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에 기록된 조선시대 단청의 종류 관련 용어에 대한 고찰
Semantic Analysis of Joseon Dancheong - related Terms in Literature Records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7 no.6, 2018년, pp.19 - 30  

구욱희 (명지대학교 건축공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identifying the danch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a great number of the terms used [e.g., dancheong(丹靑), geumbyeok(金碧), danhwak(丹?), danbyeok(丹碧), dannok(丹綠), danchil(丹漆), hyuchil(?漆), hyudong(??), etc.] are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가 진행된 ‘단청(丹靑)’과 아직 그 특성이 명확하지 않은 ‘금벽(金碧)’은 새로 진행된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그 뜻이 밝혀지지 않은단확(丹雘), 단벽(丹碧), 단록(丹綠), 단칠(丹漆), 휴칠(髹漆), 휴동(髹彤)을 대상으로 그 의미와 사용처를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전에서 단청의 정의는 무엇입니까? 사전에 단청은 “집의 벽과 기둥·천장 등에 여러 가지 빛깔로 그림과 무늬를 그리는 것이라 하고, 붉은빛과 푸른빛”이라 정의했다.15) 대체로 이 내용은 임영주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문화재표준시방서』에서는 단청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습니까? 『문화재표준시방서』에서는 단청을 가칠단청, 긋기단청, 모로단청, 금모로단청, 금단청, 갖은금단청, 고색단청, 고색부분단청, 별화, 벽화로 구분하고 있다.1)이 중 가칠단청, 긋기단청, 모로단청, 금모로단청, 금단청, 갖은금단청, 별화, 벽화는 단청의 종류라 할 수 있다.
‘목심저피칠[夾紵乾漆]기법’은 어떤기법이며 어디에 사용되었습니까? 65) 또 [문헌 2]에는 그릇의 칠에 옻칠 중 하나인 골회로 지장을 한 ‘목심저피칠[夾紵乾漆]기법’에 대한 사용 기록이 남아 있다. 이 기법은 목재의 틀어짐을 막고 도장을 강화하기위해 심지를 넣어 도장을하는 옻칠기법으로 덕수궁 석어당, 중화전, 즉조당, 영복당의 현판에 사용사례가 확인되었다.66) 궁궐의 경공장에는 옻칠을 다루는 ‘칠장(漆匠)’이 32명, 외공장에는 옻칠장이 1명 소속되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7)

  1. 般若經八千頌 

  2. [周] 禮記.月令 

  3. [先秦] 庄周, 庄子.外物 

  4. [晋] 張華, 勵志詩 

  5. [東晉] 葛洪, 抱朴子.守? 

  6. [東漢] 班固, 漢書, 司馬相如傳, 漢書卷九十七 外戚傳下. 孝成趙皇后傳 

  7. [漢] 蒿里 

  8. [漢] 王充, 論衡.亂龍 

  9. [唐] 沈亞之, 移佛記卷六 

  10. [唐] 柳宗元, 游?溪記 

  11. [唐] 科?言第([五代] 王定保 著) 

  12. [唐] 房玄齡 等, 晋書.顧?之傳 

  13. [五代] 王定保, 唐?言.統序科第 

  14. [宋] ?游, 桃源憶故人.應?道中 

  15. [宋] 思故山賦 

  16. [宋] 畢沅, 續資治通鑒(宋孝宗淳熙七年) 

  17. [宋] 曾鞏, 洪州東門記 

  18. [宋] 魏秀仁, 花月痕 第五回 

  19. [南朝] 何晏, 文選 卷11, 景福殿賦 

  20. [南朝, 宋] 范?, 后漢書.祭祀志上 

  21. [南朝] 梁 劉?, 文心雕龍.情采 

  22. [?] 陳夢雷, 木?瓢賦 

  23. [?] 唐甄, 潛書.非文 

  24. [?] 王晫, 今世說.寵? 

