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AV 식생지수 및 수고 자료를 이용한 엽면적지수(LAI) 추정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leaf area index (LAI) of using UAV vegetation index and Tree Height dat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4, 2018년, pp.158 - 174  

문호경 (국립생태원) ,  최태영 (국립생태원) ,  강다인 (국립생태원) ,  차재규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는 식생의 광합성, 증발산, 지표면과 대기사이의 에너지 교환 등을 설명하는 주요 인자로서, 정확하고 활용성 높은 LAI 추정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UAV를 이용한 LAI 추정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장 실측된 LAI 자료와 UAV 영상기반의 식생지수, 수고 및 위성영상(Sentinel-2) LAI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UAV LAI 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활용된 6종의 식생지수 중 Red-edge band를 포함하고 있는 NDRE ($R^2=0.496$), CIRE ($R^2=0.443$)가 LAI 추정에 효과적인 식생지수로 나타났다. 수고(Canopy Height Model) 자료를 식생지수에 적용하였을 때 LAI에 대한 설명력이 향상되었으며, NDVI의 경우에 LAI와의 선형관계에서 발생되는 포화문제(saturation problem)를 보였던 구간(0.85)이 일부 해소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eaf area index (LAI) is a major factor explaining the photosynthesis of vegetation, evapotranspiration, and energy exchange between the earth surface and atmosphere, and there have been studies on accurate and applicable LAI estimation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를 이용하였다. UAV를 활용한 LAI 추출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formula 1.을 적용한 방법과 식생지 수와 현장 측정된 LAI와의 회귀식을 통한 방법으로 나누어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 , 2016)등이 일부 수행된바 있지만 엽면적지수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V을 활용한 엽면적지수 추정을 위하여 실측자료와 UAV 영상기반 자료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UAV를 활용한 엽면적지수 추정을 위해 국립생태원내 산림을 대상으로 UAV용 다중분광 영상을 통해 생성된 6종의 식생지수와 LAIfield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수고모델 (Canopy Height Model, CHM) 적용에 따른 R2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NA(2016)는 UAV를 활용한 식생지수 생성 및 경작지 시험적용 결과에서 적색경계밴드의 특성을 확인한 바 있다. 이외에도 현재까지 제시된 식생지수는 약 60여종 이상이나 본 연구에서는 UAV 영상으로 산출이 가능한 식생지수 중 적색과 적색경계밴드가 포함된 유형(RE-NIR)과 녹색과 근적외선(Green-NIR), 적색과 근적외선(Red-NIR)밴드로 구성된 식생지수 6종을 선정하여 현장 실측한 LAI와 선형적인 관계성을 살펴보고 LAI 추정에 효과적인 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표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엽면적지수란 무엇인가? 식생 및 생물학적 주요 변수 중 하나로서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는 산림 식생의 광합성, 증발산, 호흡량 등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강우나 태양에너지의 차단및 식물과 대기사이의 에너지 교환 등을 설명하는 인자로서 활용되고 있다(Kim, 2008). 엽면적지수는 임관층 총엽면적의 1/2(잎의 한쪽 면) 에 해당하는 면적 합을 지표면 면적으로 나눈 비율로서 단위공간에서 식생이 가지는 모든 입층(leaf layer)의 밀도로 정의할 수 있다. 엽면적지수의 정확한 측정 혹은 예측은 산림생태계의 탄소, 물, 에너지 순환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 고,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 생태계의 변화와 적응·저감 능력을 평가하거나 예측하는데 필수적 이라고 할 수 있다(Kwon, 2016).
엽면적지수 산정방법 중 직접 측정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엽면적지수 산정방법으로는 생육상태의 잎을 채취하거나 낙엽을 수거하여 산정하는 직접 측정방법과 광학 측정기 및 원격탐사 기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직접 측정법의 경우 수목, 경작지 등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넓은 지역에 적용이 어렵다(Chason et al., 1991).
정규화식생지수가 LAI 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에 적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원격탐사를 통한 LAI 산정은 현지의 실측값과 영상신호(분광 반사율, 식생지수 등)간의 관계식을 통해 산출되는데 주로 식물의 엽록소 농도에 민감한 밴드(630nm~850nm)를 활용한다. 이 범위에 포함되는 적색(630nm~685nm), 근적외선(760nm~850nm) 밴드의 조합으로 만들 어진 정규화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는 지표면의 식생량, 잎의 밀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LAI 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에 적용되고 있다(Rouse, 1973; Lee, 2017). 그러나 LAI가 일정 수준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ng D.S., D.G. Lee, S.R. Yang and H.J. Lee. 2018. Study on the Tree Height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3):35-47. 

