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경지역 지하수의 수리지화학 및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 특성
Hydrogeochemistry and Occurrences of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of Mungyeong A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1 no.6, 2018년, pp.553 - 566  

이병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  조병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  김문수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  황재홍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경지역 지하수관정 40개공을 대상으로 지하수의 수리지화학 및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EC는 최소 68에서 최대 $574{\mu}S/cm$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EC의 증가와 더불어 주요 용존 양이온음이온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우라늄 함량은 $0.03{\sim}169{\mu}g/L$(중앙값 $0.82{\mu}g/L$)로 매우 넓은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라돈 함량은 70~30,700 pCi/L(중앙값 955 pCi/L)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우라늄 함량에서 미국 EPA MCL $30{\mu}g/L$를 초과한 곳은 1개소로 전체 시료수의 2.5%에 해당된다. 라돈의 경우, 미국 EPA AMCL 4,000 pCi/L를 초과한 곳은 8개소로 전체 시료수의 20%이며, 이중 핀란드의 음용 제안치인 8,100 pCi/L를 초과하는 시료는 4개소이다. 연구지역에서 지질별 지하수의 우라늄과 라돈 농도는 화강암지역의 지하수에서 가장 높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우라늄과 라돈 함량은 유사한 지질을 가지는 외국에 비하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농촌지역 지하수 관정의 특성상 케이싱그라우팅이 미비한 관정이 많으므로 천부 지하수의 공내 유입을 의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ccurrence of natural radionuclides like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was hydrochemically examined based on 40 well groundwaters in Mungyeong area. The range of electrical conductivity (EC) value in the study area was $68{\sim}574{\mu}S/cm$. In addition to the increase of EC valu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의 연구지역은 경상북도 문경지역으로 이 지역은 변성암류, 퇴적암류, 화강암 등의 다양한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수원수로서 지하수의 비중이 높은 지역이다. 금번 연구의 목적은 연구지역 지하수의 수질 및 우라늄과 라돈에 대한 농도분포를 파악하고 방사성물질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의 음용 수요가 증가하게된 원인은? 최근 음용수로서 지하수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높아지고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맑고 깨끗한 물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상수원수가 오염되고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팽배되면서 지하수의 음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던 중 1998년 대전지역의 지하수에서 방사성물질인 우라늄이 검출되었다는 보도 후 지하수 중 방사성물질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맑고 깨끗한 물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이유는? 최근 음용수로서 지하수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높아지고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맑고 깨끗한 물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상수원수가 오염되고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팽배되면서 지하수의 음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주요 용존 양이온의 경우, 물-암석 반응의 진행에 의해서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근거는? EC의 증가와 더불어 주요 용존 양이온(Na, K, Ca, Mg)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Fig. 2a, b, c, d).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bdulrahman, I. A. (2014) Occurrence of radon in groundwater of Saudi Arabia, J. Environ. Radio., v.138, p.186-191. 

  2. Banks, D., Frengstad, B., Midtgard, A. K., Krog, J. R. and Strand, T. (1998) The chemistry of Norweigian groundwaters; The distribution of radon, major and minor elements in 1604 crystalline bedrock groundwater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 v.222, p.71-91. 

  3. Cho, B.W., Kim, M.S., Kim, T.S., Han, J.S., Yun, U., Lee, B.D., Hwang, J.H. and Choo, C.O. (2012) Hydrochemistry and distribution of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of the Nonsa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2, p.427-437. 

  4. Cho, B. W., Choo, C. O., Kim, M. S., Lee, Y. J., Yun, U. and Lee, B. D. (2011) Uranium and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near the Icheon granit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1, p.259-269. 

  5. Cho, B. W., Yun, U. and Choo, C. O. (2010) Natural radon removal efficiency of small-scale water supply system, Econ. Environ. Geol., v.43, p.33-42. 

  6. Cho, B.W., Sung, I.H., Cho, S.Y. and Park, S.K. (2007)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south Korea,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2, p.98-104. 

  7. Choo, C.O. (2002) Characteristics of uraniferous minerals in Daebo granite and significance of mineral species, Journal of Mineral Soc. Korea, v.15, p.11-21. 

  8. Choubey, V.M., Bartarya, S.K. and Ramola, R.C. (2005) Radon variations in an active landslide zone along the Pinda River, in Chamoli Distric, Garhwal Lesser Himalaya, India, Environ. Geol., v.47, p.745-750. 

  9. ChruScielewsky, W. and Kamit'lsky, Z. (1999) Radium and radon in natural under groundwater supply in the region of Lodz, Po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v.12, p.229-238. 

