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역상수도의 이용이 어려운 농촌지역의 식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3,820개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을 분석하였다. 전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함량분포는 다수의 데이터가 낮은 농도 값의 범위에 치우쳐 있는 상태를 보였으며 최고 함량은 $1,757.0{\mu}g/L$, 평균 함량은 $6.46{\mu}g/L$, 중앙값$0.76{\mu}g/L$으로 나타났다. 3,820개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을 10개의 지질로 분류하면 3개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중앙값이 높으며($0.99-2.05{\mu}g/L$), 퇴적암과 다공성화산암지역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중앙값은 $0.04-0.50{\mu}g/L$으로 낮았다. 전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이 USEPA의 기준치인 $30{\mu}g/L$를 초과하는 비율은 3.8%이나 쥬라기화강암과 선캠브리아기화강암지역의 초과율은 각각 8.5%, 7.5%나 되어 이 지역에서는 기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관리와 함께 신규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개발에 주의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ranium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 groundwater collected from 3,820 community groundwater system (CGS) located in remote rural areas where access to the nationwide water work is not easy.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uranium concentrations shows a lognormal distribution which is common 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위의 조사 결과들은 국내의 지질을 4-5개의 지질로 구분하였고 지하수의 심도별(천부와 심부), 용도별(음용, 농업, 생활) 구분이 없이 단지 국내 지하수의 전반에 대한 우라늄 함량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농촌, 산악지역 주민들의 식수원으로 이용 되고 있는 비교적 심도가 일정한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16년까지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고 있는 3,820개 마을상수도에서 시료를 채취, 분석하고 지질과 관련하여 해석하였고 외국의 함량정도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석에서 우라늄 함량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85). 우라늄은 화강암과 같은 산성 화성암, 화강암 기원의 변성암, 셰일, 탄산염에서 그 함량이 높으며 현무암과 같은 염기성 암석에서 함량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Birke et al., 2010).
우라늄의 주요 공급 광물은 무엇인가? , 2010). 우라늄의 주요 공급 광물은 우라니나이트, 피치블렌드, 캐로타이트와 인산염광물(Phosphate), 갈탄 등과 모나자이트, 저어콘, 일메나이트, 녹염석과 같은 소량의 포획광물이다. 우라늄은 음용지하수에서 주요 관심 대상이 되는 성분중의 하나이다.
음용지하수에서 우라늄 함량이 주요 관심사인 이유는 무엇인가? 우라늄은 음용지하수에서 주요 관심 대상이 되는 성분중의 하나이다. 일정 함량 이상의 우라늄을 장기간 섭취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데 우라늄의 반감기가 긴 특성상 방사성적 특성보다는 화학적 특성이 더 커서 신장 독성을 유발시킬 수있다(Kurttio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ERB (Atomic Energy Regulatory Board) (2004) Directive for limit on uranium in drinking water, India. Mumbai: Atomic Energy Regulatory Board. 

  2. Asikainen, M. and Kahlos, H. (1979) Anomalously high concentrations of uranium, radium and radon in water from drilled wells in the Helsinki region, Geochim. et Cosmochem. Acta, v.43, p.1681-1686. 

  3. Barcelona, M.J., Gibb, J.P., Helfrich, J.A. and Garske, E.E. (1985) Practical guide for groundwater sampling, SWS Contract Report, 374p. 

  4. Betcher, R.N., Gascoyne, M. and Brown, D. (1988) Uranium in groundwaters of southeastern Manitoba, Canada, Can. J. Earth Sci., v.25, p.2089-2103. 

  5. Berisha, F. and Goessler, W. (2013) Uranium in Kosovo's drinking water, Chemosphere, v.93, p.2165-2170. 

  6. Birke, M., Rauch, U., Lorenz, H. and Kringel, R. (2010) Distribution of uranium in German bottled and tap water, J. Geochem. Explor., v.107, p.272-282. 

  7. Cho, B.W. (2017) Uranium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the Goesan area, Korea, J. Korean Soc. Eng. Geol., v.50, p.353-361. 

  8. Choi, B.S. (1999) Determination of aquifer characteristics from specific capacity data of wells in Cheju Island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J. Korea Soc. Groundw. Environ., v.16, p.180-187. 

  9. Choo, C.O. (2002) Characteristics of uraniferous minerals in Daebo granite and significance of mineral species, J. Mineral Soc. Korea, v.15, p.11-21. 

  10. Cothern, C.R. and Rebers, P.A. (1990), Radium and uranium in drinking water, Lewis Publishers, Inc, Chelsea, Michigan, p.286. 

  11. Dillon, M.E., Carter, G.L., Arra, R. and Kahn, B. (1997)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Georgia piedmont, Health Phys., v.60, p.229-236. 

  12. Godoy, J.M. and Godoy, M.L. (2006) Natural radioactivity in Brazilian groundwater. J. Environ. Radioact., v.85, p.71-83. 

  13. Health Canada (2014) Guidelines for Canadian Drinking Water Quality-Summary Table. Water and Air Quality Bureau, Healthy Environments and Consumer Safety Branch, Health Canada, Ottawa, Ontario. 

  14. Hess, C.T., Michel, J., Horton, T.R., Prechard, H.M. and Coniglio, W.A. (1985) The occurrence of radioactivity in public water supplies in the United States, Health Phys., v.48, p.553-586. 