  25. 김상헌, 청음집, 1671 

  26. 김석주, 식암선생유고, 청금도사계, 17권, 1658 

  27. 김정희, 완당전집, 10권 5책, 제7권, 9권, 1867 

  28. 김종직, 점필재집, 이준록, 2권1책, 1497 

  29. 김창협, 농암집(송혁기 역), 한국고전번역원, 2016 

  30. 김홍남, 중국고대회화의 탄생, 중국고대회화의 탄생과 전개, 국립중앙박물관, 2008 

  31. 經國大典, 工典, 1485 

  32. 景慕宮儀軌, 卷之一, 圖說, 1783 

  33. 慶運宮重建都監儀軌, ?目, 後, 1906 

  34. 경향신문, 2018년 11월1일 기사 

  35. 구봉령, 백담집4권, 1645 

  36. 구욱희, 17세기 이후 궁궐단청기법의 재현을 위한 시험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7. 구욱희, 조선시대궁궐 편액 복판의 단청기법연구, 건축역사연구, 제26권, 6호, 2017 

  38.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행록선집Ⅷ, 한국학술정보, 1976 

  39. 남계집, 17세기 

  40.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한국한자어사전, 1996 

  41. 노경임, 경암집1권, 1784 

  42. 노사신 등, 동국여지승람 제1권, 京都上, 제10권, 1486 

  43. 문화재관리국, 문화재보수기술교재, 문화재관리국, 1977, 1978, 1980 

  44. 문화재관리국, 문화재표준시방서, 문화재관리국, 1974 

  45. 문화재청, 문화재표준시방서, 문화재청, 2014 

  46. 배용길, 금역당집 5권, 1855 

  47. 사직서의궤 권1, 祭器圖說, 1783 

  48. 서긍, 선화봉사고려도경 제28권, 공장1, 1123 

  49. 서영보, 죽석관유집, 조선후기 

  50. 서거정 등 23인, 동문선, 1478년, 한국고전종합DB에서 동문선 번역본, 18권, 66권, 78권, 82권 

  51. 승정원일기, 한국고전종합DB 

  52. 新華辭書社, 新華字典제10판, 人民?育出版社(北京), 2010 

  53. 신위, 경수당전고, 19세기 초 

  5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55. 이기영, 불전해설, 한국불교연구원, 1978 

  56.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60권 60책, 元史.世祖本紀, 19세기 

  57. 이두, 揚州畵舫錄 권17, 工段營造錄, 18세기 

  58. 이승소, 삼탄집 제1권, 1514 

  59. 이의봉, 북원록 제2권, 1760 

  60. 이재창, 불교경전개설,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2 

  61. 이창진, 기본광물.암석용어집, 한국학술정보, 2010 

  62. 이익, 성호전집 제53권, 백봉서원 중수기 1744 

  63. 이은희, 고려시대 단청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4. 이해응, 계산기정1-5권, 1804 

  65. 일연, 삼국유사, 황룡사9층탑 조, 13세기 

  66.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의 단청, 태학원, 2007 

  67. 안정복, 동사강목 제14상, 1778 

  68. 遇見眞, 發現美, 藝術百科 

  69. 예용해,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 81호, 문화재관리국, 1970 

  70. 조엄, 해사일기, 1763 

  71.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8 

  72. 張起仁.韓奭成, 韓國建築大系III, 丹靑, 普成閣, 1998 

  73. 정도전, 삼봉집 제4권, 1397 

  74. 정약용, 수색집2권, 1658 

  75. 조선왕조실록, 한국고전종합DB 

  76. 최석정, 명곡집9권, 1721 

  77. 허균, 신편 국역 성소부부고(민족문화추진회 역), 제16권, 한국학술정보, 2006 

  7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79. 漢語詞典 

  80. 한창균, 북한고고학 미술사 용어집, 백산자료원, 1996 

  81. 田久保, 實太?; 滑川, 眞吉, 朝鮮丹綠鑛山地域の稀元素鑛物に就て, 京都大學, 1944 

  82. 澤口 悟一, 日本漆工の硏究, 美術出版社, 1966. 

  83. 東京文化財硏究所, 敦煌石窟 7, 文化出版局, 2001. 

  84. デジタル大辭泉 (小學館) 

  85. 窪寺茂, ?統的な 塗料の 再認識, 建築文化財における塗裝材料の調査と修理, 東京文化財硏究所, 2012. 

  86. 京都新聞社, 2018년 5월14일자 기사. 

  87. http://www.travelchina.gov.c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