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DS를 이용한 전기실의 화재모델링 및 연기제어 특성 분석
Fire Modeling and Smoking Control Characteristic Analysis of Electric Room by Using FD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662 - 668  

최정아 (합동소방기술단(주)) ,  이민구 (원광대학교 전기공학과) ,  이대동 (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실은 대부분 건물의 지하공간에 위치하고 있어 전기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학적 가공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절연재로 화재가 확대되어 강한 독성의 연기 및 연소생성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한 연기 및 연소생성물이 수직적, 수평적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면 재실자의 피난 및 소방대의 소방 활동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전기실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기제어에 필요한 최적의 설비 및 설계가 필요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PyroSim을 이용하여 전기실의 큐비클식 수배전반에서의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 및 연소생성물의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화재모델링은 기계식 환기설비의 작동여부, 급기량 및 배기량의 변화, 급기구의 위치 변경에 따른 4가지 시나리오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기계식 환기설비가 작동하면 작동하지 않을 때보다 연기밀도, 가시거리,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특성이 더욱 개선되어지며, 소방법 규정으로 풍량과 급기구의 위치를 적용할 경우 가시거리 및 온도특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electric rooms are located in the underground spaces of buildings. When a fire occurs in electrical equipment, the fire expands to cable insulation material, resulting in toxic smoke and combustion products. If the smoke and combustion products quickly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ev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전기실에 설치된 기계식 환기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면 작동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어 환기설비를 작동시켰을 경우의 특성비교를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시거리 및 일산화탄소 농도는 환기설비가 작동할 경우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기밀도는 환기설비가 작동될 경우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그러나 전기실의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못하여 이에 따른 기초 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PyroSim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따른 연기밀도, 가시거리,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 이를 위해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PyroSim을 이용하여 기계식 환기설비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 기계식 환기설비가 작동한 경우, 풍량을 소방법 기준으로 적용한 경우, 급기구의 위치를 변경한 경우의 4가지 시나리오의 조건으로 수행하였고 이에 따른 연기밀도, 가시거리,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전기실내 수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큐비클형 수배전반 상부의 환기구에서 화염이 분출하여 상부에 설치된 케이블 표면에 열전달에 의한 열해리를 통하여 화재가 급속하게 진행될 때 연소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Table 4와 같이 시나리오를 구성하였고 각 시나리오에 따른 연기밀도, 가시거리,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운영되고 있는 지하 1층에 설치된 전기실을 대상으로 큐비클식 수배전반에서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모델링 및 연기제어 특성을 분석하였다.
  • 1과 같다. 지하 1층에 설치된 전기실의 크기는 가로 14m, 세로 7.9m, 높이 4.8m, 바닥면적 111m2이다. 큐비클식 고압 수전상자의 크기는 가로 9.

이론/모형

  • Table 2와 같이 Concrete, Steel, Cable의 물성 값은 PyroSim 2015 프로그램에서 Bryan Klein에 의해 제공된 자료를 적용하였으며, Table 3과 같이 케이블의 절연재인 PE/PVC가 반응하는 것으로 물성을 설정하였다. 모델링에 적용되어진 물성은 벽체는 콘크리트, 큐비클 금속상자는 스틸, 케이블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가연물인 케이블의 절연재 PE/PVC가 지속적으로 연소하여 일산화탄소와, Soot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실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특징은? 전기실은 대부분 건물의 지하공간에 위치하고 있어 전기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학적 가공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절연재로 화재가 확대되어 강한 독성의 연기 및 연소생성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한 연기 및 연소생성물이 수직적, 수평적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면 재실자의 피난 및 소방대의 소방 활동에 지장을 주게 된다.
PyroSim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을 분석할 수 있는가? 그러나 전기실의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못하여 이에 따른 기초 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PyroSim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따른 연기밀도, 가시거리,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기실의 기계식 환기설비의 작동에 의한 결과는? (1) 전기실에 설치된 기계식 환기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면 작동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어 환기설비를 작동시켰을 경우의 특성비교를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시거리 및 일산화탄소 농도는 환기설비가 작동할 경우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기밀도는 환기설비가 작동될 경우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온도는 약 150초 이전까지는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의 경우 모두 비슷한 상승곡선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 K. Kim, C. S. Choi, D. O. Kim, H. S. Choi, "Copper Oxide Growing Characteristics of PVC Insulated Wire and Application to the Fire Investigation", Trans. KIEE., vol. 56P, no. 1, pp. 37-44, March, 2007. 

  2. K. M. Shong, Y. S. Roh, "A Study on Discrimination between Short-Circuit and Overloa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sing Current of an Electrical Wire", Journal of KIIEE., vol. 21, no. 10, pp. 176-180, December, 2007. DOI: http://doi.org/10.5207/JIEIE.2007.21.10.176 

  3. H. W Kim, D. H. Baek, "A Study on the Detection Technique of the Flame and Series arc by Poor Contact", J. Kor. Inst. Fire Sci. Eng., vol. 26, no. 6, pp. 24-30, December, 2012. DOI: https://doi.org/10.7731/KIFSE.2012.26.6.024 

  4. Y. H. Kwon, "A Study on the Application Water Mist Fire Extinguishing System by Incoming and Distributing Panel Fire Measures of Agricultural Pumping and Drainage Stations", Yeungnam University, master's theses, 2013. 

  5. W. C. Jang, "Numerical Study on Fir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ic Cables in Electrical Cabinets",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es, 2009. 

  6. K. C. Choi, "Development of Design Technique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Focused on Vestibules of Special Escape Stairs-, Konkuk University, doctorate thesis, 2010. 

  7. C. W. Seo,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 Installed in a High Rise Build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te thesis, 2015. 

  8. M. S. Kim, E. S. Baek, "A Study on Improvement of Livingroom Smoke-control System using the FDS", Fire Sci. Eng., vol. 31, no. 4, pp. 26-34, August, 2017. DOI: https://doi.org/10.7731/KIFSE.2017.31.1.026 

  9. S. H. Gu, H. H. Kim, Y. J. Song, "A Study on Fire Features of Double-Skin Facade Structure by Using Fire Simulation (FDS)", Fire Sci. Eng., vol. 28, no. 1, pp. 1-11, February, 2014. DOI: https://doi.org/10.7731/KIFSE.2014.28.1.001 

  10. Y. J. Song, S. H. Gu, H. J. Kim, D. J. Park, J. M. Park, "A Study on the Fire Spread through Curtain Wall System with Fire Simulations (FDS)", J. Kor. Inst. Fire Sci. Eng., vol. 26, no. 6, pp. 31-37, December, 2012. DOI: https://doi.org/10.7731/KIFSE.2012.26.6.0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