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DAS를 적용한 원전 해체 공정 시 발생되는 방사성 에어로졸의 내부피폭 영향평가 사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ternal Exposure Effect by Radioactive Aerosol Generated During Decommissioning of NPPs by Using BiDAS 원문보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6 no.4, 2018년, pp.473 - 478  

송종순 (조선대학교) ,  이학윤 (조선대학교) ,  김선일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전 해체 공정 중 절단 및 용융작업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에어로졸은 작업종사자의 호흡을 통해 내부 피폭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체 중 방사성 에어로졸로 인한 작업종사자의 내부피폭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정확한 내부피폭평가를 위해서는 작업종사자의 작업환경 실측값이 필요하지만 실측에 어려움이 있을 시에는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에서 제시하는 섭취량 분율 및 입자 크기 등의 권고 값을 통해 내부피폭선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자 크기의 선정은 ICRP에서 권고하는 작업종사자의 고려 입자 크기인 $5{\mu}m$을 적용하였다. 발생량의 경우, 불가리아의 Kozloduy 부지 내의 용융시설에서 발생 된 에어로졸의 포집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섭취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해 작업종사자의 체내 및 배설물에서의 방사능 수치를 계산하고 BiDAS 전산코드를 통해 내부피폭 평가를 수행하였다. Type M이 0.0341 mSv, Type S가 0.0909 mSv로 두 흡수 형태 각각 국내 연간 선량 한도의 0.17%, 0.45% 수준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dioactive aerosol generated in cutting and melting work during the NPP decommissioning process can cause internal exposure to body through workers' breath. Thus, it is necessary to assess worker internal exposure due to the radioactive aerosol during decommissioning. The actually measured valu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iDAS는 방사선작업자 내부피폭선량평가 전산코드로 2003년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작업종사자의 체내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여 섭취량과 예탁유효선량을 계산하는 것이 코드의 본 목적이다. BiDAS는 흡입 섭취, 경구 섭취의 섭취 경로, 단일 섭취 및 연속 섭취의 섭취형태에서 계산이 가능하며, 사용되는 방사성 핵종의 대사 모델은 ICRP-66 호흡기 모델, ICRP-30소화기 모델, ICRP-30,56,67,71 생체동역학적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원전 해체 과정 중 용용 작업 시 발생되는 방사성 에어로졸로 인한 작업종사자의 내부피폭선량을 평가를 수행하였다. 입력 데이터로는 Kozloduy PMF 시설에서 발생된 방사성 에어로졸의 포집량을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는 실제 용융 작업이 어떤 절차로 이루어지고, 공정 환경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용융 작업 시에 발생 된 방사성 에어로졸을 작업종사자가 그 즉시 흡입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어로졸이란 무엇인가? 에어로졸이란 ‘분산상은 고체 또는 액체의 입자로 되어 있으며 분산 매체는 기체로 되는 콜로이드계이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보통 에어로졸이라고 부를 때는 대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크기가 비교적 작고, 전체적으로서는 상당한 시간의 경과에도 그 상태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방사성 에어로졸이란 무엇인가? 원전 해체 공정 시 발생되는 방사성 에어로졸은 작업종사자의 흡입으로 인해 인체 내부의 호흡기 및 주요 장기에 침적되어 내부 피폭을 유발하게 된다. 방사성 에어로졸은 유체 속에 떠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세한 방사성 물질을 뜻하며 해체 과정에서 용융, 절단 작업 시에 주로 발생하게 된다. 그 입자 크기는 0.
방사성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 분포가 내부비폭 방사선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인 이유는? 방사성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 분포는 작업종사자의 흡입에 의한 내부피폭 방사선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미세한 입자의 방사성 에어로졸은 상대적으로 큰 방사성 에어로졸 입자보다 체내에 오랜 시간 체류하게 되어 전신 또는 장기에서 장기간의 피폭을 야기하게 된다. 이처럼 입자의 크기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해체 현장 작업자의 에어로졸 흡입에 의한 내부 방사선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입자 크기의 분포를 결정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 Lippmann and R. E. Albert,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n the Regional Deposition of Inhaled Aerosols in the Human Respiratory Tract",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30(3), 257-275 (2007). 

  2. P. Aker, T. Feigenbaum, M. Meisner, and M. Thomas, "Maine Yankee Decommissioning Experience Report",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 Detailed Experience Report, ENT000164 (2012). 

  3. S. Bushart, B. Couture, J. Fan, R. Haight, and C. Melin, "Connecticut Yankee Decommissioning Experience Report",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 Technical Report, 1013511 (2006). 

  4. Energiewerke Nord, "Experience from Greifswald NPP Decommissioning in Germany", EWN Final Report, P5cDel03Rev02-EIA-R-Chapter 11 (2013). 

  5. J.I. Lee, J.L. Kim, and B.H. Kim, "International Exercise on Internal Dose Assessment in Korea", J. Radiol. Prot., 36(2), 64-70 (2011). 

  6.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ndividual Monitoring for Internal Exposure of Workers (Preface and glossary missing)", Publication 78, Ann. ICRP 27(3-4) (1997). 

  7. B.H. Kim, S.Y. Young, T.Y. Lee, and J.L. Jang,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Radiation Protection Technolog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Final Research Report, KAERI/RR-2801/2006 (2006). 

  8. J.M. Valdivieso, "Decommissioning Strategy & Method & Design Characteristics and Action Plan for Decommissioning", Proc. of the 2018 WES Education, May 28-June 1, 2018, Republic of Korea. 

  9. Energiewerke Nor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for the Decommissioning of Units 1 to 4 at Kozloduy Nuclear Power Plant", EWN Final Report, Pl6Del09Rev02-EIA-R-Chapter 1 (2013). 

  10. Energiewerke Nor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for the Facility for Treatment and Conditioning of Radioactive Waste with a High Volume Reduction Factor at Kozloduy Nuclear Power Plant", EWN Final Report, P5Cd03Rev.02-EIA-R-Chapter 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