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S를 이용한 복단면 개수로의 바닥전단응력 분포특성 분석
Analysis of Bed Shear Stress Distributions in Compound Open Channels Using Large Eddy Simulation.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5 no.4, 2018년, pp.199 - 209  

이두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설계에서 제방과 홍수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바닥전단응력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하폭과 수심에 따른 복단면의 바닥전단응력을 모의하여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바닥전단응력 분포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이차류를 모의하기 위하여 OpenFOAM의 large eddy simulation (LES)를 적용하였으며 하폭과 수심을 고려하여 12개의 케이스를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시간 평균 유속 분포, 이차류 분포, 바닥전단응력 분포 등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홍수터 바닥전단응력 분포는 전체적으로 홍수터 좌안에서 높은 값이 나타나고 우안 방향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이차류에 의해 상당한 국부적인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홍수터의 수심이 얕은 경우에는 홍수터의 바닥전단응력이 평균전단응력의 0.8배 이하로 낮은 값이 나타나고 있으나 홍수터의 수심이 깊은 경우에는 평균전단응력의 1.2-1.4배의 높은 값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홍수터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홍수터 우안 측벽의 영향으로 국부적으로 높은 값이 나타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iver design, consideration of bed shear stresses is necessary to secure stability of levee and floodplain. In this study distributions of bed shear stresses in compound open channels are analyz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for various width and depth. LES solver in OpenFOAM is applied to 12 ca...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바닥벽과 측벽 부근의 격자가 조밀한 비균일 격자를 적용하였다. 벽 부근의 격자를 조밀하게 구성하여 벽 부근에 발생하는 작은와를 직접 모의하여 모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초기 조건으로는 전체 계산 영역에 평균 유속을 설정하였으며 계산 시간이 진행되면서 난류가 발생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복단면 형상에 따른 바닥전단응력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오픈 소스 코드인 OpenFOAMLES를 이용하여 벽 부근이 조밀한 비균일 격자를 구성하여 모의하였다. 복단면 개수로에서 OpenFOAM 코드의 LES 검증은 Lee (2017)에 의해 수행되어 본 논문에서는 제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홍수터 안정성 분석을 위하여 복단면 하도의 바닥전단응력의 분포를 홍수터 수심과 하폭 변화에 따라 모의하여 분석하였다. 바닥전단응력의 분포는 주흐름과 함께 이차류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OpenFOAM의 LES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가설 설정

  • 5를 풀기 위해서는 SGS 응력 Bij에 대한 모형화가 필요한데 OpenFOAM을 비롯한 다목적 CFD 코드에서는 일반적으로 Boussinesq 가정을 도입하여 모형화한다. 즉, SGS 응력은 점성응력과 유사하다고 가정하며 Eq. 6과 같이 표현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면의 횡방향 바닥전단응력의 분포가 영향을 받는 것은? 개수로의 바닥전단응력은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일반적으로 소류력으로 표현되며 홍수 시 하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주요 설계인자이다. 단면의 횡방향 바닥전단응력의 분포는 단면의 유속분포, 이차류, 난류구조 등의 영향을 받는데 복단면 개수로의 경우에는 저수로와 홍수터 간의 유속 차이와 이에 따른 이차류 및 난류 구조의 영향으로 매우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 (Prinoset al. 1985, Tominaga and Nezu 1991).
개수로의 바닥전단응력이란? 개수로의 바닥전단응력은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일반적으로 소류력으로 표현되며 홍수 시 하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주요 설계인자이다. 단면의 횡방향 바닥전단응력의 분포는 단면의 유속분포, 이차류, 난류구조 등의 영향을 받는데 복단면 개수로의 경우에는 저수로와 홍수터 간의 유속 차이와 이에 따른 이차류 및 난류 구조의 영향으로 매우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 (Prinos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n, C. and Choi, S.U. 2011. Large eddy simulation of rectangular open-channel flow using OpenFO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3): 833-840. 

  2. Cater, J.E. and Williams, J.J.R. 2008. Large eddy simulation of a long asymmetric compound.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46(4): 445-453. 

  3. Constantinescu, G., Sukhodolov, A. and McCoy, A. 2009. Mass exchange in a shallow channel flow with a series of groynes: LES study and comparison with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Environmental Fluid Mechanics 9(6): 587. 

  4. Kara, S., Stoesser, T., and Sturm, T.W. 2012. Turbulence statistics in compound channels with deep and shallow overbank flow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50(5), 482-493, DOI: 10.1080/00221686.2012.724194. 

  5. Lee, D. 2017. Analysis of compound open channel flow using Large Eddy Simulation (LES).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1): 054-062. 

  6. Naot, D., Nezu, I. and Nakagawa, H. 1993. Hydrodynamic behavior of compound rectangular open channel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19(3): 390-408. 

  7. Pezzinga, G. 1994. Velocity distribution in compound channel flows by numerical modeling.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0(10): 1176-1198. 

  8. Prinos, P., Townsend, R. and Tavoularis, S. 1985. Structure of turbulence in compound channel flow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11(9): 1246-1261. 

  9. Rogallo, R.S. and Moin, P. 1984. Numerical simulation of turbulent flows. Annual Review of Fluid Mechanics 16(1): 99-137. 

  10. Shiono, K. and Knight, D.W. 1991. Turbulent open channel flows with variable depth across the channel. Journal of Fluid Mechanics 222: 617-646. 

  11. Sofialidis, D. and Prinos, P. (1998). Compound open-channel flow modelling with nonlinear low-Reynolds k-e models. J. Hydraulic Eng., 124 (3): 253-262. 

  12. Stoesser, T., Kim, S.J. and Diplas, P. 2010. Turbulent flow through idealized emergent vegetat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36(12): 1003-1017. 

  13. Thomas, T.G. and Williams, J.J.R. 1995. Large eddy simulation of turbulent flow in an asymmetric compound open channel.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33(1): 27-41. 

  14. Tominaga, A. and Nezu, I. 1991. Turbulent structure in compound open-channel flow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17(1): 21-41. 

  15. Van Balen, W., Blanckaert, K. and Uijttewaal, W.S.J. 2010. Analysis of the role of turbulence in curved open-channel flow at different water depths by means of experiments, LES and RANS. Journal of Turbulence 11(12): 1-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