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양광 대량보급 시대의 기술개발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Era of Photovoltaic Mass Supply 원문보기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한국태양광발전학회논문지, v.6 no.4, 2018년, pp.124 - 132  

조은철 (전자전기공학부, 정보통신대학, 성균관대학교) ,  송재천 (태양광발전학회, 과학기술회관) ,  조영현 (전자전기공학부, 정보통신대학, 성균관대학교) ,  이준신 (전자전기공학부, 정보통신대학, 성균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electric power supply plan was prepared by greatly enhancing the environmental and safety with consider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electric equipment,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the public safety. As a result, the fossil energy-based power generation sector is accelerating...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화석에너지 중심의 발전분야가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고, 여기에 에너지저장과 전기차 산업이 융합되면서 태양광 산업은 초대형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전망된다. 본고에서는 태양광의 대량보급 시대를 맞이하여, 태양광 기술개발 측면에서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 화석에너지 중심의 발전분야가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고, 여기에 에너지저장과 전기차 산업이 융합되면서 태양광 산업은 초대형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전망된다. 본고에서는 태양광의 대량보급 시대를 맞이하여, 태양광 기술개발 측면에서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 세부 프로그램중 “② 태양전지”은 제조원가를 낮추고, 태양광 기술의 효율과 성능의 향상 및 신뢰성의 개선하여 LCOE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 2030년에는 2020년 LCOE의 50% 하락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세부 프로그램중 태양광은 제조원가를 낮추고, 태양광 기술의 효율과 성능의 향상 및 신뢰성의 개선하여 LCOE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30년의 LCOE 목표는 2011년의 대략 90% 정도인 $0.
  • 태양광은 다양한 환경과 기후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역별 최적지역에 MW급 이상 태양광발전 실증단지 구축을 통해 모듈과 시스템의 장기신뢰성 확보 및 사업화를 위한 시장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즉, 국산 태양광 모듈, 인버터, 시스템 등의 장기 신뢰성 테스트 및 초기 시장 제공을 통해 사업화 기반을 마련하고 최적의 전력공급 시스템을 개발 및 실증하는 프로젝트이다. 실증단지를 통해 시스템 설계 및 운영기술을 습득하고 태양광 중심의 친환경에너지 타운 연계기술에 활용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 전환 정책의 주요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 더불어 2017년에는 “에너지전환 로드맵”과“재생 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재생 에너지 확대 등 에너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 전환 정책의 주요 핵심 내용은 ① 원전의 단계적 감축, ②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통한 재생에너지의 확대, ③ 에너지 전환에 따른 지역‧산업의 보완대책을 주요 골자로 하며, 이와 연계된 에너지 세제, 전기요금 체계개편과 같은 핵심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세계가 주목하는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대표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지금 세계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마련과 동시에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기술적 진보에 의한 에너지 효율화, 안전한 에너지원, 에너지 발전-송전-수요 관리의 고지능화, 에너지 절약,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 등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준비를 본격화 하고 있다. 더불어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에너지 공급의 효율적 관리, 에너지 인프라 신뢰성, 수요 충족을 위한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위한 수요-공급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성, 재생에너지 및 저탄소 에너지원 공급 발전, 그리고 에너지 형평성 측면에서 에너지 공급의 접근성과 가격 적정성 등의 이슈가 상존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원 중 태양광을 사용한 발전은 그리드 패리티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재생에너지 전력생산비용은 기술개발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환경 비용과 연료가격 상승 등으로 전기요금이 상승하면서 최종 소비자의 관점에서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한 전력생산비용이 현재 전력망에서 전력을 구매하는 가격과 균형을 이루는 시점을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라고 한다. 그리드 패리티는 태양광의 설치비용, 발전효율, 일사량, 지원정책 및 전기요금 체계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드 패리티에 도달하면 태양광 발전이 타발전원 대비 경쟁력을 가지게 되어 관련 산업 활성화되어 투지 및 공급이 확대되고, 설비단가 및 발전단가 감소가 발생되고 수요증가가 증가되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어 태양광 시장의 빠르게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적으로 발전효율, 운전비용, 수명기간 등이 다른 발전원에 대한 발전단가를 산정하여 비교하기 위해서 균등화 발전비용(LCO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을 활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The 8th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MOTIE, 2017. 

  2. IEA PVPS, "Snapshot 2018 of global photovoltaic market"(2018). http://www.iea-pvps.org/?id266 

  3. DOE, "Levelized Cost of Energy (LCOE)," 2017. https://www.energy.gov/sites/prod/files/2015/08/f25/LCOE.pdf 

  4. IRENA,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 cost analysis series," 2012. https://www.irena.org/documentdownloads/publications/re_technologies_cost_analysis-solar_pv.pdf 

  5. K. Branker, M.J.M. Pathak, J.M. Pearce, "A Review of Solar Photovoltaic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5, pp. 4470-4482, 2011. 

  6. ITRPV, 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Photovoltaic Results 2017, 2018. 

  7. IRENA, Renewable Power Generation Costs in 2017,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Abu Dhabi, 2018. 

  8. K. Kimura, R. Zissler, Comparing Prices and Costs of Solar PV in Japan and Germany - The Reasons Why Solar PV is more Expensive in Japan, 2016. 

  9. R. Fu, D. Feldman, R. Margolis, M. Woodhouse, K. Ardani, U.S. Solar Photovoltaic System Cost Benchmark: Q1 2017, NREL/TP-6A20-68925, 2017. 

  10. https://www.energy.gov/eere/solar/photovoltaics-research-and-development 

  11. http://www.nedo.go.jp/activities/ZZJP2_100060.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