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인상법과 종래인상법을 동시에 경험한 임상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분석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clinical trial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both digital and conventional impression 원문보기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34 no.4, 2018년, pp.270 - 279  

양은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김봉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의생명과학연구원) ,  이준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이승표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해부학교실) ,  임영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종래형 인상채득 방법과 디지털 인상채득 방법에 대한 환자들의 느낌, 만족도와 선호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이 연구에 참여한 13명의 임상시험자(남자 6명, 여자 7명)는 종래형 인상채득 방법과 디지털 인상채득 방법을 동일에 경험하였다. 종래형 인상채득방법은 폴리비닐실록산(PVS) 인상재를 사용하였고, 디지털 인상채득은 새로 개발된 구강스캐너를 사용하였다. 두 종류의 인상채득을 시행한 직후 바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지는 다음의 세 개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1) 일반적인 치과 진료에 관해 2) 종래형 인상채득방법에 대한 만족도 3) 디지털 인상채득 방법에 대한 만족도. 만족도에 대한 측정은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설문조사 응답 중 분포에 관한 것은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비교 만족도에 유의성에 대한 통계분석은 paired t-tes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 < 0.05 로 하였다. 결과: 두 가지 인상채득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디지털 인상채득방식이 숨쉬기, 냄새에 대한 항목에서 종래의 인상채득방법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만 구강 스캐너를 사용했을 때 스캐너의 팁 사이즈가 크고 입을 오래 벌리고 있어야 하는 문제로 인해 TMJ에 불편감을 야기했다. 결론: 구강스캐너를 사용하는 디지털 인상채득 방법이 종래의 인상채득방법에 비하여 더 선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조사에서 참가자들이 디지털 인상채득방법을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으며, 다음 보철 치료 시에도 디지털 인상채득 방법을 선택할 것이라고 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atients' perception, acceptance, and prefere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a conventional impression and digital impression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aterials and Methods: Thirteen (6 male, 7 female) subjects who experienced both digital and con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시행된 임상연구 “새로 개발된 국산 구강 스캐너와 간접법 디지털 인상의 정확도 및 CAD/CAM으로 제작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단일금관의 적합도 평가 임상연구”에 참여한 13명의 임상시험자를 대상으로한 설문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시험과 관련하여 종래형인상과 디지털인상을 당일에 경험한 13명의 임상시험참여자를 대상으로 느낌, 만족도와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귀무가설은 “당일에 디지털인상과 종래형인상을 경험한 환자의 설문조사결과 선호도나 만족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국산 구강 스캐너와 간접법 디지털 인상의 정확도 및 CAD/CAM으로 제작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단일금관의 적합도 평가 임상연구”라는 제목으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임상 시험의 일부이다. 이 임상시험은 국내에서 새롭게 개발된 구강 스캐너의 임상적용 시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폴리비닐실록산 인상재를 사용한 종래형인상법으로 제작한 수복물과 국내 개발된 구강스캐너를 사용하여 제작한 수복물의 정확도를 비교하여 임상에서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A) An answer to the question: “Will you take the digital impression technique for future prosthetic treatm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작업에 의존한 보철물 제작방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까지 치과보철물의 제작은 아날로그 방식인 인상채득 작업을 통해 획득한 인상체를 경석고로 주모형을 완성하고, 기공사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여러 과정을 거쳐서 수작업에 의존한 보철물 제작방식은 기공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차 및 기공사 개인의 기술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1,2
구강스캐너를 사용하는 디지털 인상채득 방법이 인상채득방법보다 만족도가 더 높았던 항목은 무엇인가? 05). 디지털 인상채득방식이 숨쉬기, 냄새에 대한 항목에서 종래의 인상채득방법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만 구강 스캐너를 사용했을 때 스캐너의 팁 사이즈가 크고 입을 오래 벌리고 있어야 하는 문제로 인해 TMJ에 불편감을 야기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상채득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종래형 인상채득 방법과 디지털 인상채득 방법에 대한 환자들의 느낌, 만족도와 선호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이 연구에 참여한 13명의 임상시험자(남자 6명, 여자 7명)는 종래형 인상채득 방법과 디지털 인상채득 방법을 동일에 경험하였다. 종래형 인상채득방법은 폴리비닐실록산(PVS) 인상재를 사용하였고, 디지털 인상채득은 새로 개발된 구강스캐너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orey, Erica F.. Dimensional accuracy of small gold alloy castings. Part 1. A brief history and the behaviour of inlay waxes. Australian dental journal, vol.36, no.4, 302-309.