  10. Chung, Y.S., Moon, J.H., Chung, Y.J. and Park, K. W. (1998) Determination of uranium in groundwater by instrumental newtron activ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al, v.5, p.210-214. 

  11. Cook, P. G., Love, A. J. and Dighton, J. C. (1999) Inferring groundwater flow in fractured rock from dissolved radon, Ground Water, v.37, p.606-610. 

  12. Cothern, C. R. and Rebers, P. A. (1990) Radon, radium and uranium in drinking water, Lewis publishers. 

  13. Egidi, P. (1997) Introduction to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 42nd Annual Meeting of the Health Physics Society, 48p. 

  14. Hakam, O.K., Choukri, A., Reyss, J.L. and Lferde, M. (2001) Determination and comparison of uranium and radium isotopes activities and activity ratios in samples from some natural water sources in Morocco.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v.57, p.175-189. 

  15. Han, J. H. and Park, K. H. (1996) Abundances of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of Taejeon area, Econ. Environ. Geol., v.29, p.589-595. 

  16. Jeon, D. Y. and (2009) Radionuclides of groundwaters in Busan, J. of Kossge, v.14, p.51-61. 

  17. Jeong, C. H., Kim, D. W., Kim, M. S., Lee, Y. J., Kim, T. S., Han, J. S. and Cho, B. W. (2012) Occurrence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in borehole groundwater and rock core in the Icheo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2, p.95-111. 

  18. Kim. N.J., Choi, S.O. and Kang, P.C. (1967) Geological map of Korea(1:50,000), Mungyeo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19. Langmuir, D. (1997) Aqueous environmental geochemistry, Prentice-Hall, New Jersey. 

  20. Lee, M.S. and Kim, S.W. (1968) Geological map of Korea(1:50,000), Hamcha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21. Lee, J. Y. (2008) A review on occurrence, health risk and mitigation measure of uranium, radirm and radon in groundwater, J. Geo. Socie. Kor., v.44, p.341-352. 

  22. Lee, H.K., Yoo, E.K. and Hong, S.H. (1973) Geological map of Korea(1:50,000), Yongyuri Sheet, Geological and Mineral Institute of Korea. 

  23. Loomis, D.P. (1987) Radon-222 concentration and aquifer lithology in North Carolina, Ground Water Monitoring Review, v.7, p.33-39. 

  24. Michel, J. (1990) Relationship of radium and radon with geological formation, In: Cothern. C.R. and Rebers, P.A. (eds.), Radium and Uranium in Drinking Water, Lewis Publishers, Inc., Michigan, p.83-96. 

  25. NIER (2006) Study on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 in the groundwater, NIER Report, 200p. 

  26. NIER (2002) Study on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 in the groundwater, NIER Report, 357p. 

  27. Salonen, L. and Hukkanen, H. (1997) Advantages of lowbackground liquid scintillation alphaspectrometry and pulse shape analysis in measuring radon, uranium, and radium226 in groundwater samples, J. Radio and Nuclear Chem, v.226, p.67-74. 

  28. Singh, J., Singh, H., Singh, S. and Bajwa, B. S. (2009) Estimation of uranium and radon concention in some drinking water samples of Upper Siwaliks, India, Environ. Monit Assess, v.154, p.15-22. 

  29. Jose, M. C. and Maria, L. G. (2006) Natural radioactivity in Brazilian groundwater, J. of Environ. Radio., v.85, p.71-83. 

  30. Osmond, J.K. (1980) Uranium disequilibrium in hydrologic studies, Elsevier, Oxford, 259p. 

  31. Pietrzak-Flis, Z., Rosiak, L., Suplinska, M.M., Chrzanowski, E. and Dembinska, S. (2001) Daily intakes of 238U, 234U, 232Th, 230Th and 226Ra in the adult population of central Poland,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273, 163-169. 

  32. Yun, S.K., Cha, M.S., Kim, J.J. and Lee, J.D, (1988) Geological map of Korea(1:50,000), Yechon Sheet,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33. Zapecza, O. S. and Szabo, Z. (1986) Natural radioactivity in groundwater-a review. National Water Summary 1986-Hydrologic Event and Ground-Water Quality, U.S.G.S. water-supply paper, v.2325, p.50-57. 

  34. Zhuo, W., Iida, T. and Yang, X. (2001) Occurrence of 222Rn, 226Ra, 228Ra and U in groundwater in Fujian Province, China, Journal of Radioactivity, v.53, p.11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