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장애인 환자 관리에 대한 역량
Clinical Competen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to Manage Disabled Patients in Some Area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8 no.6, 2018년, pp.349 - 356  

황현정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김아현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김정희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서보련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이다혜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황수정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부 지역 치위생(학)과 3, 4학년 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전반적인 인식, 장애인 치과학에 대한 교육 여부, 장애인 환자 구강관리 역량 자가평가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대부분이 장애인이나 장애인 환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84.7%는 장애인 전문 치과위생사 양성이 필요하고 76.5%는 졸업 후에 장애인 치과진료 관련 세미나에 참가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전체 대상자의 각 장애인별 업무역량에 대한 자가평가는 보통 수준 미만으로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업무역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상자의 71.4%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장애인 치과진료를 경험하였으며 경험을 한 대상자가 장애인 환자에 대한 지식, 구강보건교육, 구강병 예방처치, 진료보조, 의사소통의 대부분 영역에서 본인의 역량을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이론교육이 충분하였다고 응답한 군에서도 충분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군에 비해 장애인 환자 관리 역량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자가평가를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보았을 때 현재 교육과정상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업무역량은 부족한 것으로 보이나 장애인 환자의 구강건강 관리 및 치과진료 보조에 대해 긍정적이며 장애인 환자에 대한 경험과 이론 교육 등이 효과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교육과정에 장애인 치과학이 포함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고 충분한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병행하여 장애인 환자의 구강건강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장 임상실습 교육 시 장애인 환자를 경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장애인 전문 치과위생사 양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 for medical care and welfare for patients with disabilities is expanding,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also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need for medical care for pati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etency of disabled patients' management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를 근거로 볼 때 치과위생사의 장애인 환자 관리에 대한 역량은 장애인구 증가와 장애유형의 다양성 시대에 관심을 가지고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 구강질환 예방처치 및 장애인 치과진료 보조의 주역이 될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 장애인 치과학에 대한 교육 경험 정도, 장애인환자 관리에 대한 역량 수준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의 치과진료에 대한 교육 및 훈련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장애인 치과 의료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의 보호자의 치아 건강은 어떠한가? 장애인의 보호자의 절반 정도는 장애인의 치아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생각하고 장애인이 치통이나 잇몸 출혈을 경험하는 비율이 58.9%에 달하며14) 치주질환 이환율도 매우 높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4년 전국 장애인 구강보건실태조사15)를 제외하고는 장애인 구강보건 상태에 대한 이렇다 할 국가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치과계의 관심의 증가가 장애인 구강보건 상태를 향상시켰는지 판단하기는 힘들다.
장애인 구강건강 향상에 가장 걸림이 되는 상황은? 장애인 구강건강 향상에 가장 걸림이 되는 상황은 저하된 개인 구강위생 관리능력이고6) 장애인의 치주질환 이환율이 높다고 한 선행연구3)와 장애인 치과진료 시 가장 필요한 것은 보조인력 추가라는 선행연구9)를 근거로 볼 때 치과위생사의 장애인 환자 관리에 대한 역량은 장애인구 증가와 장애유형의 다양성 시대에 관심을 가지고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 구강질환 예방처치 및 장애인 치과진료 보조의 주역이 될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 장애인 치과학에 대한 교육 경험 정도, 장애인환자 관리에 대한 역량 수준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의료와 관심은 어떻게 되고 있는가? 우리는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외상과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과거 세대보다 장애를 가질 위험성이 높은 환경 속에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을 위한 의료와 복지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보건의료 관계자들의 장애인을 위한 의료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 역시 증대되고 있다. 2015년에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2017년 12월 실행됨으로써 장애인 건강권 확보를 위한 제도적 진전을 이루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Disability health law. Retrieved September 1, 2018, from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E%A5%EC%95%A0%EC%9D%B8%EA%B1%B4%EA%B0%95%EA%B6%8C%EB%B0%8F%EC%9D%98%EB%A3%8C%EC%A0%91%EA%B7%BC%EC%84%B1%EB%B3%B4%EC%9E%A5%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 (2015).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Introduction of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oral health departmen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83-88, 2015. Retrieved August 27, 2018, from http://www.mohw.go.kr/react/gm/sgm06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20501&page2&CONT_SEQ293260. 

  3. Nam SH: Oral health care of the disabled. J Korean Dis Oral Health 8: 161-165, 2012. 

  4. Ha SY, Lee KH, Kim DE, Park JS: Oral health care status in institutions and special schools for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J Korean Acad Pediatr Dent 27: 192-201, 2000. 

  5. Lee HO, Yang CH, Kim J, Kim YI: Domestic disabled people’s use of dental service institutes and thei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 Dent Hyg Sci 9: 593-600, 2009. 

  6. Choi CH: Dental services status of the disabled performed by dentis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7: 59-71, 2003. 

  7. Kim SM: Dental care and the stat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dentists for the handicapped. J Korean Acad Pediatr 28: 87-94, 2001. 

  8. Lee HJ, Bang JB, Lee EY, Kim KC: Student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of special care dentistry. J Korean Dis Oral Health 10: 1-8, 2014. https://doi.org/10.12655/KADH.2014.10.1.1 

  9. Shim SH, Lee W, Choi B: The status and improvement course of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in Korea. J Korean Dent Assoc 48: 280-287, 2010. 

  10. Shin HO, Kim MS, Lee HS, Choi SC, Kim KC: The evaluation of oral health care status and types of dental treatment in charity free dental clinic for the disabled people. J Korean Dis Oral Health 13: 67-72, 2017. 

  11.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umb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egistered nationwide. Retrieved September 1, 2018,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query%EB%93%B1%EB%A1%9D%EC%9E%A5%EC%95%A0%EC%9D%B8%EC%88%98 (2018). 

  12. Kang CK, Lee JH, Lee HS: Analysis on the articles of special needs dentistry in Korean medical database. J Korean Dis Oral Health 9: 11-17, 2013. https://doi.org/10.12655/jkdoh.2013.9.1.11 

  13. Min YJ: Introduction of oral health support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J Korean Dis Oral Health 8: 166-180, 2012. 

  14. Nam SB, Han YK: A study on behavior and attitude of pediatric handicaps in dental facilities. J Dent Hyg Sci 1: 43-49, 2001. 

  15. Jeong SH, Kim JY, Park JH, Choi YH, Song KB, Kim YJ: Dental caries status and related factors among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 in Korea.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 102-109, 2008. 

  16. Lee YR, Lee KH, Park JH, Choi SC, Kim KC: A statistical survey of dental treatment in disabled patients. J Korean Dis Oral Health 3: 6-10, 2007. 

  17. Kim YS: A survey of the realities of dental health care for the disabled by dental hygienists in Korea. J College Educ 3: 29-44, 2002. 

  18. Lee HS, Kim YJ, Lee JH: Comparison of dental staff’s attitude toward the special health care needs patients between the special dental clinic and the general dental clinic. J Korean Dis Oral Health 9: 85-90, 2013. 

  19. Hwang JY: Study program participation report on special needs dentistry in Japan. J Korean Dis Oral Health 8: 26-36, 2012. 

  20. Lee MJ, Kim DK, Hwang SJ, Oh SH: Elderly welfare system and role of dental hygienists in Korea and Japan. J Dent Hyg Sci 18: 172-181, 2018. https://doi.org/10.17135/jdhs.2018.18.3.1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