  2. Barbosa, Gustavo Augusto Seabra, Simamoto Júnior, Paulo Cézar, Fernandes Neto, Alfredo Júlio, Mattos, Maria da Glória Chiarello de, Neves, Flávio Domingues das. Prosthetic laboratory influence on the vertical misfit at the implant/UCLA abutment interface.. Brazilian dental journal, vol.18, no.2, 139-143.

  3. Beuer, F., Schweiger, J., Edelhoff, D.. Digital dentistry: an overview of recent developments for CAD/CAM generated restorations. British dental journal, vol.204, no.9, 505-511.

  4. Davidowitz, Gary, Kotick, Philip G.. The Use of CAD/CAM in Dentistry.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55, no.3, 559-570.

  5. Prudente, Marcel S., Davi, Letícia R., Nabbout, Kemilly O., Prado, Célio J., Pereira, Leandro M., Zancopé, Karla, Neves, Flávio D.. Influence of scanner, powder application, and adjustments on CAD-CAM crown misfit.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vol.119, no.3, 377-383.

  6. Takeuchi, Yoshimasa, Koizumi, Hiroyasu, Furuchi, Mika, Sato, Yohei, Ohkubo, Chikahiro, Matsumura, Hideo. Use of digital impression systems with intraoral scanners for fabricating restorations and fixed dental prostheses. Journal of oral science, vol.60, no.1, 1-7.

  7. Seelbach, Paul, Brueckel, Cora, Wöstmann, Bernd. Accuracy of digital and conventional impression techniques and workflow. Clinical oral investigations, vol.17, no.7, 1759-1764.

  8. Zhang, Fan, Suh, Kyung-Jin, Lee, Kyung-Min. Validity of Intraoral Scans Compared with Plaster Models: An In-Vivo Comparison of Dental Measurements and 3D Surface Analysis. PloS one, vol.11, no.6, e0157713-.

  9. Kim, Kwangmin. Likert Scal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 KJFM, vol.32, no.1, 1-.

  10. Yuzbasioglu, Emir, Kurt, Hanefi, Turunc, Rana, Bilir, Halenur. Comparison of digital and conventional impression techniques: evaluation of patients’ perception, treatment comfort, effectiveness and clinical outcomes. BMC oral health, vol.14, no.1, 10-10.

  11. Lee, S.J., MacArthur, R.X., Gallucci, G.O.. An evaluation of student and clinician perception of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vol.110, no.5, 420-423.

  12. Joda, Tim, Lenherr, Patrik, Dedem, Philipp, Kovaltschuk, Irina, Bragger, Urs, Zitzmann, Nicola U.. Time efficiency, difficulty, and operator's preference comparing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oral implants research, vol.28, no.10, 1318-1323.

  13. Schepke, U., Meijer, H.J.A., Kerdijk, W., Cune, M.S.. Digital versus analog complete-arch impressions for single-unit premolar implant crowns: Operating time and patient preference.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vol.114, no.3, 403-406.e1.

  14. Benic, G.I., Muhlemann, S., Fehmer, V., Hammerle, C.H.F., Sailer, I.. Randomized controlled within-subject evaluation of digital and conventional workflows for the fabrication of lithium disilicate single crowns. Part I: digital versus conventional unilateral impressions.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vol.116, no.5, 777-782.

  15. Wismeijer, Daniel, Mans, Ronny, van Genuchten, Michiel, Reijers, Hajo A.. Patients' preferences when comparing analogue implant impressions using a polyether impression material versus digital impressions (Intraoral Scan) of dental implants. Clinical oral implants research, vol.25, no.10, 1113-1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