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오염물질 노출수준의 계절적 변이와 그 함의 - 제2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2012-2014)
Seasonal Variations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Implication from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2012-2014)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6, 2018년, pp.572 - 580  

황문영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류정민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권영민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홍수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박충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Human biomonitoring (HBM) is a measurement of the chemicals and their metabolites in human biological samples and has been successfully employed to determine the exposure levels of environmental chemicals. In this study, we analyzed seasonal variations of the blood or urinary levels of 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에서 2014년까지 진행된 제2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의 한국의 성인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화학물질 노출의 계절적 변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건강영향과의 상관성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량 프탈레이트의 노출원은? 프탈레이트 대사체는 일반적으로 고분자량 프탈레이트는 식품섭취와 식품용기, 물병 등이, 저분자량 프탈레이트는 화장품 등 개인위생용품의 사용이 주요 노출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DEHP는 여름철에 높았고 다른 계절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MBzP, MnBP는 여름과 가을철 보단 높은 수준이었는데, 개인위생용품 또는 화장품의 계절적 사용경향과 비슷한 노출수준을 보였다27,28). 환경성 페놀류 중 BPA는 저분자량 프탈레이트와 비슷하게 여름에는 높은 수준이었다가 가을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여름철에서 가을철 사이에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것에 대한 노출평가가 필요하다.
바이오미니터링이 모니터링으로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바이오모니터링 연구는 환경노출의 확인과 법에근거한 정책결정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자료를 제공한다.1) 매체 농도를 이용한 위해성평가 과정에서 최악의 시나리오(worst case scenario)를 사용하여 노출량이 과다 추정되는 경우와 다르게, 바이오모니터링 결과는 실질적인 인체노출량을 도출 할 수 있다.2,3)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바이오모니터링은 화학물질의 노출수준, 생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모니터링으로 확대하고 있다.
바이오모니터링은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바이오모니터링은 생체조직 또는 혈액, 소변과 같은 체액에서의 원 물질 또는 그 대사체를 측정하여 환경오염물질 노출의 지표 또는 정량적인 노출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활용되어왔다. 바이오모니터링 연구는 환경노출의 확인과 법에근거한 정책결정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6. Human biomonitoring for environmental chemicals. In: Committee on Human Biomonitoring for Environmental Toxicant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2. Angerer, J., Bolt, HM., Bruning, T., Drexler, H., Eikmann, T., Ewers, U., Gieler, U., Greim, H., Hallier, E., Letzel, S., Mersch-Sundermann, V.H., Neuberger, M., Nowak, D., Rudiger, H.W., 2004. Uber das Biological Monitoring, den Unwillen Gesundheitsrisiken rational abzuschatzen und die Lust an radikalen Massnahmen. Umweltmed. Forsch. Prax. 9, 61-64. 

  3. Hays SM, Becker RA, Leung HW, Aylward LL, Pyatt DW. 2007. Biomonitoring equivalents: A screening approach for interpreting biomonitoring results from a public health risk perspective. Regulatory Toxicol & Parmarcol. 47: 96-109. 

  4. Angerer, J., Bird, M.G., Burke, T.A., Doerrer, N.G., Needham, L., Robison, S.H., Sheldon, L., Zenick, H., 2006. Meeting Report: Strategic Biomonitoring Initiatives: Moving the Science Forward. Toxicol. Sci. published online June 19th, 2006, doi:10.1093/toxsci/kfl042. 

  5. Kommission Human-Biomonitoring des Umweltbundesamtes, 1996. Human-biomonitoring: Definitionen, Moglichkeiten und Voraussetzungen. Bundesgesundheitsbl 39, 213-214. 

  6.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Fourth National Report on Human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Update Tables. Washington, DC: CDC. 

  7. Health Canada. 2013. Second Report on Human Biomonitoring of Environmental Chemicals in Canada: Results of the Canadian Health Measures Survey Cycle 2 (2009-2011). 

  8. 박충희, 유승도. 2014.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의 현황 및 전망. 한국환경보건학회지. 40(1): 1-9. 

  9. Park CH, Hwang MY, Kim HJ, Ryu SD, Lee KJ, Choi KH, Paek DM. 2016. Early snapshot on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among Korea adults- results of the first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2009-2011). Int J. Hyg Environ Health. 219: 398-404. 

  10. Masih A, Lall AS, Taneja A, Singhvi R. 2017. Exposure profiles, seasonal varia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of BTEX in indoor air of homes at different microenvironment of a terai province of northern India. Chemosphere. 176: 8-17. 

  11. Smith MN, Workman T, McDonald KM, et al. Seasonal and occupational trends of five organophosphate pesticides in house dust. J Expo Sci Environ Epidemiol. 2016; 27:372-378. 

  12. Weiss L, Arbuckle TE, Fisher M, et al. Temporal variability and sources of triclosan exposure in pregnancy. Int J Hyg Environ Health. 2015; 218: 507-513. 