  15. Hwang, J. (2010)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 in the uraniferous sedimentary rocks of the Ogcheon belt, Republic of Korea, J. Korean Earth Sci. Soc., v.31, p.205-213. 

  16. Kurttio, P., Auvinen, A., Salonen, L., Saha, H., Pekkanen, J., Makelainen, S., Vaisanen, S., Pentila, I. and Komulainen, H. (2002) Renal effects of uranium in drinking water, J. Environ. Health Perspect., v.110, p.337-342. 

  17. Lahermo, P, Tarvainen, T., Hatakka, T., Huikuri, P., Ilmasti, M., Juntunen, R., Karhu, J., Kortelainen, N., Nikkarinen, M. and Vaisanen, U. (2001) Chemical composition of well water in Finland-main results of the 'one thousand wells'project. Geological Survey of Finland, Current Research 1999-2000, special paper 31 p.57-76 

  18.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Status of Community Groundwater System in 2009. 

  19. NFA (National Food Administration) (2005) A risk assessment of uranium in drinking water (Svensson, K., Darnerud, P.O. and Skerfving, S.), Livsmedelsverket, National Food Administration of Sweden, Rapport 10-2005, 32p. 

  20. NHMRC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2015) Australian Drinking Water Guidelines 6,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Version 3.1. 

  21. NIER (2002) Study on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s in the groundwater (IV), KIGAM, 357p. 

  22. NIER (2015) Studies on the naturally occurring radionuclides in groundwater in the multi-geologic areas (15), KIGAM, NIER-SP2015-386, 203p. 

  23. NIER (2016) Studies on the naturally occurring radionuclides in groundwater, KIGAM, 213p. 

  24. Noh, H.J., Jeong, D.H., Yoon, J.K., Kim, M.S., Ju, B.K., Jeon, S.S. and Kim, T.S. (2011) Natural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radon in drinking groundwater. J. Korea Soc. Groundw. Environ., v.16, 12-18. 

  25. Pinti, D.L., Retailleau, S., Barnetche, D., Moreira, F., Mortiz A.M., Larocque, M., Gelinas, Y., Lefebvre, R., Helie, J.F. and Valadez, A. (2014) $^{222}Rn$ activity in groundwater of the St. Lawrence Lowlands, Quebec, eastern Canada: relation with local geology and health hazard. J. Environ. Radioact., v.136, p.206-217. 

  26. Reimann, C. Hall, GEM, Siewers, U. (1996) Radon, fluoride and 62 elements as determined by ICP-MS in 45 Norwegian hard rock groundwater samples, Sci. Total. Environ. v.192, p.1-19. 

  27. Salonen, L. and Hukkanen, H. (1997) Advantages of lowbackground liquid scintillation alpha-spectrometry and pulse shape analysis in measuring radon, uranium, and radium-226 in groundwater samples, J.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v.226, 967-74. 

  28. Salonen L. (1994) $^{238}U$ series radionuclides as a source of increased radioactivity in groundwater originating from Finnish bedrock, future groundwater resources at risk, IAHS Proceeding and Reports, n.222, p.71-84. 

  29. Shin, D.B. and Kim, S.J. (2011)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slate and coaly slate from the uranium deposit in Deokpyeong area, Econ. Environ. Geol., v.44, p.373-386. 

  30. Shin, W.S., Oh, J.S., Choung, S.W., Cho, B.W., Lee, K.S., Woo, N.C. and Kim, H.K. (2016) Distribution and potential health risk of groundwater uranium in Korea, Chemosphere, v.163, p.108-115. 

  31. Smedley, P.L., Smith, B., Abesser C. and Lapworth, D. (2005) Uranium occurrence and behavior in British groundwater, British Geological Survey (Report number: CR/06050N) 

  32. Skeppstrom, K. and Olofsson, B. (2007)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European Water, 17/18, p.51-62. 

  33. Stalder, E., Blanc, A., Haldimann, M. and Dudler, V. (2012) Occurrence of uranium in Swiss drinking water, Chemosphere, v.86, p.672-679. 

  34. Telahigue, F., Agoubi, B., Soudid, F. and Kharroubi, A. (2018) Groundwater chemistry and radon-222 distribution in Jerba island, Tunisia. Environ. Radioact., v.182, p.74-84. 

  35.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 National Primary Drinking Water Regulations. 

  36.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 Trace elements and radon in groundwater across the United States, 1992-2003, National Water-Quality Assessment Program, U.S. Geological Survey, Scientific Investigations Report 2011-5059, 115p. 

  37. Voutilainen, A., Makelainen, I., Huikuri, P. and Salonen, L. (2000) Radon atlas of wells drilled into bedrock in Finland. STUK-A171. Helsinki: Sateilyturvakeskus. 

  38.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Guidelines for drinking water quality. Chapter 9. Radiological aspects, 4th edi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39. Wu, Y., Wang, Y. and Xie, X. (2014) Occurrence, behavior and distribution of high levels of uranium in shallow groundwater at Datong basin, northern China, Sci. Total Environ., v.472, p.809-817. 

  40. Yun, S.W., Lee, J.Y. and Park, Y.C. (2016) Occurrence of radionuclides in groundwater of Korea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J. Korean Soc. Eng. Geol., v.26, p.71-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