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성희롱 인식 및 임상실습 시 성희롱 경험 실태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during clinica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6, 2018년, pp.1003 - 1012  

조혜은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보람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a safe practice environment and practical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who practice clinically. Methods: A total of 260 students with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at dental hygien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시 성희롱 피해 실태와 성희롱 인식을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안전한 실습환경 조성과 임상실습 전 시행될 실용적인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러한 문제는 여성 근로자 비율이 높은 치과의료기관도 예외일수 없으며 예비 치과위생사인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임상실습 중에 치과의료기관에서 경험하는 성희롱 경험 실태를 파악하여 원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성희롱 피해 실태와 성희롱 인식을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안전한 실습환경 조성 및 임상실습 전 실용적인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중에 경험하는 성희롱 실태를 파악하여 성희롱 피해 대처방안 및 다양한 정보제공을 통한 안전한 실습환경을 조성하고 임상실습 전 진행되는 실용적인 성희롱 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희롱이란? 성희롱이란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 등과 관련하여 성적 언동 또는 성적 요구 등으로 상대방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 상대방이 성적 언동 또는 요구에 대한 불응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거나 그에 따르는 것을 조건으로 이익 공여의 의사표시를 하는 행위로 양성평등기본법 제 3조에서 규정하고 있다[1]. 2015년 실시된 성희롱 실태조사[2]에 따르면 성희롱의 대표적 발생 장소가 ‘직장 내’와 ’회식장소’가 주를 이루며, 성희롱 피해자는 ’여성’, 가해자는 ’남성’과 ’상급자’인 경우로 조사되어, 직장 여성들에서 성희롱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2015년 실시된 성희롱 실태조사에 따른 성희롱의 대표적 발생 장소와 성희롱 피해자는? 성희롱이란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 등과 관련하여 성적 언동 또는 성적 요구 등으로 상대방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 상대방이 성적 언동 또는 요구에 대한 불응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거나 그에 따르는 것을 조건으로 이익 공여의 의사표시를 하는 행위로 양성평등기본법 제 3조에서 규정하고 있다[1]. 2015년 실시된 성희롱 실태조사[2]에 따르면 성희롱의 대표적 발생 장소가 ‘직장 내’와 ’회식장소’가 주를 이루며, 성희롱 피해자는 ’여성’, 가해자는 ’남성’과 ’상급자’인 경우로 조사되어, 직장 여성들에서 성희롱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직장 내에서의 성희롱 문제는 많은 선행연구에서도 다루어지고 있다[3-5].
본 논문에서 치위생과 학생들의 성희롱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본 연구의 설문지는 심리전문가 1인, 치위생학과 교수 3인, 임상치과위생사 2인의 자문을 통해 본 연구목적에 맞게 구성하였다. 일반적인 특성 5문항, 성희롱 유형에 따른 경험 유무 27문항, 임상실습 시 발생되는 성희롱에 관한 구체적 인식 8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성희롱 인식, 자아존중감, 자기주장성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였다. 성희롱 인식에 대한 도구는 임[16]의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수정한 2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자아존중감 도구는 Rosenberg[17]에 의해 개 발된 척도를 번역한 도구로 수정한 9문항, 자기주장성 도구는 Rathus[18]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박[19]의 연구에서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수정한 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Internet].[cited 2018 Sep 2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EfInfoP.do?lsiSeq172256#. 

  2. A study on the reality of sexual harassment in 201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 

  3. Jung YK. Survey of sexual harassment experienced by beauty care workers and factor analysis based on their awareness[Master's thesis]. Busan: Univ. of Youngsan, 2015. 

  4. Oh HN, Won YS. Study of dental hygienists' recognition and experiences about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J Korean Soc Dent Hyg 2017;7(3):419-29. https://doi.org/1013065/jkdh.2017.17.03.419 

  5. Lee SH, Lee SM. The study of harassment at workplace and related variables. Fam Environ Res 2001;39(2):41-96. 

  6. Lea PS, Pamela HL. The extent and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on working women. Sociological Focus 1984;17(1):31-43. https://doi.org/10.1080/00380237.1984.10570460 

  7. Lee SK, Song JE, Kim 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of Korean nursing students. Asian Nurs Res 2011;5(3):170-6. https://doi.org/10.1016/j.anr.2011.09.003 

  8. Bell ME, Turchik JA, Karpenko JA. Impact of gender on reactions to military sexual assaults and harassment. Health Soc Work 2014;39(1):25-33. https://doi.org/10.1093/hsw/hlu004 

  9. Kim JS, Kim HS, Kim KH.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coping behaviors among caregivers in nursing homes. J Korean gerontol Nurs 2013;15(1):21-31. 

  10. Park GJ, Jung HM, Kim MK. Sexual harasmen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Korean J heal serv Manag 2014;8(4):95-107. https://doi.org/10.12811/kshsm.2014.8.4.095 

  11. Celik SS, Bayraktar N. A study of nursing student abuse in Turkey. J Nurs Educ 2004;43(7):330-6. 

  12. Kim YY. The perception and actual experiences of sexual harrass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Master's thesis]. Daegu: Univ. of Kyungpook National, 2014. 

  13. McKenna L, Boyle M. Midwifery student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in clinical settings: An exploratory study. Nurse Educ Pract 2016;17:123-7. https://doi.org/10.1016/j.nepr.2015.11.004 

  14. Kim SJ.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Contents Assoc 2015;15(2):352-62.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352 

  15. Park EK, Na YK.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damages and self-esteem of operating room nurse. Korean J Sci Crim Inves 2015;9(4):266-74. https://doi.org/10.20297/jsci.2015.9.4.266 

  16. Im DJ. A study on cognition of sexual harassment in workplace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Kookmin, 1999. 

  17.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26.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18. Rathus SA. A 30-item schedule for assessing assertive behavior. Behav Ther 1973;4(3):398-406. https://doi.org/10.1016/S0005-7894(73)80120-0 

  19. Park YB. A study of psychosocial damage of college woman on sexual harassment[Master's thesis]. Chuncheon: Univ. of Hallym, 2002. 

  20. Kim TI, Kwon YJ, Kim MJ.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and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7;23(1):21-32. https://doi.org/10.4069/kjwhn.2017.23.1.21 

  21. Woo JA. Emotional responses, coping and social support for verbal abuse, sexual harassment, physical threat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Doctoral dissertation]. Busan: Univ. of Pusan National, 2017. 

  22. Lee YR, Kim KM, Choi SE.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3;24(1):40-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