  13. Wu L, Zhou X, Zhao D, Feng T, Zhou J, Wang TSJ, Wang C. 2017. Seasonal variation and exposure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from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of China during 2010-2014. J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58: 1-9. 

  14. Behall KM, Scolfield DJ, Hallfrisch JG, Kelsay JL, Reiser S. 1984. Seasonal variation in plasma glucose and hormone levels in adult men and women. Am J Clin Nutri. 1352-1356. 

  15. Lips P, Hackeng L, Jongen MJM, Van Ginkel FC, Netelenbos JC. 1983. Seasonal variation in serum concentrations of parathyroid hormone in elderly people. J Clin Endocrinol and Metabol. 204-206. 

  16. Roberto S, Giancarlo C, Michele B, Guido G, Luisa SL, Alberto Z, Guiseppe O. 1998. Seasonal variations in home and ambulatory blood pressure in the PAMELA population. 

  17. Romano ME, Kalloo G, Etzel T, Braun JM. 2017. Seasonal variation in exposure to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Epidemiology. 28(5): e42-e43. 

  18. Choi WH, Kim SJ, Baek YW, Choi KH, Lee KJ, Kim SK, Yu SD, Choi KH. 2017.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among Korean adults-updates from the second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2012-2014). Int. J. Hyg. Environ. Health 220: 29-35. 

  19. Park CH, Choi WH, Hwang MY, Lee YM. Kim SJ, Ryu SD, Lee IA, Paek DM, Choi KH. 2017. Association between urinary phthalate metabolites and bisphenol A levels, and thyroid hormones among Korean adults population-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2012-2014. Sci. Total Environ. 584-585: 950-957. 

  20. Barr DB, Wilder LC, Caudill SP, Gonzalez AJ, Needham LL, Pirkle JL. 2005. Urinary creatinine concentrations in the U.S. population: implication for urinary biologic monitoring measurements. Environ Health Perspect. 113: 192-200. 

  21. Lakind JS, Sobus JR, Goodman M, Barr DB, Furst P, Albertini RJ, Arbuckle TE, Schoeters G, Tan YM, Teeguarden J, Tornero-Velez R, Weisel CP. 2014. A proposal for assessing study quality: Biomonitoring, Environmental Epidemiology, and Short-lived Chemicals (BEES-C) instrument. Environ Int. 73, 195-207. 

  22. 질병관리본부. 2017. 계절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제10권. 49호: 1333-1337. 

  23. Engstrom A, Michaelsson K, Suwanzono Y, Wolk A, Vahter M, Akesson A. 2011. Long-term cadmium exposure and the association with bone mineral density and factures in a population-based study among women. J Bone & Mineral Reseach. 26(3): 486-495. 

  24. 강공언, 김남송, 신은상. 2011. 익산지역 대기 중 PM10과 PM2.5의 계절별 특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7: 29-43. 

  25. Lee BK and Hieu NT. 2011. Seasonal variation and sources of heavy metals in atmospheric aerosols in a residential area of Ulsan, Korea.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1: 679-688. 

  26. Ho KF, Lee SC, Guo H, Tsai WY. 2004.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the atmosphere of Hong Kong. Sci of Tot Environ. 332: 155-166. 

  27. Erythropel HC, Maric M, Nicell JA, Leask RL, Yargeau V. 2014. Leaching of the plasticizer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from plastic containers and the question of human exposure. Appl Microbiol Biotechnol. 98: 9967-9981. 

  28. Heudorf U, Mersch-Sundermann V, Angerer J. 2007. Phthalate: Toxicology and exposure. Int J. Hyg Environ Health. 210: 623-634. 

  29. lee JY, Shin HJ, Bae SY, Kim YP, Kang CH. 2008. Seasonal variation of particulate size distributions of PAHs at Seoul, Korea. Air Qual Atmos Health. 1: 57-68. 

  30. Martorell I, Nieto A, Nadia M, Perello G, Marce RM, Domingo JL. 2012. Human exposure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using data from a duplicate diet study in Catalonia, Spain. Food and Chem Toxicol. 50(11): 4103-4108. 

  31. Imai K, Yoshinaga J, Yoshikane M, Shiraishi H, Mieno MN, Yoshiike M, Nozawa S, Iwamoto T. 2014. Pyrethroid insecticide exposure and semen quality of young Japanese men. Reprod Toxicol 43:38-44. doi:10.1016/j.reprotox.2013.10.010 

  32. Saillenfait AM, Ndiaye D, Sabate JP. 2015. Pyrethroids: Exposure and health effects-An update. Int J Hyg Environ Health. 218: 281-292. 

  33. Hays SM, Aylward L, Lakind JS. 2007. Introduction to the Biomonitoring Equivalents pilot projects: Development of quidlines for the derivation and communication of Biomonitoring Equivalents. Regul Toxicol and Phramacol. 47: 96-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