  2. Barnes, E.M., T.R. Clarke and S.E. Richards. 2000. Coincident detection of crop water stress, nitrogen status and canopy density using ground based multispectral data.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ecision Agriculture. 

  3. Chason, J.W., D.D. Baldocchi and M.A. Huston. 1991. A comparison of direct and indirect methods for estimating forest canopy leaf area.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7(1):107-128. 

  4. Chen, J.M. 1996. Optically-based methods for measuring seasonal variation of leaf area index in boreal conifer stand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0(2):135-163. 

  5. Chen, J.M., P.M. Rich, T.S. Gower, J.M. Norman and S. Plummer. 1997. Leaf area index of boreal forests: theory, techniques and measuremen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29):429-444. 

  6. Delegido, J., J. Verrelst, C.M. Meza, J.P. River, L. Alonso and J. Moreno. 2011. Evaluation of Sentinel-2 Red-Edge Bands for Empirical Estimation of Green LAI and Chlorophyll Content. Journal of Sensors 11:7063-7081. 

  7. Delegido, J., J. Verrelst, C.M. Meza, J.P. River, L. Alonso and J. Moreno. 2013. A red-edge spectral index for remote sensing estimation of green LAI over agroecosystems. Eur. J. Agron 46:45-52. 

  8. Decagon Devices Inc. 2017. AccuPAR PAR /LAI Ceptometer(Model LP-80) Operator's Manual. ver. July 10. 

  9. Fan, X., K. Kawamura, T.D. Xuan, N. Yuba and J. Lim. 2017. Low­cost visible and near­infrared camera 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assessing the herbage biomass and leaf area index in an Italian ryegrass field, Grassland Science 64: 145-150. 

  10. Gitelson, A.A. 2004. Wide dynamic range vegetation index for remote quantification of biophys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61:165-173. 

  11. Gitelson, A.A., M. Mark and L. Hatrmut. 1996. Detection of Red Edge Position and Chlorophyll Content by Reflectance Measurements Near 700nm. Journal of Plant Physiology Vol(148):501-508. 

  12. Herwitz, S.R., L.F. John, S.E. Dunagan, R.G. Higgins, D.V. Sullivan, J. Zheng, B.M. Lobitz, J.G. Leung, B.A. Gallmeyer, M. Aoyagi, R.E. Slye and J.A. Brass. 2004. Imaging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agricultural surveillance and decision support,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44: 49-61. 

  13. Herrmann, I., A. Pimstein, A. Karnieli, Y. Cohen, V. Alchanatis and D. Bonfil. 2011. LAI assessment of wheat and potato crops by VEN ${\mu}$ S and Sentinel-2 band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8): 2141-2151. 

  14. Jordan, C.F. 1969. Derivation of leaf area index from quality of light on the forest floor, Ecology 50: 663-666. 

  15. Kwon, B.R., J.H. Jeon, H.S. Kim and M.J. Lee. 2016. Estimation of Specific Leaf Area Index Using Direct Method by Leaf Litter in Gwangneung, Mt. Taewha and Mt. Gariwa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1):1-15. 

  16. Kalisperakis, I., Ch. Stentoumisa, L. Grammatikopoulosb, K. Karantzalosc. 2015. Leaf area index estimation in vineyards from UAV hyperspectral data, 2D image mosaics and 3D canopy surface models.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L-1/W4. 

  17. Kim, T.G. 2008. Integration of ASTER and MODIS data to generate LAI map of South Korea. Doctoral Thesis, In-Ha Univ., South Korea. pp.8-9. 

  18. Lee, K.S., S.H. Kim, Y.L. Park and K.C. Jang. 2003. Generation of Leaf Area Index(LAI) Map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and Field Measurements, Korean Journal of Remoote Sensing, 19(5):371-380. 

  19. Lee, J.M. 2017. Monthly LANDSAT LAI Generation in Korean Peninsula. Master Thesis, Kun-Kuk Univ. South Korea. goo. 

  20. Lee, K.D., C.W. Park, K.H. So and S.I. Na. 2017. Estimating of Transplanting Period of Highland Kimchi Cabbage Using UAV Image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9(6):39-50. 

  21. Lee, K., S. Kim, J. Park, T. Kim, Y. Park and C. Woo. 2006. Estimation of forest LAI in close canopy situation using optical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2(5): 305-311. 

