976). The SCL-90 and the MMPI: A step in the validation of a new self-report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28(3), 280-289. http://dx.doi.org/10.1192/bjp.128.3.280 

  11. Dickie, V. (2014). What is occupation? In B. A. B. Schell, G. Gillen, & M. E. Scaffa (Eds).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2th ed., pp. 2-8).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12. Diener, E., Emmons, R., Larsen,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13. Dunn, W. (1997).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n the daily live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 conceptual model. Infants & Young Children, 9(4), 23-35. http://dx.doi.org/10.1097/00001163-199704000-00005 

  14. Dirix, H. (2015). Develop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evidence for the Flemish version of the Life Balance Inventory in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eit Gent, Ghent. 

  15. Engel-Yeger, B., & Shochat, T.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patterns and sleep quality in healthy adult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9(3), 134-141. http://dx.doi.org/10.2182/cjot.2012.79.3.2 

  16. Evans, J. D. (1996). Straightforward statistic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Pacific Grove, CA: Brooks/Cole Publishing. 

  17. International Wellbeing Group. (2006). Personal Wellbeing Index (4th ed.). Melbourne: Australian Centre on Quality of Life, Deakin University. Available at: http://www.deakin.edu.au/research/acqol/instruments/wellbeing-index.htm. 

  18. Jung, H. (2016). Technical Adequacy of Korean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K-AAS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si, Korea. 

  19. Keyes, C. L., Wissing, M., Potgieter, J. P., Temane, M., Kruger, A., & van Rooy, S. (2008).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in setswana-speaking South Africans.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15(3), 181-192. http://dx.doi.org/10.1002/cpp.572 

  20. Khodabakhsh, S., Cheong, L. S., & Rosli, N. A.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patterns and depression in adults. Malaysian Online Journal of Counseling, 3(1), 49-56. 

  21. Kim. K. I., Kim, J. H., & Won, H. T. (1984).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eoul, Chung Ang Aptitude Publishing Co. 

  22. Kinnealey, M., & Fuiek, M.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defensiveness, anxiety, depression and perception of pain in adult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6(3), 195-206. http://dx.doi.org/10.1002/oti.97 

  23. Kinnealey, M., Oliver, B., & Wilbarger, P. (1995). A phenomenological study of sensory defensiveness in adul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9(5), 444-451. http://dx.doi.org/10.5014/ajot.49.5.444 

  24. Koo, T. K., & Li, M. Y. (2016). A guideline of selecting and report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reliability research. Journal of Chiropractic Medicine, 5(2), 155-163. http://dx.doi.org/10.1016/j.jcm.2016.02.012 

  25. Lariviere, N., Denis, C., Payeur, A., Ferron, A., Levesque, S., & Rivard, G. (2016). Comparison of objective and subjective life balance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a personality disorder. Psychiatric Quarterly, 87(4), 663-673. http://dx.doi.org/10.1007/s11126-016-9417-3 

  26. Lariviere, N., & Levasseur, M. (2016).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Life Balance Inventory: An occupational therapy questionnair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83(2), 103-114. http://dx.doi.org/10.1177/0008417416632260 

  27. Larson, E. A., & Zemke, R. (2003). Shaping the temporal patterns of our lives: The social coordination of occup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0(2), 80-89. http://dx.doi.org/10.1080/14427591.2003.9686514 

  28. Law, M., Baptiste, S., Carswell, A., McColl, M. A., Polatajko, H., & Pollock, N. (2014).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5th ed.). Ottawa, ON: CAOT Publications ACE. 

  29. Lee, J. (2014).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balance i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 Lee, E. H., Chung, B. Y., Suh, C. H., & Jung, J. Y. (2015). Korean versions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14, 10 and 4): Psychometric evalu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9(1), 183-192. http://dx.doi.org/10.1111/scs.12131 

  31. Lim, N., Lee, H., & Suh, E. M. (2010).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finding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9(1), 21-47. 

  32. Lim, Y. J. (2012).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mong Korean police officers, university students, an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3), 877-896. 

  33. Lim, Y. J., Ko, Y. G., Shin, H, C., & Cho, Y. (2013).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complete mental health in the South Korean adult population. In C. Keyes (Eds.), Mental well-Being: International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positive mental health. New York: Springer. 

  34. Lim, Y. J., Yu, B. H., Kim, D. K., & Kim, J. H. (2010).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Psychiatry investigation, 7(3), 163-169. http://dx.doi.org/10.4306/pi.2010.7.3.163 

  35. Lovibond, S. H., & Lovibond, P. F. (1995). Manual for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2nd ed.). Sydney, Australia: Psychology Foundation of Australia Inc. 

  36. Meyer, A. (1922). The philosophy of occupational therapy. Archives of Occupational Therapy, 1(1), 1-10. 

  37. Matuska, K. (2010). Validity evidence for a model and measure of life balan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Twin Cities. 

  38. Matuska, K. (2012a). Description and development of the Life Balance Inventory.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2(1), 220-228. http://dx.doi.org/10.3928/15394492-20110610-01 

  39. Matuska, K. (2012b). Validity evidence of a model and measure of life balance.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2(1), 229-237. http://dx.doi.org/10.3928/15394492-20110610-02 

  40. Matuska, K. M., & Christiansen, C. H. (2008). A proposed model of lifestyle balanc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5(1), 9-19. http://dx.doi.org/10.1080/14427591.2008.9686602 

  41. Oh, K., & Kim, Y. (2010). Manual for the ASEBA adult forms. Seoul, Korea, HUNO Inc. 

  42. Park, M. H., & Kim, K. M. (2006). The necessity for adult's sensory processing evaluating tool and the introduction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4(1), 17-28. 

  43. Park, S. M., Park, H. Y., & Park, J. H. (2017). A Review on concept and measurement of occupational balance: Trend and therapeutic prospec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12(3), 115-125. 

  4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45. Smith, N. R., Kielhofner, G., & Watts, J. H. (1986). The relationships between volition, activity patter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0(4), 278-283. http://dx.doi.org/10.5014/ajot.40.4.278 

  46. Taylor, R. R. (2017). Kielhofner's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5th ed). Philadelphia, PA: Wolters Kluwer Health. 

  47.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http://dx.doi.org/10.1037//0022-3514.54.6.1063 

  48. World Health Organisation. (2016).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WHO. Retrieved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