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실내 위치 추적을 위한 지자기 센서 보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gnetic sensor calibration for indoor smartphone position tracking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8 no.6, 2018년, pp.229 - 235  

이동욱 (한성대학교 전자정보공학과) ,  오종택 (한성대학교 전자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적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이동 경로를 지도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추정해야 하는데, 주변의 쇠구조물에 의한 자기장의 왜곡과 스마트폰의 기울어짐 때문에 방위각 추정 오차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지 상태에서의 지자기 센서의 보정 방법과 스마트폰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정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자북과 도북의 차이에 의한 방위각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on indoor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using smart phone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Especially, in order to display the movement path of the smartphone on the map, the azimuth angle should be estimated by using the geomagnetic sensor built in most smart phones. Due to the distortion of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예로 실내 위치 추적 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위치와 보폭 및 방위각 등을 추정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3축 지자기 센서를 활용하여 실내에서 방위각을 찾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3축 지자기 센서로 방위각을 계산 시 주변 쇠구조물에 대한 왜곡과 스마트폰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지자기 센서 값의 왜곡을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기술하였다. 또한 자북 방위각을 실제로 지도에 표시되는 도북 방위각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북이란 무엇인가? 자북은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을 북쪽(north) 으로 하여 방위각을 표현한 것이며, 스마트폰으로부터 계산되는 방위각이다. 기호는 반쪽 화살표(\(\upharpoonright \))이다.
도북 방위각은 어떠한 방식으로 계산되는가? 그림 3의 ①은 도북 방위각이고 ②는 자북 방위각이다. 자북과 도북 사이의 각도를 도자각이라 하며 자북 방위각에서 도자각을 빼주면 도북 방위각이 계산된다.
방위각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기울어진 스마트폰으로부터 측정되는 지자기 센서 값을 보정하여 방위각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수평자기벡터를 구한 후 보정을 통해 방위각을 계산하는 방식과 측정된 지자기 센서 값을 보정하여 방위각을 계산하는 방식이 있다. 수평자기벡터는 식 (5)를 통해 얻어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ae Young Choi and Sung Gaun Kim, "Study on the Localization Improvement of the Dead Reckoning using the INS Calibrated by the Fusion Sensor Network Information,"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18, No. 8, pp. 744-749, 2012. 

  2. Dae Hae Kim, Sang Min Lee, and Gil Young Kong, "A Study on the Wireless Ship Motion Measurement System Using AHR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7, No. 6, pp. 575-580, 2013. 

  3. Elena Bergamini, and et al., "Estimating Orientation using Magnetic and Inertial Sensors and Different Sensor Fusion Approaches: Accuracy Assessment in Manual and Locomotion Tasks," Sensors, Vol. 14, No. 10, pp. 18625-18649, 2014. 

  4. Jung Moon Hwang and Jung Han Kim, "Development of the Calibration Algorithm of 3 Axis Vector Sensor using Ellipsoi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32, No. 7, pp. 643-651, 2015. 

  5. Won Jae Yi, Weidi Jia, and Jafar Saniie, "Mobile Sensor Data Collector using Android Smartphone," IEEE 55th International Midwest Symposium on Circuits and Systems(MWSCAS), pp. 956-959, 2012. 

  6. Alexandre Gonsette, and et al., "Fog-based Automatic True North Detection for Absolute Magnetic Declination Measurement," Geoscientific Instrumentation, Method and Data Systems, Vol. 6, No. 2, pp. 439-446, 2017. 

  7. Jae Geol Yim, Jae Hun Joo, and Gye Young Lee, "Smart Phone Picture Recognition Algorithm using Electronic Maps of Architecture Configuration,"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17, No. 3, 2014. 

  8. Christopher Konvalin, "Compensating for Tilt, Hard-iron, and Soft-iron Effects," Sensors Online, Dec. 2009: https://www.sensorsmag.com/components/compe nsating-for-tilt-hard-iron-and-soft-iron-effects. 

  9. Tae Yeon Kim, Chang Ju So, and Joon Lyou, "On-line Magnetic Distortion Calibration Method for a Magnetometer,"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18, No. 9, pp. 819-822, 2012. 

  10. Gye Do Park and Jang Myung Lee, "Inclination and Non-horizontal Error Correction of Magnetic Compass by the Law of Gravity,"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0, No. 3, pp. 606-611, 2011. 

  11. Jongtaek Oh, "A Study on Global Positioning System of Smart Phone in Indoo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5, No. 2, pp. 151-156, April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