  22. Lim, O.T. 2016. A study on identifying individual Korean fir (Abies koreana) trees at Mt. Halla, Jeju, Korea, using UAV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and the Object-based Image Analysis method UAV (Unmanned Aerial Vehicle).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Korea. 

  23. Lim, Y.S., Y.D. Eo, M.C. Jeon, M.H. Lee and P.M. Wook. 2016. Experiments of Individual Tree and Crown Width Extraction by Band Combination Using Monthly Drone Images.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4(4):67-74. 

  24. Lee, Y.C. 2018. Vegetation Monitoring using Unmanned Aerial System based Visible, Near Infrared and Thermal Images.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8(1):79-91. 

  25. Lee, G.S., Y.W. Woong, J.K. Jung and G.S. Cho. 2015. Analysis of the Spatial Information Accuracy According to Photographing Direction of Fixed W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3):141-149. 

  26. Mathews, A.J. and J.L.R. Jensen. 2013. Visualizing and Quantifying Vineyard Canopy LAI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llected High Density Structure from Motion Point Cloud. Remote Sensing 5(5):2164-2183. 

  27. Milas, A.S., M. Romanko, P. Reil, T. Abeysinghe and A. Marambe. 2018. The importance of leaf area index in mapping chlorophyll content of corn under different agricultural treatments using UAV im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9:5415-5431. 

  28. Moon, H.G., S.M. Lee and J.G. Cha. 2017.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UAV Imagery and Object-Based Image Analysis -Focusing on the Maseo-myeon, Seocheon -gun, Chungcheongnam-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1):1-14. 

  29. Na, S.I., S.Y. Hong, C.W. Park, K.D. Kim and K.D. Lee. 2016. Estimation of Highland Kimchi Cabbage Growth using UAV NDVI and Agro-meteorological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9(5): 420-428 (in Korean). 

  30. NA, S.I., C.W. Park, Y.K. Cheong, C.S. Kang, I.B. Choi and K.D. Lee. 2016. Selection of Optimal Vegetation Indices for Estimation of Barley & Wheat Growth based on Remote Sensing - An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Investigation Data - Korea Journal of Remote Sensing 32(5):483- 497. 

  31. Park, H.K., W.Y. Choi, N.H. Back, S.S. Kim and K.K. Kim. 2004. Estimation of Leaf Area Index by Plant Canopy Analyzer in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8(6): 463-467. 

  32. Perko, R., R. Hannes, D. Janik eutscher, G. Karlheinz and S. Mathias. 2011. Forest Assessment Using High Resolution SAR Data in X-Band Data in X-Band. Remote Sens(3):792-815. 

  33. Park, J.K. and J.H. Park. 2015. Crop classification using imagery of unmanned aerial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6): 91-9. 

  34. Pearson, R.L. and L.D. Miller. 1972. Remote mapping of standing crop biomass for estimation of the productivity of the shortgrass prairie. Proc. of the Eigh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II, Michigan, Ann Arbor 1357-1381. 

  35. Pu, R., P. Gong, G.S. Biging and M.R. Larrieu. 2003. Extraction of red edge optical parameters from Hyperion data for estimation of forest leaf area index,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1(4): 916-921. 

  36. Pix4d. 2018. https://support.pix4d.com/hc/en-us. 

  37. Rouse, J.W., R.H. Haas, J.A. Schell and D.W. Deering. 1973.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Third ERTS Symposium Vol(1):309-317. 

  38. Stenberg. P., S. Linder, H. Smolander and J.f. Ellis. 1994. Performance of the LAI-2000 plant canopy analyzer in estimation leaf area index of some Scots pine stands. Tree Physiology 14:981- 995. 

  39. Turner, D.P., W.B. Cohen, R.E. Kennedy, K.S. Fassnacht and J.M. Briggs. 1999. Relationships between leaf area index and Landsat TM spectral vegetation indices across three temperate zone sit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0(1):52-68. 

  40. Verrelst. J., J.P. Rivera, F. Veroustraete, J. Munoz-Mari, Jan G.P.W. Clevers, G.C. Valls and J. Moreno. 2015. Experimental Sentinel-2 LAI estimation using parametric, non-parametric and physical retrieval methods - A comparison.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08:260-272. 

  41. Vincini, M., E. Frazzi and P. DAlessio. 2008. A broad-band leaf chlorophyll index at the canopy scale. Precision Agriculture 9:303-319. 

  42. Wu, Chaoyang., Z. Niu, Q. Tang, W. Huang, B. Rivard and F. Benoit. 2009. Remote estimation of gross primary production in wheat using chlorophyll-related vegetation indic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9:1015-1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